어제 뉴스데스크의 음악만 뒷걸음질 기사를 보고…

어제 했던 뉴스데스크에서 음악만 뒷걸음질?기사를 보고서 식겁했습니다. 새삼스레 MP3의 음질을 논하는 것부터 이 기사는 출발하는데요. MP3가 손실 압축으로서 심리음향(Psychoacoustic)적인 측면에서 가청 영역에서 잘 안들리는 영역을 줄이는 것에서 출발하는 기술이니 CD에 비해서 음질 열화가 발생한다는 것은 자연스런 전개입니다만, 말씀드렸듯 MP3라는 것이 심리적으로 잘 구별할 수 없는 음을 배제하는 방식이다보니 ‘MP3의 음질은 CD에 70%가량’ 이라고 무 자르듯이 수치화 하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CD도 디지털하는 과정에서 음향의 손실을 필연적으로 가져옵니다만… 그런식으로 따지면) 문제는 자칭 ‘30%’의 차이를 과연 인지할 수 있느냐가 문제가 되겠는데요…?


이 기사에서 가수 신해철 씨는 “내 곡을 MP3로 들으니 음이 뭉개지고 안 들린다. 불법 다운 받아도 좋으니 제대로 들었으면”이라고 말했습니다만. 과연 얼마나 많은 유저가 그만한 차이를 느낄 것인가가 의문시 됩니다. 일단 저 자신이 꽤 괜찮은 이어폰이라고 생각하는 A8이나 CM7Ti를 물려서 iTunes로 CD를 들을 때나 MP3나 MPEG4 AAC로 리핑한 음악을 들을때 체감할 수 있는 차이를 느낄수가 없었습니다.?신해철씨가 주장하는 데로 “뭉개진다”거나 “안들리’는 것은 느낄수 없었습니다.?

물론 불법으로 떠도는 파일 중 일부는 정말 대책없이 깨지는 곡이 종종 있습니다만… 적어도 제가 인코드한 것에는 대개 블라인드 테스트에서도 우열을 가리기가 힘듭니다. 대체적으로 이는 다른 사람에게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며 아마도 그것이 대체적인 중론이라는 것이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의 전세계적인 보급으로 증명되었지 않나 싶습니다.?

더욱이 문제가 되는것은?우리나라에서는 대체로 MP3를 기반한 유료 음원이 많은데(이동통신사들의 음원들이 거의 그런 것 같습니다), MP3의 음질이 떨어진다!라고 하는 것은 은연중으로 CD를 사라는 것을 종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는 결과적으로 합법적으로 판매하는 컨텐츠의 질이 떨어진다는 것을 자인하는 셈입니다.?

헌데 문제는 이미 세계 음반 업계는 디지털 음원을 기반으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CD를 기반한 음반 판매는 급감하는 반면 디지털 음원 다운로드 판매는 증가 일로에 있지요. 다운로드 판매의 가격은 음반의 가격보다는 저렴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음질에 저하가 있다면 커다란 문제가 있게 됩니다.?자폭입니다. 이건. 신해철씨에게는 죄송한 말씀입니다만 음반에 매달려 있는 것은 이제는 전세계적인 추세에 반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시대착오적이죠. 대체적으로 가요계의 컨센서스가 이러하다면 우리나라 가요계가 암흑일로를 걷고 있는것도 놀라울게 없습니다. 이미 합법이던 불법이던 다운로드 받아서 즐긴다라는 문화는 너무나도 광범위하게 정착되었으니까요.?

CD를 사서 그것을 CDP에 넣어서 즐기는 사용자는 이제는 소수의 매니아에 국한되어가고 있는 형국입니다. 그를 입증하는 듯이 CD를 만들었고 CDP를 실용화한 소니의 경우 2005년에 내놓은 NE20이후로 후속 CDP를 내놓고 있지 않습니다. CD를 사서 인코딩해서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로 듣는 경우도 불법 다운로드의 범람으로 희미해져서 이제 어떻게하면 합법적으로 쉽게 구매해 다운로드 해서 향유하게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할 것입니다. 미국에서는 이미 iTunes가 성공적으로 불법 다운로드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던 점을 상기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측면을 일절 생각하지 않고 음반관계자의 목소리만 담은 기사의 편향성이 매우 거슬렸습니다.?

이 기사에서 가장 가관이자 문제시가 되는 것은 MP3의 질이 떨어진다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MP3를 값싼 컴퓨터 스피커로만 즐긴다는 전제로하고 그 때문에 CD의 질이 떨어진다고 하는 해괴망측한 논리가 가장 커다란 문제입니다. 유희열씨의 인터뷰는 화룡 점정입니다.?
“녹음실에서 만 원 짜리 스피커로 음질테스트까지 했다. 제작자들이 좋은 소리를 만들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 장인정신이 실종되고 있다.”?
아마 이 글을 읽으시는 분 중에서도 상당수는 질이 좋은 이어폰이나 스피커로 음악을 들으시는 분들이 계실테니 얼마나 어이 없는 소린지 알 수 있을 겁니다. 더 좋은 음악을 위해서 돈을 투자한 사용자를 깡그리 무시하는 태도이지요. 설령 iPod이나 MP3에 딸려오는 저렴한 번들 이어폰이나 ‘만원 짜리 스피커’로 듣는다 할지라도 음반을 제작하는 사람들이 만원짜리 스피커에 맞춰서 내놓으면 사용자로서는 비싼 스피커나 이어폰으로 들을 필요성이 없어집니다. 이쯤되면 정작 누가 음반의 질을 떨어 뜨리는 것인지 자명합니다. MP3나 만원짜리 스피커가 잘못이 아니라 그것에 맞춰서 음반을 맞추려고(그러므로 예산을 줄이려는)하는 음반업계 당사자의 잘못입니다.?

기사는 “편리함이 최고가 된 디지털 시대의 그늘에서 좋은 음악을 만들고 들어야 할 권리가 갈수록 뒷전으로 물러나고 있습니다”라고 하며 마무리가 됩니다. 제가 보기에는 디지털 기술이 문제가 아니라 음반을 만드는 사람들의 마인드가 문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1만원짜리 스피커로 사람들이 듣는다고 하여(이거 정말 웃긴 소립니다만) 음반제작자들이 포기해버린 탓에 음반의 질이 떨어지는 것이지 인프라 탓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한가지 더 말하자면, 외국에서는 SACD나 DVD-Audio등의 방법으로 실험적이지만 CD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또 디지털 음원 코덱의 경우도 AAC라던가 OGG, FLAC등 음질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MP3탓만하면서 뒷걸음질 치는건 기술탓이 아니라 음반업계 탓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Posted

i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