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음악에서 저무는 물리 매체 독점

작년에 방영했던 “물드는 세계의 내일로부터(色づく世界の明日から)라는 애니메이션이 있었습니다. 그 작품의 오프닝인 하루카와 미유키(ハルカトミユキ)의 “17세(17才)”를 참 좋아했습니다. 통상 이러면 여즉 저는 오프닝이 들어간 싱글을 사기 마련인데, 일본은 물론 한국 애플 뮤직 등 스트리밍에 풀려 있었습니다. 덕분에 그냥 들었죠. 아마존 장바구니에다가 넣어 두고 나중에 나중에 하다가 초회한정생산반을 놓치고 말았습니다. 백 오더를 넣어놨지만 과연 받을 수 있을지는 회의적입니다. 이미 한달 가량 기다렸지만 소식이 없습니다.

이번 건으로 느낀것은 이제는 굳이 CD로 된 싱글을 사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구나 라고 본인 조차 무자각하에 느끼고 있고, 일본 업계도 점점 스트리밍에 익숙해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뉴욕타임즈에서 여전히 타워 레코드가 CD를 파는 몇 안되는 나라라고 반 조롱을 당하는 현실입니다만 말이죠.

It may just be that Japan has a hard time letting go. The country still depends on fax machines. It is one of the last places in the world where Tower Records, the once iconic music store, has stayed open, still selling CDs.

최소한 애니송에 관해서는 이미 아뉴타라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대충 설명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이제는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빼놓을 수가 없는 애니플렉스가 (제가 알기로는)버티고 있는 상황이지만 소니 뮤직은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에 열심히 발매일과 거의 동시에 풀고 있어서 문제가 심각하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세상이 많이 변했구나 싶으면서도 이제 물리 음원도 결국 애니메이션과 마찬가지로 한정판 장사, 부록 장사 등으로 나가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말이죠. 더 나아가서는 아이돌 오타쿠 상법을 그대로 가져올지도 모르죠. (하기야 애니메이션 음악 뿐 아니라 요즘은 애니메이션 자체가 그렇게 되어가는 모양이지만요)

해서, 백 오더 된 CD가 캔슬되지 않고 왔으면 좋겠네요.

미래를 내다 보는 것

요즘 집을 치우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이것저것 발견합니다만 개중에는 컴퓨터 잡지가 있습니다. 21세기초에 발행된 잡지는 과감하게도 미래를 예측하는 내용입니다. 일일히 맞고 틀리고를 적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적어도 빌게이츠와 MS가 반독점법을 피해서 인도로 본사를 옮기는 일은 없었습니다. 어디서부터 어디를 정정해야할지 모르겠군요. 애플이 MS보다 더 가치있는 기업이 되었다는것? 빌 게이츠가 물러난지 한참 되었다는 점? 등등.

너의 이름은. 을 정말로 많이 봤습니다. 처음 부천에서 보고 나서 여러가지 기묘한 인연을 거쳐서 말이죠. 한 예닐곱번 되지 않나 싶습니다. 같은 영화를 이렇게 본것도 이렇게 단기간에 영화관을 찾은것도 정말 오랫만입니다. 아마 처음인것 같은데…

지금 이 글을 쓰면서 ‘별의 목소리’ 사운드 트랙을 듣고 있습니다. Through The Years And Far Away라는 주제가가 들려오고 두번째 트랙으로 옮겨가고 있네요. 별의 목소리는 항성간 이동이 가능한 시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워프를 하고 광속으로 건너 뛰죠. 그런데 주인공들의 휴대폰은 흑백의 바 형 휴대전화입니다.

휴대전화는 신카이 마코토 작품에도 간간히 나왔고 흡사 말하는 배경왕이라는 말에 어울리듯 현실에 존재하는 설정을 따르듯 작품이 제작되는 시점의 물건을 베이스에 두고 있습니다. 2013년에 유키노의 휴대전화는 매우 리얼하죠. 너의 이름은. 의 휴대전화도 실재하는 물건을 바탕으로 적당히 꼬아놓은 것을 모두가 알고 있습니다.

이런 배경 설정은 ‘시대성’을 나타내는 좋은 소품임과 동시에 세월을 느끼게 해주는 물건입니다. 초속 5 센티미터에서도 마지막에 나온 미즈노 리사의 휴대폰을 생각해보지요. 휴대폰은 또 우리에게 너무나도 친숙한 물건이고 늘 가지고 다니는 물건입니다. 만약 우리가 너의 이름은. 에서 주인공의 휴대폰이 단박에 아이폰을 꼬아 놓은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은 그거 때문이지 않을까요.

이 영화는 오랜만에 미래가 나오는 신카이 영화입니다. 2021년이 나오는데 여기서도 iOS를 따른 듯한 휴대폰이 나오지요. 그런데 Slide to Unlock(밀어서 잠금해제)가 나오는군요. 재미있는 얘깁니다만 이 영화가 공개되고 머지 않아서 밀어서 잠금 해제는 사라졌습니다(사실 그 이전에 이를 알리는 WWDC가 있었습니다만).

흑백 휴대폰을 쓰는 항성 여행 시대와 몇 개월뒤를 예상 못한 너의 이름은.의 근 미래 휴대폰. 그 단순한 녀석이 용케 이렇게 발전했구나 싶으면서도 휴대폰의 미래를 예측하는건 정말 어렵구나 라고 생각했습니다. 여느 미래가 안그러겠냐만서도요.

그래도 시공을 초월한 두 작품의 사랑은 두 작품의 10여년간의 시간적 간격을 뛰어 넘었네요. 올 유 니드 이즈 러브(All You Need Is Love)입니다.

신카이 마코토 감독 SBS 나이트라인 출연 영상

오늘 2/9(목, 방영날짜기준) 방영된 SBS 심야마감뉴스인 SBS 나이트라인에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출연했습니다. 사전녹화로 보입니다.

 

 

오늘은 신카이 감독의 생일이라죠. 축하합니다. 해외에서 맞이하는 생일인데 쓸쓸하지 않을까 싶었는데 그게 꼭 그렇지도 않은 모양입니다.

대체 그의 한국인 지인들은 얼마나 술을 먹이려고 하는 속셈인지는 모르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외국인에게 여명808은 좀 심했네요. (웃음)

여담. 만약 이번 일련의 사태로 블랙리스트가 폭로되지 않았다면 신카이 감독도 찍혔을것 같습니다.

너의 이름은. 을 둘러싼 기묘한 인연

너의 이름은. 을 둘러싼 기묘한 인연은 계속 이어집니다. 10월에 보고 1월에 개봉한다는걸 듣고 좌절하면서 언제 다시보나 벅벅 긁는데시간이라는게 꽤나 빠르더군요. 정신차려보니 연말이었고 연말에 한 선행 상영을 보았습니다. 행복해라.

아시다시피 개봉하며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한국에 방문했습니다. 부산 국제 영화제를 놓친 저는 이 기회를 잡고 싶었습니다. 와디즈라는 곳에서 펀딩을 통해 토크 이벤트를 개최한다는 걸 알고 참여를 시도 했으나 어느 순간에 다 끝났더군요. 실망한 저는 당일날 근처 극장에서 표를 예매하기 위해 CGV 앱을 열었는데 뭔가 이상한 상영이 있습니다. 그래서 눌러보니 잔여 좌석 상황이 장난이 아닙니다. 알고보니 무대 인사가 있는 상영이었고 거의 다 팔려가고 있었습니다. 저는 다행히 표를 잡았고 4년만에 신카이 감독을 다시 만났습니다. 멀찍이나마. (동영상 보기)

이 상영에서 감독에게 질문을 하는 기회가 주어졌는데 제쪽을 보며 검은 티 입은 분 얘기해서 저 말하는 줄 알았더니 바로 앞분이시더군요. 허허. 추첨으로 나눠준 포스터는 당연히(?) 낙첨됐고요. 뭐 트위터 이벤트로 한 분께서 일본 현지 판매용 포스터를 주셨는데 그것도 충분히 행운이지요.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이 밀당(?)은 사실 이번 영화만의 일은 아닙니다. 지난번에도 얘기했지만 언어의 정원도 꽤나 일이었어요. 링크를 열기 귀찮으신 분을 위해 말씀드리면 부천국제영화제 상영 이후 감독과 단체사진을 찍었는데 누가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몰라 해메어 소규모 배급사 사장님을 괴롭힌 이야기입니다. 근데 아직도 이때 사진을 받지 못하신 분 계실 겁니다.

언어의 정원 얘기하니 이 일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코믹스 웨이브 필름 스태프가 당시 부천국제영화제 때 신카이 감독과 팬이 악수하며 기념품을 전달받는 장면을 사진을 찍어 페이지에 올렸는데 거기에 악수하기 위해 줄선 제가 슬쩍 찍혔습니다. 이게 왠 보물이냐 싶어 페이스북 메신저로 정중하게 물어봤습니다. 좀 더 큰 사진이 없을까요? 라고. 페이스북은 실제 얼굴을 프로필 사진으로 쓰고 있었으므로 제가 누군지 아실겁니다. 라고요.

그러고 답장이 없으니 잊고 지냈는데 두달 뒤(기억으론 다섯달인줄 알았는데 방금 메신저를 열어보니 두달이더라고요. 사람의 기억이 이리 불확실합니다) 문득 페이스북 메신저가 울려서 보니 그때 그 사진과 아주 잘 나오진 않았지만 제가 악수하는 순간의 사진을 보내줬습니다. 이번 작품 기대한다고 감사를 표했습니다.

그래서 이 영화를 비롯해서 이야기는 참 많습니다만 저는 수많은 우연과 인연, 도움과 친절, 그리고 행운을 업어 이렇게 너의 이름은. 과 언어의 정원에 닿았습니다. 저는 행운아구나. 라고 생각했어요. 이 자릴 빌어 이 모든 여정에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덧. 지금까지 총 6번인가 봤을겁니다. 이건 여러모로 기록입니다. 작년 한해 극장에 간것보다 많은 횟수이고 신카이 작품을 포함해서 극장에서 한작품을 이렇게 많이 본것도 처음입니다. 여러번 보면 볼때마다 발견하는게 있어요. 되도록 한 번이라도 더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4월은 너의 거짓말, SHIRO BAKO(시로바코)

2014년 4분기(겨울) 애니메이션은 지금 다시 돌이켜봐도 대단합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분기가 다시 올까?” 싶을 정도로 좋은 작품이 많았습니다. 정말 좋아하는 작품이 분기마다 나오기 마련이고, 소위 말하는 “인생작”이 가끔 나타납니다만, 이게 한꺼번에 두 번 나타나는건 정말 장난이 아닌건 사실이죠. 4월은 너의 거짓말과 SHIRO BAKO(시로바코)가 이때 방영되었었는데요. 둘 다 정말 좋았던 작품입니다.

2쿨 작품은 블루레이를 되도록이면 안모으려고 합니다. 최소한 7권에서 많게는 <빙과>처럼 11권을 모아야 하는 경우가 있어서 거의 1년을 달려야 하기 때문에 저는 이걸 마라톤에 비유하곤 합니다. 돈도 돈이지만 시간이 많이 걸려요. 그래서 당시에는 2쿨은 포기했기 때문에 소드 아트 온라인 II 도 포기를 했었던 기억이 납니다(지금은 좀 후회가 됩니다).

이 작품들은 모두 2쿨 작품이고 제가 세운 ‘2쿨은 안모은다’라는 철칙을 스스로 저버리게 만들었습니다. 정말 이 둘은 그럴 가치가 있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마라톤’을 달렸습니다. 그것도 두개를 동시에. 각각 4월은 너의 거짓말이 9권, 시로바코가 8권이었죠.

4월은 너의 거짓말은 음악 애니메이션입니다. 거기에 보이 미츠 걸이라는 왕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음악을 하는 소년 소녀가 만나서 서로를 어떻게 변화하게 만드는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움츠러 들어있는 소년에게 소녀가 다가가서 구석에서 끌어내죠. 그렇게 절반을 사용하고 이번에는 병약한 소녀에게 초점이 옮아갑니다. 쓰러진 소녀를 소년이 일으키는 이야기가 후반을 차지한다고 생각합니다. 결국 결말은 굉장히 슬프지만 사춘기 때 겪었던 일들이 으레 그렇듯이 아마 훌훌 털고 앞으로 나갈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남긴체 끝납니다. 물론 남자는 첫사랑을 평생 기억한다고 하던가요? 소년이 “잊지 않아 줄 거지?”라는 소녀의 질문에 “잊으면 귀신이 되서 나타날 거면서”라고 혼잣말로 대답하는데요. 아마 평생 잊혀지지 않을 겁니다.

완벽하다고 볼 수는 없지만 화제가 되었던 오프닝도 그렇고 전반적으로 안정적인 그림과 초반의 연주부분에 엄청난 힘이 들어간 것도 화제였습니다. 인기를 끌었었던 만화가 원작이었는데 원작과 비슷하게 끝나며 원작을 충실히 따라간 것도 호평을 받았습니다. 실시간으로 이 작품을 한 주 한 주 쫓아 간것은 저에게 있어서 행복한 시기였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은 시로바코(SHIRO BAKO)입니다. 아마 “당신이 여즉 본 애니메이션 중에서 그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가장 많은 것이 변한 것을 고르라”고 한다면 이걸 고를 것 같습니다. 애니메이션 업계를 다룬 애니메이션인 이 작품은 애니메이션을 보는 각도를 다르게 보게 만들었고 이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보충 삼아 찾은 애니메이션 제작 관련 지식이 이후에 나오는 그리고 지금까지 봤던 애니메이션을 보는데 다대한 영향을 미친 것이 사실입니다.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젊은 여성들과 그 주변의 군상극이라고 하면 될 것 같은데 정말로 수십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주인공들을 사이에 두고 얽히고 섥힙니다. 일이 정체되고 사람이 싸우고 시간에 쫓기고 다종다양한 역경을 거쳐서 주인공이 작품의 완성을 맞이하는 장면을 볼때까지 실시간으로 방영을 쫓던 시기에는 다음화가 얼른 나와라 하면서 좀이 쑤시던 작품입니다. 이 작품에서는 전체 화수를 둘로 나눠서 전반에 한 작품 후반에 한 작품, 총 두 작품을 주인공(들)과 주변인물들이 완성하는 것이 커다란 줄기입니다만 이야기 막바지에는 정말 울음을 참기 힘듭니다. (여담으로 그 장면에서는 주인공도 우는데 그 장면이 참 예쁘게 그려졌습니다, 베테랑 애니메이터가 그렸다고 합니다)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을 꼽으라 그러면 여러가지를 더 꼽을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4년 4분기에서 2015년 1분기에 걸쳐서 방영했던 이 두 작품은 앞으로 한 동안은 잊기 힘들것 같습니다. 어쩌면 지금 제가 그때 만큼 왕성하게 덕질을 하지 못하는 까닭이 있는 탓도 있지만 앞으로 이런 분기가 또 다시 올까 싶을 정도에요. 이중적이지만 지갑을 걱정하면서도 그럴 때가 오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