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가짜 뉴스가 난리입니다. 미국 대선에서나 보던 가짜 뉴스는 사실 이전에도 찌라시라는 형태로 돌아다녔고 메신저를 통해서 알음알음 암덩이 마냥 퍼졌습니다만, 이제는 일반인 사이에도 마치 진짜 뉴스인것 마냥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 등 CMS의 발달로 뉴스 사이트를 만드는건 어느 때보다 쉬워졌고 그런만큼 사이비 뉴스 사이트도 늘었습니다.
사람들은 왜 가짜뉴스에 빠져드는걸까요. 전문가들은 확증편향의 오류에 빠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자신이 가진 생각에 좀 더 치우친다는 얘기죠. 거기에 소셜네트워크는 자신의 지인이 올려주는 내용이라 비슷한 연령대나 사회적 지위, 혹은 학력을 가진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전달이 된다는 점이 더더욱 성가신 점입니다.
이미 고양이 타임라인의 함정에서 말씀 드렸듯이 소셜 네트워크에 빠져들다보면 굳이 확증편향에 빠지지 않더라도 자신이 생각하는 바가 맞다는 착각에 빠지게 됩니다. 자신이 원치 않으면 팔로우를 하지 않거나 블록을 하고 페이스북의 경우 자신이 원할 법한 정보가 전진 배치되죠. 그런 상황에서 균형된 뉴스를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보는 것은 매우 어렵습니다. 설령 그것이 여러사람에 의해서 리트윗/공유된 것이라 할지라도 말이지요.
최근에는 정 모씨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이 있습니다. 제가 유튜브 레드까지 가입하면서 하루에 꽤 많은 시간 유튜브를 보는 동안 느낀것은 유튜브도 알고리즘이 있고 소셜네트워크처럼 보고 싶은것과 보고 싶지 않은 것을 보여준다는 겁니다. 구독하는 채널과 검색한 단어에 관련된 동영상을 보여줍니다. 아마 탄핵에 찬성하는 사람과 반대하는 사람의 유튜브 화면은 완벽하게 다를 겁니다. 그걸 아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또 한가지 더, 팟캐스트가 있습니다. 앞서 말한 확증편향과 지명도를 업고 좌지우지하고 있지요. 유튜브의 영상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성향을 가지고 있고 틀린 정보도 있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흔히 수년전만 하더라도 포털 뉴스 편집의 편향성과 실시간 검색어 조작이 화두였습니다만 이제는 포털의 어젠다 설정 능력은 예전만 하지 못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미국에서만 하더라도 44%의 미국인이 페이스북에서 뉴스를 본다는 얘기가 있습니다(퓨 리서치 조사). 우리나라에서도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카카오톡이나 밴드 등을 통해서 뉴스를 볼 것 같습니다. 특히 지금처럼 정치가 보수 진보로 양극화 된 상태에서는 더더욱 말이죠.
미국에서는 페이스북 등 소셜미디어와 구글 등 검색엔진이 가짜 뉴스를 걸러내는 노릇을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에 말이 많았습니다. 할 수 있는데 왜 안하는 걸까, 뭐 그런거겠죠. 우리나라에서도 이런 노릇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사용자가 걸러내는 수밖에 없을 겁니다.
어떻게 가짜뉴스를 가려낼 수 있을까요? 일단 가장 좋은 방법은 믿을 수 있는 뉴스 사이트를 북마크에 추가해두었다가 살펴보는 겁니다. 그 다음으로 친구 등에게서 받은 뉴스를 검색해보는 겁니다. 아주 황당무계한 뉴스가 아니라면 다른 사이트에도 비슷한 내용이 있기 마련입니다.
정말 참신한 내용이라 그 사이트만 다루고 있다면 그 사이트가 믿을 수 있는지 살펴보는 겁니다. 광고의 질이나 기사의 질을 두고 판단할 수 있겠지요. 업데이트는 매일 여러번 자주 되는지, 필자는 여럿인지 말이죠. 영세한 매체는 업데이트가 뜸하거나 필자가 얼마 없거나, 광고의 질이 구글 광고라던지 (뭐 이건 대형 매체도 어느정도 마찬가지인데) 음란한 광고가 있다던지 하는 경우가 많으니 고려해 봅시다.
어느때보다 가짜뉴스의 위기가 심합니다. 수동적으로 정보를 주입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능동적으로 정보를 체크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공유버튼을 누르기 전에는 말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