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한 데이터란 핵 전쟁에 관하여

제가 SKT가 무제한 데이터 용량을 제공했을때 KT가 와이파이로 응수한다, 라고 했을때 쓴 글이 있습니다.
2010/08/30 – KT의 와이파이 정책을 보면서 드는 생각인데 말입니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벌어졌습니다.

그런데  우려했던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당시 제가 했던 내용을 인용하겠습니다.

저는 그보다는 더 열심히 무선랜을 깔고, 무선 데이터 용량을 늘리는 것을 택하겠습니다. 말씀드렸습니다만, 한국은 인구밀도도 높을 뿐더러, 테더링 등에 제한도 없습니다(미국이나 일본은 할 수 없거나 추가 요금이 듭니다). 따라서, 강남이나 시내 등 인구가 집중되는 장소의 집중적으로 사람들이 모이는 시설에서 쾌적하게 할 수 있을지 솔직히 말해서 의문이 듭니다. 데이터 속도는 차처하고 접속 성공률도 떨어지고, 마침내는 음성마저도 위협해 올지 모르죠. 그걸 어떻게 컨트롤 할지 그게 아마 숙제가 될 겁니다. (중략)

소프트뱅크는 2009년 이후 출시되는 신규 피쳐폰에 모두 Wi-Fi를 내장하고 있고, 2010년 이후로 엄청난 수로 Wi-Fi를 깔아대고 있습니다.  소프트뱅크를 비롯한 일본의 거의 모든 캐리어는 사실상 데이터 무제한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1 사실상 모든 사용자가 데이터 요금에 대한 의식이 없다고 해도 무방합니다. AT&T가 데이터 무제한을 폐지한다는 소식을 들은 일본 네티즌들은 만약 소프트뱅크도 무제한을 폐지하면 iPhone은 iPod과 다를게 없다. 라는 극단적인 반응을 보이는 사람도 있을 정도입니다. 아마 그 상황에서 Wi-Fi 스팟을 깔아대는 것은 물론 손 사장 말대로 고속의 데이터를 통해 고화질 동영상이나 풀사이즈 음악 벨소리 등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다. 라는 것도 있겠지만, ‘물쓰듯 쓰는 데이터’에 대한 부하를 조금이라도 나눠보겠다는 고육책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실제로 데이터 속도는 떨어졌습니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뿐이지 통신사마다 무제한 데이터 실시 후 속도는 더 떨어졌습니다(저는 SK와 KT를 두대씩 쓰고 있습니다). 동영상을 일상적으로 즐긴다거나, 음악을 스트리밍을 하는 것이 일상화된 우리나라 사람들은 스마트폰에서도 그러길 원할 것이며, ‘이때까지는 요금제의 제약으로 못해왔던것이 풀리면’ 판도라의 상자 열리듯이 늘어날테니까요. 그리고, 만약 그런일이 발생한다면 그걸 수습할 수 없다라는 걸 소프트뱅크의 사례를 들어서 설명드렸습니다.  해서 다른 포스트에서는 MAD(mutual assuared distruction; 상호확증 파괴)라고 소개 해드렸습니다. 쉽게 말해 “너도 나도 자폭!”

이미 한국인들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데이터 사용량은 세계 1위를 차지했습니다. SK에서 펨토셀(100~200m 범위에서 5~6인 정도를 커버하는 초소형기지국)을 늘리는식으로 기지국을 감당하겠습니다. 라고 하는 것은 이미 주 기지국 셀이 감당할 수 없다는 의미기도 합니다. 원래 ‘펨토셀’이라는건 그야말로 ‘셀’이 없는 곳에 셀을 만들어 주는건데 얘네가 하는 펨토셀은 셀이 있는 곳에 데이터만 받는 ‘셀’을 사람이 집중되는 장소에 만들겠다는 것이므로 그 뜻인거죠.  솔직히 데이터 용량을 확충하기 위한 펨토셀은 듣도보도 못한 신개념이다보니, 저로써는 감탄스럽기도 하고, 얘들이 바짝바짝 타는구나 싶습니다. 왜냐면, 펨토셀이라는 기계가 공유기 같이 생겨서 공유기보다 약간 넓은 개활지 기준 거리에 신호를 5~6대 정도(기종에 따라 더 많을수도 있고) 뿌려주는데 그 말인즉, 문제가 있는 장소에만 국소적으로 치료하는 방식이라는 거지요. 휴대폰은 핸드오버를 하는데, 이 기지국보다 저 기지국이 신호가 세면 저쪽으로 자동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러니까, 코엑스몰 건물에 자~안뜩 펨토셀을 지뢰밭처럼 깔아놔도 코엑스 문 바깥으로 나서면 펨토셀로 인한 효과는 무효. 라는 겁니다. 그나마도 펨토셀의 핸드오버가 제한적이라는 기사를 봤습니다.  즉 궁극적인 효과는 기지국을 늘려야하는데 그게 쉬워야죠…

해서, 요약을 하면 이렇습니다. KT가 와이파이가 안되는게 스마트폰이냐라고 SK를 도발하자 1) SK가 와이파이 도발에 못이겨 무제한 출발 2) KT가 응수 3)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제한 요금제 가입자 증가 4) 데이타 사용량 증가. 5) 부작용 발생 6) 일각에서 폐지론 발발.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이번 폐지 문제를 적극적으로 발의한 이용경 의원이 KT 사장 출신이라는거죠… 그니까. 말하자면 SK가 핵을 런치를 하고 우리가 응수는 했는데. 이거 좀 뒷감당하기 곤란하다…; 서로 자제하자 이건가요 -_-;  안타까운 노릇입니다. 뭐, 저로써는 할 말이 이것 뿐입니다. QoS에 관리를 빡세게 들어가던지(일정 용량 이상을 쓰면 속도를 현저하게 줄여버린다던지) ‘현실적인’ 제한을 시작하던지… 말이죠. 가령 와이브로 같은 경우 이미 한달 2만원인가에 30G입니다.  스마트폰 유저라면 현실적으로 15~30G 언저리면 무제한에 가깝습니다. 니가 어떻게 아냐? 면 그걸로 컴퓨터 물려서 유튜브도 봅니다. 그게 모자라면 그 사람이 Data Hog입니다. 무제한 데이터 논란이 있을때 동영상이나 스트리밍을 많이쓰는게 문제가 아닐까라고 트윗하니, “무제한으로 스트리밍/동영상 듣고 보는것 때문에 스마트폰을 샀다”라는 분에게 데이터 용량 얼마 쓰셨냐고 하니 3GB였다고 하시더군요. 실제로 아이패드 4G 요금제 다 채우기도 곤란하고 말입니다.

당신은 왜 통신사 편을 드는가? – 열차에 비유해보자 

물론 저도 소비자 입장입니다. 소비자들은 말합니다. “돈 받아 쳐 먹었으면 투자를 해라 이 개새끼들아!’라고 말이죠. 근데 말입니다. 지금 주파수가 모자랍니다! 다시 말하자면 말입니다. 섬과 본토를 잇는 단 하나의 12선로가 있는 해저 터널을 뚫어놨습니다. 2.1GHz대역이라는 이름의 이 터널의 선로 6개는 가입자가 가장 많은 SKT가 점해놓고 4선로는 KT가 쓰고 있습니다만, 나머지 2개 선로를 놓고 이동통신 3사는 죽어라 싸우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 터널(주파수 대역)을 벗어나서는 기존 열차(단말기)는 다닐 수가 없습니다. 어떻게서든 이 대역안에 밀어 넣어야 하는거죠.  일단 그렇다보니 사용자가 폭증한 KT가 비명을 질러댑니다. 우리를 좀 떼어 다오.. 우리 열차를 더 실어야돼! 라고 말이죠. 우리집에 불났어! 근데 문제는 SKT쪽도 사실 좀 입장이 난처합니다. 이쪽도 화물량이 늘어나고 있는 처진데다 원래 열차 편성이 더 많습니다. 그러니까 “우릴 더 줬음 좋겠다”라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갑자기 LGT가 나타납니다. 얘네는 섬을 케이블카로 잇는데, 다른 업체들은 표준궤 열차라 그냥 육지에서 바로 다른 도시로 갈수 있고 다른 도시에서도 섬으로 바로 갈수 있는데 케이블카는 필연적으로 다른 교통수단으로 갈아타야 하고 다른 도시에서 오는 사람도 반드시 갈아타야 하기 때문에 골치가 이만저만이 아닌겁니다. 그러다 절치부심하고 있다 LTE라는 신형 전동차 사업을 시작하며 말합니다. “우리도 LTE로 새로 시작하면서 쓰게 터널의 2선로를 우리에게 떼어다오”

죽음의 보틀넥과 데드락 

해서 정부에서는 이 문제를 가지고 골을 쓰고 있습니다. 세 회사 다 그럴싸~ 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죠. 학자들은 급기야는 그냥 세 회사가 사이좋게 나눠쓰도록 하면 안될까? 이런 소리까지 하게 됩니다. 말도 안되지만 말이죠. 그럼 옆에 나라에서는 어떻게 했나 한번 살펴보죠.

일본에서는 수도권에 인구가 3500만이 삽니다. 우리와 똑같이 2.1GHz를 쓰고 똑같이 2개 사업자가 있죠. 주파수 미어터져 버립니다. 결국 도코모가 800Mhz, 소프트뱅크가 1.5GHz대를 추가 대역을 따서 쓰고 있습니다. 도코모는 그나마 좀 낫지만 소프트뱅크는 전세계에 둘도 없는 펜타밴드 휴대전화가 되어버렸죠.. 터널의 비유를 들자면, 결국 12개의 선로를 다 나눠주고 대책이 안서다보니 결국 어딘가 ‘남는’ 땅이던 바다를 파서 터널을 새로 만들어 각자 선로를 파서 쓰기 시작했다는 얘기가 됩니다. 문제는… 그 주파수라는게 땅이나 바다처럼 ‘남는게’ 쉽지 않고 귀하긴 또 오죽 귀해야지요.

열차에 다시 한번 비유를 하지요. KTX가 서울지역에서 병목을 겪는 문제중 하나는 서울시내구간과 대전시내구간에서 재래선을 병용하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KTX 전용 선로를 못짓고 기존선 위에 KTX를 굴린다. 이건데. 뭐 땅값이 워낙 비싸고 전자는, 후자는 뭐 아직 미완공이라 그런걸로 아는데 아무튼, 서울 시내의 선로 부족 문제로, KTX의 편수도 제한 되고 재래선 편수도 제한되고 지연도 생겨버린건 주지의 사실입니다. “KTX 생긴 뒤로는 재래선이 지연되는건 아무렇지도 않다. 코레일이 돈벌려고 그런다”는건 아마도 이 두부분의 병목도 한몫할 겁니다.

서울역-금천구청간의 구간의 예에서 보듯이 한정된 구간에서는 한정된 정도를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코레일 입장에서는 당연히 KTX를 전용선으로 최고속으로 펑펑 돌리고 싶을 겁니다. 한편으로 고작 10 몇킬로 밖에 안되는 선로 때문에 재래선을 감편시키는 비효율도 참 아까운 노릇이죠. 하지만 공사화 된 마당에 비싸디 비싼 서울땅을 수용해 KTX 선로를 서울역까지 끌어다 깔 돈이 없네요? 있다쳐도 수지가 안맞고 할 땅도 없고…(물론 고육책으로 평택에서 수서로 끌어온다는 안이 있다고는 합니다만)

주파수와 무제한 문제도 이렇습니다. 주파수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기지국 늘려! 라고 말씀하시는데 그게 또 간단한게 아닙니다. 무선랜 기계 여럿놔보셨습니까? 그거 ISM이라는 2.4GHz대역을 쪼개 쓰는데 그게 같은 대역을 쓸때 여럿이 되면 혼선이 일어나면서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집니다. 같은 채널이면 말할 수도 없구요. 거리가 멀면 그나마 좀 낫습니다만 인접하면 카오스입니다. 무선 마우스와 무선 키보드와 블루투스 헤드셋과 무선랜을 함께 쓰면 뭐 아주 말 다했죠. 근데 그 문제가 기지국에서도 벌어집니다. 기지국 용량을 벗어날 정도로 미어터지게 되면 기지국을 증설하게 됩니다만, 그게 늘어나면 중첩이 일어나지요. 혼선이 생깁니다. 게다가 기지국에서 기지국으로 휴대폰 단말기가 이동을 하는걸 아까 언급했듯 ‘핸드오버’라고 하는데 이거에 지장이 생길 정도가 됩니다. 이미 KT 같은 경우에는 강남에서는 수십미터 반간격으로 심기도 했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지나치게 잦은 핸드오버는 통신 품질은 물론 단말기 배터리 수명에도 악영향이 옵니다.

뭐 지금 혹자는 말합니다. KT는 데이터가 최악이네요, SK는 나아요. 시간의 문제입니다. 무제한을 짊어지고 있는 한, 서로 먼저 망해라 경쟁을 하는 중일 뿐입니다. 이미 KT쪽이 불타기 시작했네요. 이제 SK차롑니다. 가령 SK쪽이 좋다.  SK 데이터 사용자가 지금 그대로 사용한다 가정하더라도, (타사에서 이동을 하던 신규로 가입하던, 복수로 사용하던)SK 가입자가 늘면 부하가 늘게 되어 있습니다(더욱이 SK가 좋다라고 인식이 퍼져버리고 그걸 홍보하고 있는 이상).  SK 피쳐폰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한다는건 전제에 넣지도 않았구요. 거기에 더해 만약 기존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 마저 늘면 그땐 KT가 쏜 핵이 아니라 이번엔 자기나라 핵잠이 노심용융일으켜서 자폭하는 사태가 벌어질 겁니다. 소비자는 그저 아, 무제한이네 좋아라, 하면서 느려터지고 접속안되는 인터넷을 ‘즐기는’ 것이구요. 이건 타사, 그러니까 KT나 LGT도 비슷한 처집니다. 그러니까 이걸 MAD, 즉 핵 전쟁에 비유한겁니다.

미안한 말입니다만… 이 미친 핵 전쟁은 어떻게든 마무리가 되어야 하지 않느냐. 라는 게 제 생각입니다.


Posted

in

by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