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켓배송이라는 마약에 관하여

인터넷으로 버튼을 눌러 물건을 사면 종종 소소한 쾌락을 느낄 때가 있다. ‘주문이 완료되었습니다’ 라는 한 마디에 안도하며 말이다. 그리고 이제 오나 저제 오나 하며 기다리고 기다리다가, 기다리던 물건 상자가 도착하면 뇌가 바빠지는 느낌이다. 흥분한 마음을 진정시키고 칼을 꺼내서 상자를 개봉해보자…

<쿠팡>을 쓰다 보면 이런 일련의 과정이 굉장히 단순화 되어 있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5만원 이하의 단품 구매인 경우에는 조나단 아이브가 죽여버렸다고 생각한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밀어서 결제’로 끝나는 경우가 태반인데 몇 초면 결제가 끝나고 그 속도나 편의성은 굉장히 뛰어나다.

‘몇 시간 이내로 주문하면 오늘 중으로 받을 수 있다’던가, ‘내일 새벽에는 도착한다’던가, ‘몇 개 밖에 남지 않았다’던가. 그런 재촉 문구를 보며 안절부절 못하다가 ‘밀어서 결제’를 해서 ‘주문이 완료되었다’라는 말을 보면 그렇게 안도가 될 수가 없다.

솔직히 말해서 다 이것이 쿠팡의 노림수라는 것을 알면서도 말이다. 만약 물건을 지르는 과정에 사람이 일정한 쾌락을 느낀다면 물건을 받는 순간에도 당연히 쾌락을 느낄 것이다. 쿠팡은 <당일 배송>이니 <새벽 배송>이니 하며 그 쾌락을 다른 업체 보다 빠르게 가져다 준다고 약속한다. ‘지름의 쾌락 사이클’을 한층 가속화 시킨 느낌이다. 사람들은 마치 아편에 중독된 것 마냥, 또 다시 쿠팡으로 향한다. ‘로켓배송’이 또 다시, 그리고 끊임없이, 지체없이 자신의 쾌락중추를 자극해주기를 기대하며. 그 댓가로 푼돈에 노동자가 갈려나가고 있고, 진짜 큰 돈은 쿠팡과 쿠팡의 투자자들이 번다.

나 스스로도 빠져있는 이 상황이 과연 바람직한 상황인지 생각에 잠긴다. 새벽 3시 6분이다. 오늘 새벽에도 얼굴 모를 누군가가 아마 문앞에 뭔가를 놓고 사라질 것이다. 산타는 1년에 하룻밤 오지만 쿠팡맨은 휴일도 없이 매일 밤 왔다가 소리 없이 사라진다. 솔직히 문제가 있다는걸 알면서도 로켓배송을 끊지 못하는 내 자신에 약간은 환멸감이 든다.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