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맥, 다시 맥
맥북 에어를 구입하면서좋은 점은, 후기에서 적은 장점만이 아닙니다. 요컨데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맥이 다시 생겼다는 것이고, 그 말은 맥에서 돌아가는 앱들의 윈도우용 대체 프로그램을 열심히 구할 필요가 없다는 얘기도 됩니다. 2016년에서 2018년까지 시기를 ‘굴락’에 비유 했습니다만, 2018년형 인텔 맥을 질질 끌고 있던 시기를 뭐라고 불러야 할 지는 아직 정하지 못했습니다.
아이폰을 사용하면, 데스크톱에서도 사용하고 싶은 앱이 분명히 있습니다. Ulysses(참고로, 이 글은 Ulysses에서 쓰고 있습니다)나, Things, OmniFocus나 OmniOutliner, Mindnode 등등. 그리고 iMessage 역시 그렇습니다, iMessage를 휴대폰에서만 받을 수 있는게 싫어서 Telegram이나 Signal을 썼으니까요.
애플은 여러가지 맥과 아이폰 간의 연계를 선보이고 있고, 갖가지 울타리 치기가 있지만, 사실 정말 제가 스스로 ‘울타리’ 안에 갇히는 것은 이런 앱들의 존재도 빼놓을 수가 없습니다.
흔히 윈도우에서 맥으로 옮기면서 “맥에는 윈도우에서 쓰던 어플을 쓰지 못할 수 있다” 라는 경고를 하지만, 그건 맥에서 윈도우로 옮길 때도 마찬가지라서요. 의외로 많은 서비스와 어플이 맥에서 먼저 선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요. 예를 들면 ChatGPT(Windows용이 나중에 나왔으나 Mac용에 비해 기능이 일부 제한됨),Superlist나, Dia 같은게 포함되겠죠.
애플 실리콘 만세!
그외에도 혹평을 받고 있지만 여전히 Apple Intelligence는 저한테 유용한 기능입니다. 그리고, 애플 실리콘에서만 동작하는 웹캠 관련 기능, 에어팟 관련 기능이 존재하죠. 이제 더 이상 낡은 프로세서라서 동작하지 않는 기능으로 전전긍긍하지 않아도 됩니다.
남은건 집에 있는 윈도우 친구들과 사이 좋게 지내는 것
남은건 이제 집에 있는 나머지 윈도우 PC들과 사이 좋게 지내는 것이네요. 어떻게 2대의 윈도우 PC와 조화롭게 지내도록 할 것인지. 그것을 고민해야겠습니다. 저는 주로 뒹굴거리며 맥을 쓰지만 책상에서 윈도우 데스크톱으로 일할 때, 어떻게 맥에서 하던 일을 이어서 할 수 있을 것인가 고민 해야 합니다. 그냥 맥북 들고 일어나서 도크에 꽂는게 빠를지도 모르겠네요. 어쩌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