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콤 Bamboo Ink – 좋은, 그러나 내게는 돼지목의 진주

와콤(Wacom)이라고 하면 사실 독점 기업의 대명사라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디지털로 그림 그리는 분의 태블릿을 보면 십중팔구 와콤의 펜 태블릿 ‘인튜오스’거나 액정 태블릿 ‘신틱’일겁니다. 그 외에 와콤은 이런저런 분야에 있는데 가령 OEM 방식으로 납품하는 노트북용 터치/펜 패널이라던지 그리고 가까운 곳에 많이 팔린 갤럭시 노트 시리즈의 펜 유닛이라던지 말이죠.

제 노트북 Lenovo ThinkPad X1 Yoga에는 이 와콤에서 납품한 AES(이게 뭐의 약자였더라) 방식의 10포인트 터치/펜 입력 패널이 달려 있습니다. 2048 필압을 지원한다고 하죠. 음,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게 신틱을 따라잡을리는 만무하고…

좌우지간 가장 커다란 불만은 이쑤시개 같은 내장 펜이었습니다. 레노버에서 좀 더 크고 굵은(?) 펜을 판다고는 하지만 으음. 몇주 기다리라는게 영 안내켰구요. 기왕이면 OEM 메이커에서 내놓는 제품으로 하자. 싶어서 뒤져보던 중 와콤이 윈도우 10용 Windows Ink에 최적화 된 녀석을 2017년에 내놓았다는 것을 보고. 이거다! 하고 지르게 되었습니다.

일단 굵고 길고요. 스테들러였나에서 내놓은 필기구 중 일부가 채용하고 있는 삼각형 몸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역시 독점이라고는 하나 펜을 깎는데는 일가견이 있어서 그런지 쥐기 편합니다. 버튼의 위치도 절묘하고요. 이 펜은 사서 배터리를 넣고 블루투스 페어링 모드에 넣은 다음, 블루투스 페어링을 해야합니다. 그래야 꼭지부분의 버튼을 작동시킬 수 있죠. 아, 그리고 AES가 주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서피스도 지원합니다. 펜 자체는 4096 필압까지 지원하니, 올해 나오는 거의 모든 2 인 1 제품이나 태블릿에 걸맞겠군요.

그림을 잘 못그립니다. 그래서 이걸로 뭘 할 수 있나 싶긴 한데, 일단 글씨를 써보니 글씨는 잘 써지더군요. 필압도 잘 감지하는 것 같고 말이죠. 꼭지 버튼을 누르면 윈도우 Ink와 관련된 기능, 메모를 남기거나 스케치북을 열거나, 화면을 캡쳐하거나 메모지를 띄우거나 하는 일 들이 가능합니다.

AES가 들어간 랩톱이나 2인1, 태블릿을 사용하시거나 혹은 MS 서피스 사용자 중에서도 펜에 만족하지 못하신다면 사용해 보실 만합니다. AES 사용시 AAAA 배터리로 4주 서피스 사용자는 3주 정도 사용할 수 있다고 하네요.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