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Evernote

  • Evernote(에버노트) 태그와 검색폴더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Evernote의 노트북을 좀 세분화하다보니 검색이 좀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해서 노트북은 통합을 하는 대신에 태그를 잘 정리해서 붙였다.

    여기에서 IT부분을 이렇게 통합했다. 일본 사정/여행부분은 그새 좀 불었는데. 아예 각자 Travel과 News, Tech 등으로 병합해 버렸다.

    대신 태그를 잘 활용해 검색하기로 했다. 그리고 태그를 활용해 분류와 검색을 하기로 했다. 아닌게 아니라 노트북이 너무 많아서 분류하는것도 피곤하지만 급할때 찾기가 좀 힘들었다, 어느 노트에 있더라.. 라는 것이었다. 물론 all notebook을 선택하고 검색하면 되지만 음 이래가지곤 노트를 나누는 이유가 무색했다. 그래서 노트북 수를 되도록이면 줄여야 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근데, 고민이 들었다. 이렇게 합치긴 했는데 태그를 잘 분류해서 검색할 것인가?가 궁금했다. 하지만 가능했다.  Evernote 1

    평범한 에버노트 창이다. 여기에 tech라는 노트북에 태그를 한번 잘 보면 나는 태그를 잘 입력 해뒀음을 알 수있다. 평소에 입력할때도 꼼꼼하게 했지만, 노트북을 합치면서 더욱 철저하게 태그를 입력하며 합쳤다. 태그를 입력할때는 그냥 태그 창에 태그를 입력해도 되지만 태그 창에 노트를 드래그 해도 된다. 만약 같은 태그에 같은 주제의 글을 여러개가 있을 경우 그냥 여러개를 선택한 뒤 한꺼번에 태그위에 드래그 해 넣으면 된다. 이렇게 입력 해 둔 태그를 검색하는 방법은 물론 그냥 검색창에 태그를 입력해도 되지만  tag:와 함께 태그이름을 입력하면 된다. 이것을 ‘검색 연산자’ 중 태그 검색연산자라고 하는데, 기타 검색 연산자도 있다, 혹시 그외의 검색 기능에 대해 알고 싶으면 여기를 참고하길.

    Evernote tag search

    가령 이렇게 apple에 관련된 태그를 입력해 둔 apple 관련 글만 한번 검색해 보겠다.Tag search result

    어렵지 않게 애플 관련된 글만 검색 되었다. 한편으로 이렇게 생각할것이다. 아까도 말했지만, 에버노트는 태그 목록에 왼편의 태그 목록에는 해당하는 노트북 뿐 아니라 모든 노트북에 사용된 태그가 나와 태깅에는 편리하지만 찾기가 쉽지 않다. 즉 Tech 노트북에, 전혀 상관 없는 ‘돈까스’ 나 ‘요리’같은 태그가 검색 되어 검색이 쉽지 않을 것이다. 이것을 눌러봐야 아무것도 나오지 않을텐데 말이다. 이럴 경우,

    Evernote untag hide

    보기 메뉴에서 할당되지 않은 태그 숨기기를 클릭하면 할당되지 않은 태그는 보이지 않는다. 즉, 돈까스나 요리 같이 Tech 노트북에서 사용되지 않은 태그는 사라진다.

    같은 위치에 있는 할당되지 않은 태그 표시 보이기를 메뉴에서 누르거나.

    All tag display

    태그 가장 목록 가장 밑에 ‘모든 태그를 표시하려면 클릭…’을 클릭하면 원래대로 돌아간다.

    한편 태그나 검색 기능과 함께 곧잘 사용할만한 기능이 검색폴더라는 기능이다. 일종의 검색 메모리인데, 이 기능을 이용하면 검색창을 통해 검색 해놓은 것을 결과를 기억해뒀다가 나중에 다시 쓸수 있게 된다. 가령 아까전에 만든 Tech폴더에서 Apple이라는 태그를 검색하는 것을 검색 폴더를 만들어 보자.

    Search Folder

    검색창에 검색 결과가 나온 상태, 즉 Tech 노트북에서 tag:apple을 넣은 상태에서 결과가 나온 상태에서 파일 메뉴 혹은 창 하단의 + 메뉴를 누르고 새 검색폴더를 누른 뒤 이름을 적당히 정하면 지금 검색한 내용이 저장되어 다른 노트북을 볼 때에도 바로 이 태그(검색어)를 열어 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검색 폴더는 사용자당 100개까지 가능하다.

    이제 노트북안에 노트가 좀 많아도 염려가 없다. 치렁치렁 노트북을 만들 필요가 없다. 나는 예전에 일본 IT 정보나 일본 관련한 뉴스, 일본 여행 관련된 정보를 별도의 노트북으로 만들어 관리 했는데 이제는 그럴 필요가 없어졌다. 각자 해당되는 폴더에 일본 태그만 붙여서 검색하면 되기 때문이다.

  • Evernote 정말 잘 쓰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솔직히 지금까지 Evernote 없이 어떻게 살았나 싶을 정도이다. 가령 입수한, 필요한 모든 정보를 메모지나 수첩에 기록하지 않고, Evernote에 기록하고 있다. 일단 Evernote에 기록하면 편리한 점은 이것이다.

    첫째, 편리한 방법으로 기록할 수 있다. 나는 컴퓨터 앞에 앉았을때는 메모지 보다는 키보드로 키를 두드려 메모를 남기는 것을 선호하는데, 1) 이렇게 하면 메모를 남길 장소가 마땅찮다. 2) 나중에 찾기가 곤란하다. 3) 나중에 다른 곳에서 필요 할 경우(다른 컴퓨터나 전화기 등에서) 찾기가 곤란하다. 그래서 메모지나 수첩에 하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에버노트는 이 모두를 해결해준다. 전화기로 할 경우 카메라로 사진을 찍을 수 있고, 음성을 녹음하거나 컴퓨터의 웹캠으로 사진을 남기거나 스캐너 문서를 옮길수도 있다. 아주 괜찮다. 해서, Apple과 상담한 케이스 번호는 메모지에 적지 않고 컴퓨터 키보드로 에버노트에 적어 놓았기 때문에 전화로 상담하면서 맥으로 기록해 두었다가, 케이스 번호를 적어둔 메모지를 찾아 두리번 거릴 필요 없이 언제든 편리한 대로 메모 할 수 있었고.

    둘째, 언제 어디서나 어디서든 빠르게 검색해서 접근 가능하다. 맥이 다운되어 접근할 수 없었을때 iPad로도, iPhone으로도 안드로이드 전화기로도 케이스 번호를 찾아 두리번 거리지 않고, ‘검색’해서 쉽게 불러줄 수 있었다. 마치 ‘어디에나 문’처럼 메모지가 책상에도 있고 침대 위에도 있고, 머릿장 위에도 있는 듯했다. (아마도 휴대폰이 없어도 웹브라우저만 있다면 접근이 가능할 것이다, 정말 어디에나 문이다) 정말 편리했다. 물론 정리를 잘해 놓고 꼼꼼히 메모해 놓고 태그를 달아 놓으면 해놓을 수록 더 빨리, 더 쉽게 찾을 수 있다.

    Evernote는 여러가지 서드파티 툴이 있다. 이를 활용하면 더욱 더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가령, iPad용 Handwriting notebook 소프트웨어인 Noteshelf 등이 Evernote로 손글씨 노트를 보낼 수 있다. 수기도 문제가 없는것이다. 물론 영어/일본어와는 달리 한국어는 아직 수기 OCR은 안되지만… 뭐 그냥 메모의 참고를 하는 정도라면 참고 해보자.

  • Evernote나 Dropbox의 목적은 ‘잊는 것’

    ‘디지털 치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전화번호부에 의지하게 된 현대인은 이미 가까운 친지의 전화번호 조차 외울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전화번호조차 외울 수 없게 되었다. 라는 것인데. 이런 경우, 가끔 낭패를 볼 때가 있다, 가령 생각해보자 전화기를 놓고 왔다. 라고 생각해보자. 아, 전화번호가 생각이 나지 않는다. 아아. 전화기가 망가졌다. 아아. 전화기를 잃어버렸다. 아아.

    물론 백업을 했다면, 혹시 사무실이나 집의 컴퓨터를 통해 액세스를 할 수 있다면 괜찮을지 모른다. 오, 하느님 감사합니다. 라고 생각할 지 모른다. 하지만 나는 전화번호부를 로컬에 저장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우려를 겪지 않는다. 전화번호를 ‘클라우드’에 저장한다. Google이나 Apple사의 서버에 모든 주소록을 저장해 놓고 ID를 입력해 놓고 찾아 쓰고 있다. 만약 내가 주소록을 변경하면 그 즉시 서버에 주소록의 변경사항이 전송될 것이다. 물론 컴퓨터에서 주소록을 변경해도 휴대폰으로 주소록의 변경사항이 전송될 것이다. 나는 휴대폰을 초기화 해도 상관없다. 다시 계정을 설정해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새 전화기를 사도 상관없다. 그냥 ID만 입력하면 바로 최신 주소록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Dropbox나 Evernote와 같은 서비스의 목적 또한 본질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Dropbox에 대하여 친구는 ‘느린 웹하드’라고 평했다. 나는 ‘그건 웹하드가 아니다’라고 정정하여 주었다. 물론 Dropbox 애호론자인 나의 말로 치부하여 그 친구가 어떻게 받아 들였을지는 그 친구에게 차후에 다시 물어봐야 할 문제이지만 아무튼 드롭박스는 단순히 USB를 대체하는 웹 드라이브가 아니다. 여러분이 작업하는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이며 이것은 항상 천천히 물 흐르듯이 동기화되는 것이다. 제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어디서나 같은 폴더의 파일을 작업하며, 파일을 복사하거나 메일로 옮겨 가지고 다니는 수고없이 작업하며,  파일을 USB나 광디스크로 휴대하거나 매체를 휴대하다가 잃어버리는 낭패를 없애버리는 제품이라는 것이다. 그러니까 단순하게 말하면 드롭박스 말고도 경쟁 서비스는 많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는 꽤 많다. 더 보안을 신경 쓴 서비스도 많고, 더 많은 옵션을 가진 서비스도 많으며 더 여러 폴더를 공유하거나 동기화 할 수 있는 서비스도 있고, 더 저렴한 서비스를 무기로 한 서비스도 있다. 그러나 왜 사용자는 드롭박스를 선택하느냐? 간단하다. Dropbox 폴더 하나에 원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집어(drop)넣고 잊어(forget)버리면 모든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에버노트(Evernote)는 어떨까, 나는 에버노트를 두번째 뇌라고 평가한적이 있다. (Evernote(에버노트) – 당신의 모든것을 기억해 주는 두번째 뇌Evernote – GTD로 당신의 팔다리를 어떻게 움직이게 할지 지시하는 두번째 뇌) 그 이유는 간단하다. 당신이 인터넷을 서핑하면서 본 것, 걸어다니면서 본 것 등을 그냥 머릿속에 굳이 담아두려 애쓰지 말고 에버노트에 쑤셔 넣고 잊으라(Forget)는 것이었다. 실제로 에버노트는 자신들의 코끼리 로고에서 유래해서 자신들을 Trunk라고 부르고 모토를 Remember Everything이라하니까…

    자, 그러면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통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넣고, 잊으라! 그것이 핵심이다. 그냥 부담없이 ‘나의 생각의 부담을 컴퓨터에 덜어놓으면’ 언제 어디서나 언제 어디서나 내가 작업했던 파일, 내 주소록, 내 노트를 액세스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실 그것은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이뤄진다. 그냥, 자연스럽게 이뤄진다. 언제클라우드는 이렇게 우리의 삶을 점차 전뇌電腦화하고 있는것 아닐까? 약간 사이버펑크한 요즘이 아닐 수 없다. 

    덧말. Google의 Docs(문서도구)나 Gmail, Picasa를 이용하면 Office문서나 사람간에 주고받았던 서신, 그리고 여행의 추억들도 클라우드에 영구히 기억할 수 있다. 아직 위의 서비스만큼 세련되지 못하지만 Google+가 발전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그래서 두렵고 기대가 된다.

  • Evernote – GTD로 당신의 팔다리를 어떻게 움직이게 할지 지시하는 두번째 뇌

    에버노트는 당신이 어떻게 움직일지 지시하는 훌륭하는 두번째 뇌

    Evernote(에버노트) – 당신의 모든것을 기억해 주는 두번째 뇌 읽어보셨나요? 네, 이후 저의 에버노트는 비약적으로 정보량이 늘었습니다. 이것저것 기억하기 위해서 말이죠. 전 처음에 에버노트는 전통적인 수첩과는 다르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날로그 적이고 전근대적이라고. 그래서 굳이 노트북을 빡빡하게 관리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검색기능이 있으니까요. 실제로 Gmail이 그랬으니까요. 그래서 전 포스트는 거의 검색 기능이 주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것저것 기억하다보니 뭔가 불편하게 되었답니다. 노트가 늘어나니 정확히 키워드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태그가 기억나지 않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람一覽할 필요가 있었는데 정리가 안되니까 아주 힘들더군요. 다행히 에버노트는 스니펫 기능이 있어서

    Voila Capture12

    이렇게 스르륵 쉽게 노트의 주요한 내용을 쉽게 살펴보는게 가능합니다. 아주 편리하죠.

    그래서 한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랐답니다. 물론 검색기능이 있긴 하지만 노트북을 주제별로 정리해 좀 더 유효하게 사용하자. 그러면 쉽게 열람 가능 할것이다 라는 것이었습니다.

    좀 더 효율적으로 움직이도록 폴더를 나눠 기억하라

    해서, 이렇게 좀 더 확실하게 폴더를 나눴습니다. 사실 전통적인 메모 광들은 수첩에 플래그를 나눈다던지 오만가지 고생을 하는걸 수첩 사용법을 다룬 인생계발론 책자에서 접하곤 하지만 에버노트에선 정말 간단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냥 버튼 한번이면 가능하죠.

    Voila Capture15

    네, 제 취향이 바로 드러나죠? Evernote는 Username’s notebook이라는 노트북이 만들어지고 이름을 바꿀수가 없습니다. 별도로 지정하지 않은 모든 노트는 기본적으로 여기로 들어갑니다. 일종의 Inbox라고 할수 있죠. 물론 노트를 할때 분류를 할 수도 있지만, 그럴 정신이 대개는 없기 마련이므로 노트를 하고(스크랩을 하고) 나서 천천히 분류를 합니다. 오히려 잘됐습니다. 그럴 시간이 노트에서 시간은 생명이니까요. 아날로그 노트 시절에는 종이를 뜯어서 옮기기도 해야해서 링바인더 노트를 선호하곤 했는데 이건 그럴 필요 없이 언제든 나중에 이동도 가능해, 이름을 바꿀수도 있어 통폐합도 가능해 정말 혁명이 아닐수가 없습니다.  그렇습니다. 에버노트는 디지털적인 검색기능(태그라던가 검색기능)에 더해서 전통적인 메모광도 완벽하게, 아니 그보다도 더 확실하게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니, 이 장점을 살려서 ‘아날로그적’으로 분류해보기로 했습니다. 이건 어느 카테고리(노트)에 해당하겠다. 태그는 어떤것이겠다 라고 말이죠. 그럼 나중에 절대로 잃어버릴 일이 없습니다. 그럼 나중에 뭔가 보고 행동 하는데 아주 도움이 됩니다. 가령 Mac용 Office 리셋 방법은 IT 아래의 How-Tos 아래에 있습니다. 물론 검색으로 Office를 해도 됩니다만 노트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경우 스크랩한 영어 뉴스에서 ofice가 들어가는 경우도 늘어나기 때문에 그냥 폴더를 찾으면 편리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 다음은, 우유를 먹는 보급소 전화번호입니다. Living & Life를 누르면 나옵니다. 간단하죠?

    종국에는 이런식으로 정리를 하다보니 Inbox에는 들어오자 마자의 아티클과 그냥 미련이 남아 지우지 않은 Evernote에 가입해 환영한다는 문서 하나만 남았답니다. ^^; 흰색으로 가려진 부분의 박스와 ‘s notebook보이시죠? 1개는 환영문서 1개가 정리되지 않은건데 글을 쓰며 바로 적당한 폴더에 옮겼습니다.

    처음에는 바로 폴더를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처음에는 이런저런 수집을 하다가 자신이 어떤 메모를 하는지, 노트를 수집하는지 바라보다가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게 되면 그 패턴에 맞춰 노트북을 만들어 집어넣으면 구분이 자연스럽게 이뤄지게 됩니다. 아예 0인 폴더는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사진에서 0인 폴더는 할 일 관리를 위해서 인위적으로 만든것입니다. 즉, GTD를 위해서 할 일이 생기면 참고할 목적으로  언젠가 사용할 요량으로 만든것이고 나머지는 1개라도 찬걸 보실겁니다. (Shared Note는 시스템 노트라 제가 만든게 아닙니다)

    해서, 이렇게 자신의 몸에 맞는 노트에 맞춰 노트북을 맞춰 놓으세요. 그리고 노트를 넣어서 관리하시면 앞으로 노트관리가 참 편리해진답니다. 모든 노트를 Inbox에 넣고 분류해서 ‘잊어버리세요’ 그리고 나중에 필요할 때(‘가령 우유가 늦게까지 안온다’라던가 ‘맥 오피스를 삭제해야 할 필요가 있다’라던가) 참고해서 행동(‘보급소에 전화’하거나 ‘오피스를 삭제’)하세요. 이렇게 에버노트는 Getting Things Done(GTD)를 보좌하는 아주 훌륭한 툴입니다.

  • 맥에서 에버노트 OCR 인식이 안되는 경우 2

    제가 발견한 문제로 Evernote 사에 문의한 상태입니다만, OCR 인식 자체는 아주 잘되는데, 맥에서 검색에 문제가 있는걸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Evernote 맥 버전이 업데이트 되면서 DB가 최적화 되면서 검색 기능이 개판이 되었습니다. 텍스트는 문제가 없는데 한국어 OCR이 문제네요…

    만약, 이미지에 검색해둔 내용을 깊이 검색하실 필요가 있다면 당분간 웹에 접속하시는걸 권해드립니다. 윈도우도 맥에 비해서는 좀 낫지만 여전히 좀 떨어지네요.

  • 맥에서 에버노트 한국어 OCR 검색 팁

    에버노트에서 원하는 한국어 글귀를 찾기 힘들 경우?

    에버노트를 사용하실때, 맥에서 한국어 검색시 인식률이 생각보다 좋지 않다? 라고 생각하시죠; 가령,

    ‘스마트폰’ 을 검색하려고 할때, 스마 까지 입력하면 검색이 되는데 스마트폰을 전부 입력하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스’를 치시고 리턴 하고 결과를 보시고, ‘마’ 치시고 리턴, ‘트’를 치시고 리턴을 치시고 기다려보세요. 윈도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스를 치고 검색 결과를 기다려 보시고 마를 치시고 검색 결과를 기다렸다 한번 원하는 문장이 나오는지 찾아보시면 원하시는 글귀를 쉽게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의 경우 ‘단’을 치고 엔터를 치면 이미 원하는게 나오지만 ‘가’를 눌러 좀 더 거리를 좁힙니다.

    Evernote

    이유는, OCR 검색엔진이 특정 글귀로 시작하는 단어를 찾게 되어 있는데 이게 좀 능률이 좋아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렇게 떼어줘야 할 필요가 종종 보이네요 🙂 만약 이렇게 하면 블록으로 단어가 선택되는 경우가 종종 보입니다. 물론 단어를 입력하면 검색안되지만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