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폰의 추억
스티브 잡스가 처음으로 아이폰을 소개하던 때를 아직도 기억한다. 당시 클리앙의 게시판에서도 모두가 술렁이던걸 기억한다. 다만 GSM이어서 한국에서는 쓸 수 없었기에 한국에 출시도 있을 수 없겠구나 라는 생각을 다들 하고 있었다. 물론 그럼에도 수입을 해온 용자가 있었는데, 당시는 그러기 위해서는 개인이 직접 전파인증을 일일히 받아야 했으니 정말 어마무시한 정성이었을테다. 당시에도 지금 이 시대에 2G냐며 씹혔던걸로 기억한다. 생각해보면 세대(G)를 뒤쳐 가는건 이때부터의 아이폰의 전통인가 보다. 2008년에 WCDMA를 채용한 아이폰 3G가 나왔지만 결국 뭐 호사가의 입에만 오르다 다음해로 넘어가게 되었다. 물론 이번에는 한국에서 쓸 수 있었기 때문에 더 많은 용자들이 개별인증을 신청하는 모험을 떠나곤 했다. 그리고 아이폰 3GS가 발표가 되었는데, 사람들의 초점은 이 녀석이 한국에 나오냐 안나오냐 였고. 6월부터 다른 나라에 판매가 시작되자 사람들은 WIPI를 이유로 정부가 막고 있다던가 Wi-Fi 때문에 특정 통신사가 로비를 하고 있다고까지 이른바 음모론을 말하기에 이른다. 한국에서 아이폰이 나오는 것이냐, 안나오는 것이면 왜 안나오는 것이냐 문제는 국경을 넘어서까지 화제가 되었고(당시 CNN 방송을 보고 쓴 포스트가 있다) 결국 날짜를 초읽기 하면서, 언론은 연일 낙관론과 회의론이 섞인 기사를 내놨고, 11월 상순까지도 날짜를 정확히 확정을 못하다가 겨우겨우 11월 28일이 확정되고 22일부터 예약가입을 받고 이런저런 행사와 함께 출시가 되기에 이른다. 가격과 요금제 등등에서 여러가지로 잡음이 많았지만—요컨데 너무 비싼거 아니냐 같은—결과는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다. 아, 흔히 사용되는 대항마라는 표현은 이즈음부터도 이미 사용됐었다. 게섯거라도 그렇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우체국 습격 사건
당시에는 지금과 달리 애플 제품이 발매가 되면 발매일에 줄 서서 사는게 (해외에서)당연시 되던 시절이라, 한국에서도 발렌타인 데이 같은 국적 불명 행사 수입하듯이 그대로 수입해서 줄을 서기도 했었다. 나같으면 차마 11월 하순에 서울까지 가서 밤을 새지는 못하고, 아무튼 택배로 받기로 했었었다. KT는 물량이 폭주하자 제대로 감당을 하지 못했고, 일반출시보다 먼저 받아야할 예약구입자들이 뒷전으로 밀려날 지경이 되었다. 그 와중에 택배로 받기로 했던 사람들 중에서 정말 성질이 급했던 사람이 있었던 모양이다. 일부가 결국은 배달 도중인 아이폰을 우편집중국을 문자 그대로 쳐들어가 털어온 사태가 벌어졌다. 사람들의 아이폰에 대한 열망은 그 정도였던 것이다.
“가장 힘든 건 막무가내로 떼쓰는 사람들이죠. 지난해 아이폰이 출시된 날 너무 힘들었어요.” 서울우편집중국 조광범(40) 소포팀장은 아이폰이 처음 나오는 날 새벽에 너무 힘들었다고 말했다. 그날은 토요일이었다. 오전 2시 남자 두 명이 집중국으로 찾아왔다. “인터넷으로 배송 추적해 본 뒤 여기로 왔다며 택배를 미리 받고 싶다고 부탁하더군요.” 주말을 참지 못하고 찾아온 것이다. “새벽에 여기까지 와서 간절히 부탁하는데 어째요. 찾아 줬죠.” 그런데 문제는 이때부터였다. 물건을 미리 받았다는 것이 순식간에 인터넷에 퍼지면서 오전 7시까지 새벽에만 모두 32명이 다녀갔다. 조 팀장은 “요즘은 택배로 보낸 내 물건이 어디쯤 가고 있는지 인터넷으로 다 알 수 있다”며 “하지만 이렇게 막무가내로 찾아오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중앙선데이 2010.2.6)
그리고 택배로 (어마무시한 지연과 우체국이 털렸다는 소식에도)얌전히 받은 사람도 처음 거사(?)를 치르는 KT의 미숙한 대처 때문에 개통을 못하고 발을 동동 구르게 된다. 나 또한 마음을 잔뜩 태우다가 겨우겨우 됐고 KT는 이때 불편을 겪은 사람들에게 보상을 제시해서 달래야만 했다. 물론 그것도 유명무실해 욕을 얻어먹었지만.
아이폰을 처음 접하며 놀랐던 기억
사실 당시 iPhone OS라고 불리던 OS를 탑재한 기기를 처음 쓴것은 아니었다. 아이팟 터치 2세대를 사서 썼고 그리고 때만 되면 카메라가 없고, GPS가 없는 것을 한탄했다. 분명히 한계가 있었으니까. 당시에는 테더링이나 에그(모바일 Wi-Fi 공유기) 같은게 없었으니 더더욱 목말랐던 것이다. 아이폰을 받아 심을 꽂고 전원을 켜고 컴퓨터에 연결해 액티베이션 한 후, 처음 외출했을때. 그때 나는 자유를 체감했다. 전철에서 아마존 CD를 살 줄이야.
자유는 달콤하고 좋았다. 아이폰 앱은 새로운 노다지라고 여겨졌고, 여러 선구자들이 늦게 시작한 한국 환경에 맞는 앱을 개발했다. 예를 들면 초성 다이얼이 안되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초성 다이얼이 되는 앱을 개발한 분도 계셨더랬다.
아이폰을 쓰면서 내게 생긴 가장 큰 변화라고 하면 뭐니뭐니 해도 트위터일 것이다. 지금도 하루에 몇번을 들여다 보는지 모르지만 아이폰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그렇게 열심히 하지는 않았었다. 하지만 아이폰을 사용하게 된 이후로는 3G+카메라의 조합으로 더 강해져서 이후로는 트위터라는 것을 생활에서 지울 수가 없게 되었다. (사실 이 즈음해서 한국에서도 트위터 바람이 불었지만 머잖아 사그라든다) 카메라도 반가운 추가였다. 아무리 좋은말로 말해도 카메라가 좋은 퀄리티라고 할 수는 없었지만 말이다.
당시 나는 아이폰이 전지전능해 보였고(아이러니하지만 이건 당시 삼성이 옴니아에 붙인 표현이다), 정말 이것저것 했었다. 당시 내 블로그에 아이폰이 강력하지만 배터리가 부족하다는 불만도 올린 적이 있다.
아무튼 기계를 받아서 개통을 한 다음에 아이폰을 가지고 놀았다. 트위터를 하고 블로그에 글을 쓰고, 박스웹(m.boxweb.net)을 이용해서 커뮤니티를 돌아다니고 웹검색을 통해서 카페에 글을 읽고 쓰고, 뉴스를 보기도 하고 메일을 보고 음악을 듣고 전화를 했다. 아이폰의 카메라는 몇만화소인지조차 모르겠으나, 그 활용도면에서는 1200만화소짜리 DSLR에 못지않는 활용이 가능하다. 사진을 찍어서 바로 트위터나 블로그에 첨부하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했다. 어제는 집에서 뒹굴거리며 Wi-Fi로 했고, 오늘은 실전으로 바깥에 나가서 3G로 사용했다.
어디서든 인터넷은 생각보다 위력적인 것이었다. 영등포까지 영화를 보러 오가는 길 동안 음악을 들으며 아이폰으로 서핑하며 보내자, 거짓말 조금 보태서 금정에서 환승하는 것을 놓칠뻔했고, 정신차리고 그만두자 금천구청에 갈때까지 금방 몰두하게 되었다. 영화를 기다리면서 스타벅스에서 인터넷을 하면서 시간을 보냈다. 유튜브로 ‘놀라는 고양이’ 동영상을 보다가 뿜어서 반경 수미터의 집중을 모았다. 그러다가 영화가 끝나고 영화의 감상에 대한 일성을 영화관에서 나오자마자 같이 영화를 본 그 누구보다도 빨리 세상으로 타전했다. 몇시간의 빈 시간과 이동시간의 지루함을 일소시켜줌과 동시에 인터넷 세상과 끊임없이 연결해 주었다. 아이팟 터치에 휴대폰을 더했을 뿐인데 할 수 있는 일과 즐거움은 몇배가 되었다.
배터리 문제는 아킬레스의 건이지만, 언론에서 말하는 것 만큼이나 심각하지는 않다. 집과 바깥에서 사용해본 결과 하루 일정 정도는 가볍게 소화할 수 있었다. 전철을 타고 한시간 가량 이동하고 한시간 정도를 앉아서 인터넷을 하고 다시 한시간 정도 돌아오면서 사용하고도 배터리는 충분히 남았다. 물론 그 사이사이에 트위터를 하고 메일을 확인하고 문자를 보내고 전화를 했다. 대기시에는 배터리가 아주 천천히 닳는다. 인터넷이 전력을 먹는 왠수인것이다. 문제는 이 기계는 종일 인터넷을 항상 할 수 밖에 없는 기계라는 점이다. 그래서 적지 않은 용량임에도 불구하고 배터리 수명이 간당간당 한 것이다. 아마 어떤 기계도 이렇게 하루종일 조물딱거리면서 인터넷을 사용하면 좋건싫건 이정도 수순으로 소모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
나는 아이폰의 배터리를 들어서 ‘에반게리온’을 비유한 적이 있다. ‘궁극의 최종병기’이지만, 케이블이 분리되면 5분밖에 작동하지 않는 에바처럼, 엄청난 파워와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그만큼 엄청난 전력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이후로 정말 많은 것이 발전했고 몰라보도록 변했지만 배터리는 여전히 아쉬울때가 있다는 것이 아이러니다.
아이폰 쇼크, 그 후.
아이폰 10년, 모바일 뱅킹과 쇼핑이 PC에서의 쇼핑을 앞서게 되었고 사람들은 이제 폰에 내장된 GPS를 이용해서 택시를 잡고 음식을 주문한다. 메신저 소프트로 시작한 카카오톡은 다음과 합쳐서 모두를 놀라게 했다. “언제든지 인터넷”이 당연해져서 사람들은 이제 음악이나 동영상을 다운로드 받지 않고 스트리밍해서 즐기기 시작했다. 불법복제율이 줄어들었고 거대한 시장이 되었다.
또 한편으로 국경이 없는 시장이 열렸다. 좋은 앱과 서비스는 국경이 없고, 밀려드는 서비스도 있는 한편 해외로 나간 서비스도 있다. 아이폰 이후로 안드로이드의 보급으로 구글이 자리를 잡는데 계기를 제공하기도 했다.
무엇보다도, 아이폰의 최대 공헌은 경쟁자들에게 충격을 주었다는 점이다. 당장 삼성이 아이폰에 대한 대항을 위해 옴니아로 조롱을 듣는 동안 여러가지를 벤치마크해서 내놓은 것이 갤럭시 S 시리즈지 않던가? 너무 열심히 벤치마크해서 “세기의 특허 소송”이 벌어지게 만들었지만.
아이폰이 들어서고 나서 본격적으로 제대로 된 모바일 웹페이지가 생겨났고 2010년대에 들어서 아예 반응형 웹사이트가 일반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아이폰 이전의 이동통신사가 만든 3사마다 제각각의 독자적인 규격의 폐쇄적인 웹에서 완전히 열린 웹으로 바뀌었으며, 아이폰 쇼크 이후로 모바일 기기를 비롯해서 어디서든 읽을 수 있는 페이지가 폭증했다. 반대로 플래시는 아이폰에 이어, 아이패드에서 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유명한 스티브 잡스의 편지(“Thought on Flash”, 이건 위키백과 항목까지 있다) 이후로 한동안은 “플래시가 안되는 폰(태블릿)”이라고 불리웠지만 결국 어도비는 모바일에서, 그리고 데스크톱에서 영구히 플래시를 포기해버리고 만다.
아이폰 쇼크 이후로 모두가 손에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는 매체를 손에 쥐었고, PC와 TV는 예전만한 위상을 차지 하지 못하게 되었다. 내 동생은 자기 방에 TV를 두지 않고 거의 대부분을 스마트폰, 가끔 PC를 쓰며 여가시간을 보내곤 한다. 나 또한 상당시간은 아이폰을 포함한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아이폰이 처음 나오면서 KT 임직원들은 어떤 생각으로 요금을 구성했을지 궁금하다. 아이폰 전용 요금제를 쓰기 전에는 음성이 주(主) 로, 무료 통화시간이 600분이 주어지는데 이게 이월되고, 메시지가 몇건인가 제공되고, 데이터가 약간 제공되는 요금제였는데 아이폰이 나오면서 데이터가 몇MB, 음성은 몇몇 분 제공 되고 문자가 몇개 제공됩니다 하는 식의 요금제로 재편되었다. 이렇게 데이터가 주가 되더니 아이폰 4~4S 즈음, 그러니까 3G 말기가 되서는 무제한 데이터가 나와서 이동통신사의 데이터 용량을 마구마구 잡아먹더니 LTE가 나온 이후에는 이 무제한 광풍이 좀 잦아들어서 데이터는 용량이 다시 생겼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에 들어서는 아예 음성이나 문자는 무제한인 요금제가 일반화되었다. 2010년대 후반에는 3G때에 비해 무진장 값이 오르긴 했지만 데이터 무제한이 다시 부활하기도 했다. 이렇게 요금제의 패턴이 바뀌는 동안 이동통신사의 수익구조가 완전히 변경되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아이폰 10년 그리고 앞으로는?
자, 이제 아이폰이 한국에 나온지도 벌써 10년인데, 돌이켜보면 많은게 변했다 싶은 것이다. 분명히 2019년은 아이폰을 비롯해서 애플 제품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좋은 시기임에 틀림이 없다. 이제는 해외 카드가 없어도 원화로 앱스토어 결제가 가능하게 되었고 휴대폰 결제도 되서 카드가 없는 학생에게 아이폰을 권하기 뭐하던 시절도 지나갔다(뭐 사실 그전에 이미 체크카드들이 해외 결제가 되는게 늘긴 했다). 언론에 맨날 씹히던 A/S는 나 자신도 정말 블로그 도처에서 씹어댔었는데(쑥쓰러우니 링크는 생략한다), 지금도 예전에 비하면 많이 나아졌지만 미묘~한것이 사실이다. 사람들이 염원하던 애플 스토어는 가로수길에 Apple 가로수길이 생기며 현실화되었지만, 휴일에 제품 발매 직후에 가면 그야말로 도떼기 시장이라, 가로수길 직원 조차도 “하나는 더 생겨야 할 것 같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인지라, 애플아 좀 더 힘써봐라 싶은 것이다. 아이튠스 스토어는 결국 애플 뮤직으로 갈음된 느낌이고(아이튠스 스토어가 생긴들 얼마나 다운로드 받을지 모르겠다) 말이다. 국정감사에서 다른 업체보다 적은 애플의 (직영)서비스센터 개수를 두고 가타부타 말이 있었지만, 업계에서 가장 긴 고객지원/스토어 전화/채팅 시간이라던지, 보증기간과 파손시 비용을 보전해주는 애플 케어 플러스도 한국에서도 정식적으로 시작되었고. 아무튼 굼벵이마냥 개선은 되고 있는 듯하다.
한편, 글을 쓰는 지금 눈앞에 방금 애플 가로수길에서 가져온 뜯지 않은 아이폰 11 프로 맥스(다시 생각해봐도 이거 참 긴 이름이다)가 있다. 약간 더 자랑하자면 에어팟 프로도 있다. 둘 다 올해 신제품인데 예전같으면 출시와 함께 테이프를 끊었을텐데… 이렇게 느지막히라니 나도 이제 많이 열정이 식었구나 싶으면서 동시에, 물론 이런 IT 가젯의 최대 대목이 할리데이 시즌/연말이라는걸 알지만서도, 미국이나 일본, 싱가포르 등에 비해 여전히 항상 한두달 늦는 출시를 보면서 애플코리아 씨 앞으로 좀 더 분발 해주십사. 하는 것이다. 게다가 애플 페이는 둘째치고 애플TV+는 100여국에 출시하면서도 한국은 기약이 없잖아요. 라는 말을 덧붙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