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장사도 물 들어올때 노 저어야지
도서 정가제에 대해 강경한 비판을 한지 얼마 된 것 같지 않은데요. 솔직히 말해서 글을 퇴고하고서 발행할 때까지 하루 정도 숙고를 했습니다. 그리고 발행하고 나서도 “오징어 씹히듯 씹힐 지 모르겠다”고 체념 했더랬습니다. 다행히 생각보다 한산한 제 블로그에 올라온 글로 인해 오징어가…
도서 정가제에 대해 강경한 비판을 한지 얼마 된 것 같지 않은데요. 솔직히 말해서 글을 퇴고하고서 발행할 때까지 하루 정도 숙고를 했습니다. 그리고 발행하고 나서도 “오징어 씹히듯 씹힐 지 모르겠다”고 체념 했더랬습니다. 다행히 생각보다 한산한 제 블로그에 올라온 글로 인해 오징어가…
“도서정가제가 없는 세계를 겪어봤어요. 그때로 돌아가는 것은 독자로서 너무 힘든 일입니다. (도서정가제를 개악하면) 이익을 보거나 무언가 손에 쥘 사람은 소수일 거예요. 주로 작은 사람들, 출발선에 선 창작자들, 작은 플랫폼, 자본이나 상업성 너머를 고민하고 시도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을 잃게 됩니다.”(소설가 한강)…
제품명 그대로의 제품 아마존(Amazon.co.jp)에서 이 제품을 처음 봤을때, ‘뭐 이런 상품명이 있나?’ 싶었습니다. 후쿠이현(福井県) 사바에(鯖江市)는 일본 유수의 안경 산지로 우리나라로 치면 대구 일원 같은 느낌이라고 합니다. 이 제품을 만든 회사는 사바에에서 수십년간 안경과 안경 관련 액세서리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에어팟 음질에 대한 오해와 진실 에어팟의 음질에 대해 한마디로 말하자면, 좋은 편입니다. 다만, ‘애플이 좋은 헤드폰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에 심리적인 저항이나 인지 부조화를 일으키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애플이 기술 회사로서 뛰어난 제품을 만든다는 것은 대체로 인정받고 있지만, 오디오…
오디오 업계의 악순환: 새로운 모델의 유행과 전자쓰레기의 문제 최근 오디오 업계에서는 신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수많은 소비자들이 구매에 나서고 있지만, 이로 인해 전자쓰레기가 급증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몇 년밖에 사용하지 못하는 전자제품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고, 기업들은 유행을 따라가기 위해 주기적으로 새로운…
최근 Windows 11에서 BitLocker가 자동으로 활성화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암호화 키를 찾는 사용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키를 백업하지 않은 경우 데이터 접근이 불가능해져 큰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BitLocker 암호화 키를 찾는 방법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팁을 소개합니다. 1.…
WP Engine과 Automattic 간의 갈등: WordPress 커뮤니티의 새로운 도전 요 며칠 WordPress 커뮤니티에서는 WP Engine과 Automattic 간의 갈등이 뜨거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 두 회사는 WordPress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상업화와 기여도 문제를 둘러싸고 심각한 충돌을 겪고 있습니다. 갈등의…
예전에 광고 차단이 기본인 것인가?에 대해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그 글에서 미국 정부의 사이버 보안을 관할 하는 CISA(사이버 보안 및 인프라 보안국)이 광고차단을 권고했다고 적었습니다. 해당 문서의 일부를 발췌한 것입니다만, 실제로 멀웨어의 상당수가 광고를 통해서 전파됩니다. 오픈소스나 무료 소프트웨어를…
지금 손에 있는 갤럭시 폰은 한때 책상 위에 앉아 수십 개의 웹 브라우저 탭을 오가던 시절의 컴퓨터보다 더 강력한 성능을 자랑합니다. 이 작은 기기에는 수많은 CPU 코어와 충분한 RAM, 그리고 방대한 저장공간이 탑재되어 있죠. 하지만 놀랍게도, 삼성 갤럭시 폰의 기본…
개발자는 맥북을 사용해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한 저의 대답은 한마디로 ‘허튼 소리’라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 경력을 통해 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저는 10대 시절 마이크로소프트 공인 전문가 자격을 취득하며 IT 분야에 발을 들였고, 20대에는 맥을 주로 사용하며 애플 생태계에…
구글은 이제 안드로이드/서비스와 픽셀 중 하나에 집중할 시점에 이르렀습니다. 현재 구글 픽셀은 약 20여 개국에서만 공식적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그마저도 의미 있는 점유율을 확보한 국가는 손에 꼽을 정도입니다. 구글이 픽셀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면서도 이를 픽셀 전용으로 묶어두고 있는 동안, 많은 유저들은…
롱폼의 실종: 사라지는 긴 글의 매력 최근 들어, 긴 글이나 롱폼 콘텐츠의 존재감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는 소셜미디어의 전성시대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트위터(X)와 같은 텍스트 기반의 플랫폼조차도 점점 하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때 블로그와 롱폼 콘텐츠는 심도 있는 정보와 개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