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레드(YouTube Red)를 써보고

지난 6일날 구글이 유튜브의 유료 버전인 유튜브 레드를 한국에서 시작했으니까 내일이면 딱 일주일이 됩니다. 시작한 날 바로 30일 트라이얼과 함께 결제 정보를 등록하고 사용을 시작했습니다. 제가 느낀 점에 대해서 간단하게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일단 유튜브 레드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이미 많이 들으셨으니 아실테니 써보고 나서 느낀 제 감상을 덧붙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유튜브 레드를 사용하면 동영상에 광고가 사라집니다. 데스크톱의 경우 광고 차단기(Ad-Blocker)를 사용하면 광고를 보지 않을 수가 있지만 모바일의 경우에는 손놓고 기다려야 합니다. 어디에선가는 몇 초 기다리면 스킵 버튼이 나오는데 그걸 못참느냐 라고 하시는데 스킵이 안되거나 말도 안되게 오래 지나서야 나오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저의 경우 가만히 어딘가 앉아서 컴퓨터 앞에 앉아서 한가하게 심심한데 고양이 동영상이나 볼까? 하는 거라면 몇 초 기다릴 수 있지만, 모바일로 보는 경우에는 어디 한가하게 앉아서가 아니라 이동 중이거나 짬짬이 보는 것이기 때문에 그 몇 초도-그리고 그 몇 초 동안 소비되는 데이터도- 적다면 적지만 최소한 저에게는 아깝습니다.

게다가 요즈음 들어서는 수익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동영상 처음에 시작하는 광고도 있지만 TV 중간 광고 마냥 동영상 중간에 나오는 광고도 짜증나게 있고 심지어 최근에는 크롬캐스트로도 광고가 나오기 때문에(얘는 버튼이 없으니 스킵도 힘듭니다) 광고를 안보는 것은 꽤나 괜찮습니다. 유튜브를 수많은 동영상 사이트 중 하나로 본다면 굳이 몇천원을 달달이 지불하는게 아까울 수 있지만 유튜브를 매일 같이 사용하면서 수많은 동영상을 보는 저로써는 결코 아깝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기왕 모바일 얘기가 나왔으니 말하자면 유튜브 레드에 가입을 하면 동영상을 튼 상태에서 백그라운드로 돌리면 재생이 정지 되지 않고 동영상의 소리만 들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화면을 꺼져도(잠겨도) 동영상이 계속 재생됩니다. 소리만 들을 수 있죠. 동네 슈퍼의 아주머니가 유튜브에서 찬송가나 설교를 찾아 틀고 충전기를 물린 뒤 화면 꺼지지 않게 설정해서 들으시는데 굳이 이런 극단적인 예를 찾지 않더라도 음악만이나 오디오로 들을 수 있는 동영상을 틀고 소리만 들으며 멀티태스킹을 하거나 이어폰을 꽂고 소리만 들으면서 이동한다거나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언급할 것은 유튜브 뮤직(YouTube Music) 앱 입니다. 그야말로 유튜브에 올라온 수많은 음악 동영상만을 볼 수 있는 앱입니다. 자신이 재생했던 음악과 동영상을 바탕으로 그리고 선택한 동영상이나 음악을 바탕으로 관련된 음악을 찾아서 연속해서 자동 재생해줍니다.

이 앱은 유튜브 레드 출시와 함께 한국에서도 다운로드 가능하게 되었는데요, 사실 유튜브 레드 없이 이 앱은 커다란 가치가 없습니다. 그래서 유튜브 레드와 같이 공개 된 겁니다. 유튜브에 올라온 음악만을 말씀드린 대로 마치 음악 서비스처럼 자동 재생으로 주욱 들을 수 있고 검색해 유튜브 레드에 가입을 하면 화면이 꺼진 상태는 물론 화면이 켜진 상태에서도 동영상이 아니라 오디오만 들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아예 오디오만 스트리밍하는 것이죠. 모바일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나 배터리가 아쉬운 경우에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저품질 음원이 유튜브에서 추출한 MP3라고 하는 것에도 알 수 있듯이 음질에 대해 커다란 기대를 할 수는 없지만 BGM으로 틀고 듣는데는 꽤 괜찮습니다. 그리고 물론 유튜브 메인에 가입하면 화면이 꺼져도 재생이 계속 되기 때문에 그냥 스트리밍 음악 앱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 까닭에 유튜브 레드가 없으면 가치가 없다고 하는 겁니다. 음악 전용 재생도 안되고 백그라운드 재생도 안되니까요. 유튜브 메인 앱과 마찬가지로 거의 매일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튜브로 음악이 들어간 동영상을 많이 들으시는 분이라면 좋아하실 겁니다.

또 다른 기능으로 유튜브와 유튜브 뮤직 모두 휴대폰 로컬 저장소에 동영상을 저장해 놓는 것이 가능합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사실상 전국 어디서나 LTE로 고속 데이터를 쓸 수 있고 실질적인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도 존재하니 유튜브 동영상 하나 보는것이 커다란 부담일까 싶기도 하지만 유튜브에서 2분짜리 고양이 동영상을 보는데 최소 수십메가가 들어가기 때문에 헤비하게 유튜브 동영상을 보고 저렴한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 와이파이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트는게 나을 수도 있겠죠. 얼마전부터 넷플릭스도 오프라인에 저장하는 기능을 도입했는데요, 유튜브 동영상이 그렇게 길지 않으니 드라마나 영화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넷플릭스에 비해 유용성이 떨어지지만 비행기 여행을 하면서 고양이 동영상을 본다던지 궁리하기에 따라 편리할 수 있겠지 싶습니다. 대다수 나라는 우리나라처럼 사실상 무제한 요금제를 제공할 정도로 이동통신사들이 자비롭지 않기 때문에 사실 다른 나라에서는 좀 더 괜찮은 딜이 될 수도 있을지 모릅니다.

뭐 유튜브 레드 오리지널로 뭔가를 제공한다고는 하지만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아무것도 없으니(VPN으로 다른 나라로 바꾸면 볼 수 있긴 합니다만) 할 말은 없습니다. 뭐 사실 진짜로 서비스를 시작하더라도 넷플릭스나 왓차플레이 혹은 푹(pooq)이나 물 건너서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Amazon Prime Video)나 훌루(Hulu) 등과 경쟁을 할 수 있는지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사람에 따라 우선 순위가 다릅니다. 광고를 두고 얘기하자면 광고 없이 볼 수 있다는 것 만으로도 돈을 치를 용의가 있는 사람이 있는 반면, 돈을 내지 않는다면 광고를 보는게 더 낫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가디언(The Guardian) 紙의 온라인 사이트인 theguardian.com은 최근 광고 차단기를 많이 사용하니 기발한(혹은 보기에 따라서는 성가신) 방법을 생각해냈습니다. 광고차단기를 켜면 화면 하단에 “광고 차단기를 켜셨군요. 다른 방법으로 저널리즘을 후원해 주시지 않겠습니까?”라면서 한달에 5달러부터 시작하는 후원회원에 가입할 것을 권유합니다. 후원 회원에 가입하면 광고 차단기를 켜도 이런 메시지는 다시 나오지 않습니다. 가디언은 유료 구독 없이도 모든 기사를 제한 없이 읽을 수 있기 때문에 광고 수입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러는겁니다, 돈을 낼래요? 아니면 광고를 보실래요. 사실 가디언보다 더 빡세게 압박 메시지를 띄우고 또 가디언보다 비싼 요금을 요구하는 곳도 있습니다. 아예 앞으로 안나가는 사이트도 있구요. 그런 곳은 그냥 “졌다 졌어” 하고 화이트리스트에 넣곤 합니다. 몇십 달러를 요구하는 그런 사이트와는 달리 가디언 정도로 한달에 5달러 정도라면 “자유로운 저널리즘”에 대한 후원 차원에서라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유튜브에서도 광고를 보실래요? 아니면 직접 돈을 주실래요? 하는 것이고, 사용자가 낸 요금은 일정 부분 창작자에게 직접 지급됩니다. 무엇을 선호하는지는 사람에 따라 다를 겁니다. 만인을 위한 서비스는 아닐겁니다. 그래서 유튜브 레드의 가입자는 그렇게 많은 편은 아니고(아마 가디언을 보면서 돈을 내는 분-가디언 멤버스 회원-들도 그다지 많을 것 같지는 않습니다) 덕분에 이 서비스가 과연 오래 갈까?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몇개 나라밖에 시행안한 서비스고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미국의 경우 구글 플레이 뮤직(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과 번들해서 팔고 있습니다만 영 신통치 않거든요. 이건 미국에서 압도적으로 스트리밍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스포티파이(Spotify)의 존재가 있다는 걸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모든 iOS와 macOS 기기의 음악 앱과 아이튠스에 깊숙히 통합시켜버린 애플 뮤직이 오히려 그나마 선방하고 있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니까요.

해서 이 서비스가 오래 가든 안 가든 유튜브 동영상을 많이 보는 저로써는 반가운 서비스이고 얼마 가다 없어지더라도 없어질 때까지 사용할 것 같습니다. 유튜브 동영상을 많이 보시는 분이라면 아마 만족하실 겁니다. 근데 고양이에게 우유를 준다면 비스킷을 달라고 한다고 기왕 백그라운드 재생을 지원하는 김에 아이패드에서 PIP도 지원 해주지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여담. 사실 일본 계정으로 구글 플레이 뮤직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미국에서 플레이 뮤직과 유튜브 레드를 셋트로 팔고 있어서 당연히 일본에서 먼저 서비스 될 거라고 생각해서 어떻하나 싶었는데 놀랍게도 한국에서 먼저 시작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계정은 당연히 한국 계정이니만큼 정말 다행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