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나는 네이버 없이 살 수 있다는 선언을 2009년에 하고 거기에 대한 비아냥에 반박까지 한 이후로 네이버를 거의 들어가지 않는 까닭에 잘 모른다만, 선정적인 뉴스의 산실이던 네이버 뉴스캐스트가 사라지고 4월 1일 부터인가 뉴스스탠드라는 녀석이 생겼다는 모양이다. 사용자가 언론사를 선택해서 첫 화면을 고를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낚는 것’도 곤란해 졌다는 말이다. 덕분에 중소 언론사에서는 PV(Page View)가 급전직하했다는 소리가 들린다. 블로그를 하다보면 느끼는 것이 있는데 PV가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UV(Unique Visitor)가 있고 그외에 체류 시간도 중요하다. 체류시간을 재는 방법은 Duration Time도 있고 View per Visit 라는 방식도 있는데… 개인적인 생각에는 Duration Time도 중요하지만 후자가 더 영양가 있는 통계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Duration Time은 단순히 페이지를 열어놓고 읽으면 올라가는 수치지만 후자는 접속한 사용자가 이 페이지 저 페이지를 돌아다녀야 올라가는 수치이기 때문이다. 즉 다시 말해서 사이트의 내용에 그만큼 관심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뭐 사실은 둘 다 보는게 좋지만 말이다. 나도 물론 방문자, 이른바 검색이나 소셜미디어 등을 통한 PV가 올라가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이지만 되도록이면 체류시간의 증가를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 링크를 추가하거나 태그를 엮거나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한 페이지만 보고 돌아가는 독자보다는 아무래도 여러페이지를 보는 독자가 더 양질의 독자이기 때문이다.
@estima7 @leejeonghwan 뉴스스탠드 방문자 수가 예전만은 못하지만, 제호를 보고 들어온 만큼 한번 방문에 여러 기사를 읽더라구요. 읽는 기사들도 과거보다는 고퀄이고요. 개인적으로는 수가 적어도 방문자보다 '독자'가 더 좋아요^^
— JeongYeon Han,한정연 (@Jayhan0903) April 10, 2013
(WSJ 한국판 편집자 한정연씨)
이처럼 뉴스스탠드의 독자가 각 매체의 충성도가 높고 체류시간이 높다. 따라서 광고나 부분유료화(metered paywall)에도 훨씬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충격적이고 자극적인 제목으로 낚는 것만으로는 이제 앞으로 통하지 않게 될 공산이 크다. 그리고 이제는 과거처럼 ‘광고 더미’으로는 기피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 한겨레의 웹사이트를 (꽤) 오랜간만에 들어가봤다. 솔직히 고백하자면 (정견을 떠나서)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의 웹사이트를 선호하는 편이었는데 그 까닭은 광고가 읽는것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전에 뉴욕타임스에 유료화를 하면서도 광고를 싣는 것에 대해서 가독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싣는다라는 설명을 들은 적이 있었다. 최근의 한겨레 웹사이트 또한 나름 그 부분에서 신경을 쓴 것 같아서 마음에 들었다. 그러나 다른 언론사 사이트들은 여전히 문제가 많은 것 같아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물론 수익화에 관한 문제겠지만… (사실 내 블로그만 하더라도 호스팅 비용과 도메인 비용을 들이는 반면 구글 애드센스 조차 달지 않고 있지 않은 까닭에 매년 적자지 않은가?)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험으로 돌아와서 단순한 검색으로 들어온 방문자를 여러 페이지로 이끄는 것이 중요하고, 그 방문자를 RSS나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등의 구독자나 팔로워로 이끄는 것이 중요하며, 그런 식으로 고정적으로 반복해서 방문하시는 분들이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뉴스캐스트는 내가 볼 때 매체의 충성도를 높혀줄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우려가 되는 점은 얼마나 적극적으로 ‘구독자’를 늘려나갈 것인가? 라는 점이며 네이버 홈 화면에 꽂느냐?라는 의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자들이 적극적인 수용이 아니라 수동적인 수용에 익숙해져서 그냥 네이버 뉴스로 흘러가지 않을까? 라는 의문을 품고 있는데, 그것을 달랠 방법은 하나 뿐이라고 생각한다. 인터랙티브 등 컨텐츠의 향상과 가독성 향상을 위한 레이아웃의 정리라는, 컨텐츠의 충실화라는 정공법밖에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