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mmarly를 어찌할지 고민 중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계실 문법 교정/문장 첨삭 툴인 Grammarly를 어찌할지 고민 중에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해서, 윈도우에서 캡쳐 툴인 Snagit과 좀 상성이 맞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 저는 Snagit을 하루에도 몇 번씩 쓸 정도로 굉장히 이 툴을 애용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면, Snagit은 캡처한 윈도우의 정보, 그리고 그것이 웹 브라우저면 웹사이트 주소까지도 취득해서 파일의 메타데이터에 저장하고 나중에 검색이나 분류할 때 활용하게 되는데요. Grammarly를 실행하고 스크린샷을 찍으면 모든 파일이 하여간 “Grammarly Anchor Window”로 저장되는 불상사가 생겨버립니다.

이게 참을 수 없이 불편합니다. 그래서… Grammarly에도 연락해보고 Snagit의 제작사에도 연락해봤지만, 별 도리가 없었습니다. Grammarly가 윈도우에서 텍스트를 후킹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예 브라우저 확장만 남기고 데스크톱 앱을 언인스톨 했는데… 그러고 나니 또 없어지니 아쉬운 상황인 겁니다.

대안으로 DeepL WriteProWritingAid 같은 걸 생각 안 하는 건 아닌데… 아무래도 Grammarly도 업력이 길고 사용한지도 오래되다 보니, 뭔가 이건 아닌데 싶은 경우가 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DeepL Write는 실시간 수정을 해주지 않고, 고쳐 주기는 훌륭하게 고쳐주나 어디가 어떻게 왜 잘못 되었는지 까지는 친절하게 설명을 하지는 않습니다. 값은 싸서 좋긴 합니다. 보안성도 좋고요. ProWritingAid 같은 경우에는 실시간으로 고쳐 주기도 하고 어디가 왜 잘못 되었는지도 지적해줍니다. 다만 월 30~35달러나 하고 저 같은 캐주얼 용도나 간단한 비즈니스 교신용이라기 보다는 책 낼 사람용이라는 인상을 받네요. 그리고 UI가 독일 사람이 만든 DeepL보다도 무뚝뚝합니다. (개발사는 영국회사)

글쎄, 뭐 스크린샷 툴로서 Snagit을 관두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지만, 워낙 잘 써먹어서… 이미 워크플로우가 정착돼서 어려울 거 같고. 이래저래 고민하게 됩니다. 사이 좋게 지내면 좋을 것을.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