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매그니튜드에 관해 신랄한 평을 한 뒤로 나는 알 수 없는 죄책감 비슷한것을 가지고 있었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어지간해서는 번역이나 로컬라이제이션, 특히 더빙에 화를 내는 경우는 드물고, 그것을 공개적으로 발언하는 것은 더더욱 드물기 때문이다. 이번엔 게다가 구체적으로 누구의 잘못이다! 라고 지명까지 한 마당이다. 해본적이 없는 일이라 가슴이 답답하다.
재미있게도 투니버스는 이 프로그램을 다시 한번 재 방송을 했는데. 다시 보니 정말 흥미로운 점을 발견했다. 내가 최초에 성우에게 문제가 없다고 했었던 가장 커다란 이유는 성우들이 다른 많은 부분에서 연기를 잘 했기 때문이다. 일상적으로 오가는 회화들의 모습을 보면 의역이 눈에 띄고 원문을 뒤틀은 부분이 보이지만 오히려 그게 나쁘지 않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 이거 전언철회하고 사과해야하는거 아닐까?’ 라는 갈등이 들었다. 그런데 이상하게 심각하게 진지한 부분으로 가면 이상하리만치 견디기가 힘들었다. (최소한의 고집일수도 있다)
나는 이 훌륭한 성우와, 물론 마찬가지로 훌륭한 연출자 (김이경 PD)가 연출작품에 전반적인 만족을 느끼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매우 훌륭한 편이었다(첫번째 글도 결국 왜 하필 잘나가다 다 냅두고 가장 드라마틱한 장면을 서툴게했는가? 라는 짜증이었으니까) 이력을 보면 연출자는 경력이 매우 길다. 특히, 이 분의 대표작 중 하나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아따맘마이다. 그런데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력을 살펴보면 상당수가 소년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이다. (나는 이 사실을 글을 쓰는 지금에야 알았다)
나는 트위터에 전속 성우 시스템이 인재와 작품을 연결하는 풀이자 양성소 역할을 하지만 오히려 최근에 문제가 있다고 썼다. 가령 이런 것이다. 전속 기업이 하는 영상물의 연기의 폭에만 성우가 갇혀 지내게 된다는 것이다. (물론 연출자도)
연출자의 작품 내역을 보면 연출 초기에는 좀 다양한 작품을 했었던걸 알 수 있지만 근년에 들어와서는 거의 다 소년 애니메이션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방송사는 근년들어 말할 것도 없으며, 거기에 속한 전속 성우들은 더 말할 것도 없다. 다시 말해, 도쿄매그니튜드 8.0의 내 위화감의 요체는 성우와 연출자가 다양한 스펙트럼을 경험해보지 못한 까닭에 기인하는 어색함이다.
자, 여기까지는 그저 그런 ‘까내리기’라고 하자. 사실 이 말을 하고 싶은것도 아니다. 만약. 전속 성우 시스템하에서 신인들이 특정사에 소속되어 ‘극단’을 형성하고 그 ‘극단 풀’에서 인력이 자급자족된다면 당장은 좋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만약 이런 일이 생긴다면 어떨까? 누군가 맘을 잡고 멋진 작품을 한번 만들어봐야겠어. 라던가 새로운 채널을 만들거나 시장에 참여한다고 가정해보자. 상당한 장애에 봉착할 것이다. 계약이 끝난 프리랜서 성우로 풀을 짜던지 아니면 새로 신인을 키우지 않는다면 말이다. 그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젊은 프로 성우들의 풀 상당수가 특정 기업에 전속이며, CJ E&M의 신동식 씨의 뉴타입 컬럼 내의 지적대로, 아예 ‘특정 극회 성격을 ‘조준’하고 오디션을 보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그 특정 기업은 특정 성향, 특정 성격의 작품만을 더빙하고 있다. 이 상황은 결코 ‘신인’에게 좋은 육성 환경이라고 할 수 없다. 기업에 맞는 성우가 만들어지지 성우 자신의 깊고 넓은 폭은 기르기 어려울 것이다. (적어도 전속기간 동안은)
물론 시장이 작고 불안정해서 이 시스템이 붕괴된다면 어떻게 될까? 라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그 상황에서 안정적인 ‘요람’인 전속 성우 체제와 극회 시스템은 매우 안정적인 산실이고 지망자로써는 ‘노려야 할’ 대상이다. 그나마 신인을 뽑고 양성해서 사용해주는 시스템은 현재로써는 없으니까.
하지만 나는 단언할 수 있다. 만약 우리나라에서 더빙 성우의 질이 더 정체된다면(혹은 더 넓어지지 못한다면), 그것은 전속 성우 체제 때문이다. 전속독과점 체제에서 후발주자는 성우를 쓸 수 없다. 성우를 키우는 것은 자본과 시간이 필요로 하는 것이다. 프리랜서 성우 풀로는 어렵고(캐스팅 구성면에서나, 비용면에서나), 젊은 신진 성우들은 전부 매여있고, 직접 키울 수는 없다. 얼마나 어려운일인가. 만약 내가 지금 시장에 참여한다면 더빙을 포기할 것이다. 내말이 틀렸는지는 양대 더빙 성우극회를 운영하는 애니메이션 채널 설립이후의 상황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시기 바란다. 캐스팅과 더빙에 얼마나 고생을 했는지. 그나마 2번째 극회를 가진 대원방송 조차도 수년동안 죽어라 고생하고, 사정이 나아지자 그제서야 전속 성우를 뽑고, 전속성우들끼리 ‘뺑뺑이’를 하다가 몇기 뽑혀 풀이 생기자 나아졌음을 기억하라. 일개 회사 뿐만 아니라 전체 업계로 봐서도 이 얼마나 비효율적인가. 얼마나 더 많은 회사가 이 짓거리를 감수할 지 의문이다. 가장 후발 주자인 애니플러스는 아예 더빙은 안한다. (뭐 특수성도 있지만)
나는 주장한다. 전속성우제도는 발전적으로 해체해야한다. 흔히들 성우나 성우를 둔 팬들은 “왜 성우를 연예인 보다 한 단계 아래로 생각하는지?” 에 대한 의문을 갖고 있었다(비하의 의미가 아니라, 왜 어째서 업계최고의 성우가 업계에서 찬밥인 배우보다 대우가 그저그러한가에 대한 현실이다). 그 이전에 현실을 살펴보라. 탤런트의 전속 제도와 극회 제도는 벌써 주류 문화에서는 2~30년전에 사실상 사문화된 제도라는 것을.
이 글을 읽는 젊은 분들은 모르시겠으나 상당수 우리가 아는 중년 탤런트들은 방송사에 채택되어 극회에 소속되어 전속활동을 했었던 사람들이다. 이 선발 체제와 전속 체제는 90년대 들어 기획사에 의한 채용이 일상화되면서 사실상 일몰을 맞이한다. 여기에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표한다. 사실 지금 한국 드라마/영화를 이끄는 중견 배우들이 전속극회 시절에 기본기를 갈고 닦으며 성장한 반면, 최근 기획사 선발 구조하에서 기본기가 안되는 배우들이 양산되고 있는걸 보고 말이다. 하지만 방송사가 신인을 독점하는 것이 끝남으로써 훨씬 다양한 신인이 공급되고 다양한 작품이 만들어졌으며 ‘때로는’ 전속 시기 못잖은 좋은 신인과 좋은 작품을 배출하였다.
왜, SBS에서 더빙한 짱구는 못말려의 캐스트와 투니버스에서 더빙한 캐스트, 극장판 더빙의 캐스트는 다른가. 이런 생각을 해본다. 많은 더빙 팬들이 아쉬워한다. “왜 새로운 작품, 더 다른 작품이 들어오지 않는가?” “왜 더 빨리 들어오지 않는가?” 만약 누군가 하려고 해도 성우 풀은 한정되어 있고(근년 젊은 성우들이 전부 어디로 향하는지 생각해보라), 설사 가능해서 성우를 그러모아도 방영사에 따라 또 캐릭터의 목소리가 바뀌는 참사를 겪을 것이다. 캐릭터는 곧 성우이며 성우는 곧 캐릭터이다. 수시로 캐릭터의 성우가 바뀌는데 캐릭터에게 애착을 줄 사람은 많지 않다. 그 말은 그 역할을 맡은 성우(들) 자신에게 떨어지는 애착의 배당율 또한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속 성우제로 인한 폐해이다. 자신의 목소리(역할)를 온전히 소유하지 못한다는 것 말이다.
성우는 프로페셔널 연기자이며 탤런트이다. 프로는 자기 자신을 자주성을 가지고 관리하고 행동해야한다. 지금과 같이 특정 회사에 매여있고, 또 매이는 인재들이 쌓여가면 그것은 작품에도 결코 좋은 영향을 줄 수 없다. “성우는 프로 탤런트”라는데 이의가 없다. 실제로 성우 겸 연기자들이 많다(이건 현실적인 문제도 있지만, 나는 나쁘게만 보고 싶지 않다). 성우는 어딘가에 묶여있는것 이전에 좀 더 다양한 활동을 하고, 때로는 영역과 분야(연기,무대,노래 등)를 넘나드는 활약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젊고 유능할 수록 그러하다. 방송사가 아니라 독립적으로 소속된 매니지먼트에 의해 채용, 양성되어야 한다. 방송사는 제작을 하고 인적자원은 인적자원 관리의 프로가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는 관계자도, 흔히 말하는 ‘성우 팬덤’에 속하지도 않으며, 성우를 많이 아는것도 아니다. 그래서 매니아나 업계 관계자가 볼때는 이 자식 뭣도 모르고 써대고 있군 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또 이 글이 화제를 끌 것 같지도 않다. (이중적이게도 이 글이 어떤 영향을 일으키길 바라지만 시끄럽진 않았으면 좋겠다) 아니 끌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냥 한 작품을 접하고 나서, 평소에 생각해오던 바에 살을 붙인 내 개인적인 의견 개진이라고 생각해주시면 고맙겠다.
덧. 이 글은 내가 트위터에 트윗한 내용을 바탕으로 수리를 맡긴 컴퓨터가 돌아오자 작성한 글이다. 컴퓨터가 돌아와서 정말 반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