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stpass(라스트패스)를 쓰고 있다.
며칠 전 부터 라스트패스(Lastpass)라는 비밀번호 관리자를 쓰고 있다. 솔직히 말해서 비밀번호를 관리할 정도로 많이 사용하는 것도 아니었고, 자주 바꾸는 편도 아니었는데 왜 그랬던 것일까? 라고 말한다면 간단하게 말하겠다. 네이트하고 네이버 때문이다. 작년에 네이트에서 비밀번호 노출 사건이 벌어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며칠 전 부터 라스트패스(Lastpass)라는 비밀번호 관리자를 쓰고 있다. 솔직히 말해서 비밀번호를 관리할 정도로 많이 사용하는 것도 아니었고, 자주 바꾸는 편도 아니었는데 왜 그랬던 것일까? 라고 말한다면 간단하게 말하겠다. 네이트하고 네이버 때문이다. 작년에 네이트에서 비밀번호 노출 사건이 벌어진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우리나라 검색엔진은 바보다. 솔직히 말하면 엔진이라는 말을 쓰는 것이 아깝다고 생각한다. 2011년 말에 나는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전을 했다. 구글의 웹마스터도구로 내 사이트라는 사실만 확인해 놓자 구글은 이삼일만에 새 블로그를 검색하기 시작했으며 몇주안에 모든 블로그를 전부 인덱싱 했고. 전혀 불이익은 없었다.…
솔직히 네이버나 다음의 블로거 검색의 녹을 상당히 먹어온 입장에서 이런 소리를 해오는건 배신 행위입니다마는, 정말 네이버나 다음의 블로그 검색의 크롤러는 정말 후졌다. 왜그렇냐? 간단하다. 일단 이네들의 검색 엔진은 기본적으로 구글의 검색과는 달리 크롤링이 아니다. RSS Feed를 읽어요. 그리고 다시는 수집 하지…
사실 블로그를 시작하는 입장에서 누구나 메타블로그에 등록을 하게 됩니다. 혼자서 벽에다 글쓰고 싶은 사람은 없습니다. 특히 한국사람은 누군가 내 글을 봐주고 누군가 글에 대응을 해주기 바랍니다. 사실 그런 심리를 잘 살린 것이 초창기의 SNS인 싸이월드고, 싸이월드와 블로그를 잘 혼합한 네이버…
네이버의 편애를 받고 있군요에서 말씀 드렸듯이 제 블로그가 왜인지, 검색엔진에 사랑을 많이 받습니다. 아마도 특정 제품이나 회사, 아니면 어떤 것에 대한 감상에 대한 정보창고(?)라서 그런지… 뭐 아무튼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닭이 먼저인지 알이 먼저인지 제가 관심이 있는 주제를 검색하다보면 제…
제 블로그는 가히 네이버가 먹여 살려주는 블로그입니다. 텍스트큐브시절에도 그랬고 티스토리 시절에도 그렇고 네이버 손님이 일등이죠. 리퍼러를 보면 네이버 방문객이 제일 많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리퍼러를 클릭해보면 검색어 입력하면 나오는 첫화면에 나오기 때문이죠… 그러다 보니 많이 눌러주고, 많이 눌러주다보니 네이버는 앞으로 보내주고,…
한동안 포스트가 없었고 하니 쉬어가는 의미에서 또 인사도 드릴겸 포스트합니다. 안녕하셨죠. 건강하셨습니까. 요 들어서 건강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바깥에도 많이 드나들고 있고, 지금 이 글도 바깥에서 작성하고 있습니다. 비바 무선인터넷! 카메라를 들고 나가서 사진도 찍고 서점에가서 책을 사다가 카페에서 커피도 마시면서…
네이버 없이 살수 있을까? – 정답은 ‘예’라는 글에 붙은 댓글이다. 에지간해서는 댓글 하나를 콕 찝어서 포스트를 하기는 싫었지만 사안이 사안인지라 인용하게 되었다(이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공지사항의 이용조건을 참고하시길). 도대체 왜 네이버 없이 살면 피곤한걸까? 네이버 없이 산다는 것은 네이버를 안쓴다는…
다른 시작페이지로 사흘만 살아보시는 건 어떨까요? 라는 포스트를 지난 1월에 올린 이후로 내 홈페이지는 구글이 되었다. 무언가 작동이 안되거나 무언가를 찾아볼때 구글을 찾아보는것이 습관이 되었다. 그동안 구글은 아주 일신이 되었다. 우선 웹페이지와 블로그 검색이 같이 표시되었고 이미지와 비디오를 한화면에서 확인하도록 포맷이…
네이버의 독과점의 실태는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십대인 동생도 오십대인 아버지도 웹 브라우저 창에 주소를 치지 않고 홈페이지로 설정된 네이버의 검색 창에 사이트 이름을 치고 들어가고, 뭐를 알아보던 사던 읽던 보던 컨텐트를 생산하는 사람이 아니라 네이버의…
나는 요즘 점점 네이버를 찾아보는 횟수가 줄어들고 있다. 정확하게 말하면 ‘지식 검색’이라는 상표의 네이버 검색을 찾아보는 횟수가 줄고 있다. 뭐 다른 대체적인 한국 네티즌이 그러했듯이 나도 네이버를 꽤 많이 썼기 때문에 아예 무자르듯이 끊지는 못하겠다. 하지만 그럴때마다 네이버 말고 다른…
풀 브라우징을 채택한 전화기를 LGT가 밀고 나서자, SKT도 질세라 우리도 한다고 광고를 한다. 처음엔 네이버였는데 아무래도 네이버 입장에서는 좀 불쾌해서 한마디 한것인지(따지고보면 SKT는 경쟁사 SK 커뮤니케이션즈의 모기업이다) 아니면 스스로 그런건진 몰라도 이젠 네이트로 바뀌어서 방송이 나가고 있다. 김건모가 부르는 “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