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그럼 사람들은 워드프레스를 쓰는가

워드프레스 로고타입

요 근래 제가 쓴 워드프레스에 대한 일련의 글을 보시다보면, 왜 사람들은 워드프레스를 쓰는가. 라고 궁금해 하실수도 있습니다. 워드프레스가 20년 넘게 이어오면서 PHP 4.x대에서 이제는 최소 PHP 8.3 을 요구할 정도로 기반이 개선과 개량이 된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사실 워드프레스가 구조적으로 MySQL/MariaDB와 PHP에 상당히 의존적이죠. 이 둘을 튜닝하지 않고서는 구글 등 검색엔진은 물론 방문자의 외면을 자초하게 됩니다.

흘러간 웹 2.0의 잔재

워드프레스가 선택 받는 이유는 워드프레스의 기초가 오픈 소스라서로 끝나는 문제는 아닙니다. 워드프레스가 탄생한 시점의 맥락과, 그 이전과 이후를 생각해보면 답이 명확한데, 당시에는 웹 2.0이나 시맨틱 웹이 대두하고 있었고, 구글이 확고한 검색엔진의 디 팩토 표준이 되면서, 구글이 읽을 수 있는, 다시 말해 기계도 읽을 수 있는 컨텐츠를 만드는 것이 요구되었고, 워드프레스는 그것에 가장 적합하게 설계 된 엔진이었다는 것입니다. 워드프레스 이전에는 중구난방으로 페이지를 처음부터 만드는 스킬이 요구되었고, 워드프레스가 처음부터, 혹은 오늘날 여타 CMS에서 당연히 지원하듯, 글을 발행하고 자동으로 그에 맞춰 페이지를 갱신하는 것 조차 없었습니다. 제가 투포팁이나 투데이스피피씨에서 글을 쓸 때만 하더라도 글을 발행하고 사이트를 ‘재생성’ 하지 않으면 안됐습니다.

생성AI 시대가 되며 재조명

생성 AI가 뜬 이후로 블로그를 하다보면 AI에게 밥을 준다. 라는 느낌이 가시지 않습니다만, 구글봇이 잘 이해한다는 말인 즉, AI 역시 잘 이해한다는 것이 됩니다. 얼마전 The New York Magazine의 “SEO는 죽었다, GEO에게 인사하세요” 라는 글을 보면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GEO는 Generative Engine Optimization의 약자입니다. 글에서 말하듯 결국, SEO 시대의 ‘꼼수’가 구글과 함께 흔들거리고 있고, 이제는 생성 AI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생성해야 트래픽을 얻을 수 있습니다. 공개된 워드프레스 사이트는 사실 그런 의미에서 AI에게 정말로 삼키기 쉬운 요리입니다. 그 내용이야 차치하더라도 말이죠.

물론 앞으로도 유튜브 같은 롱 폼 영상이나 틱톡 같은 숏 폼 영상 등이 AI들의 ‘밥’이 될것이 확실하지만, 일단 텍스트로 결과를 내놔야 하는 LLM GAI들에게 있어,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워드프레스 사이트는 여전히 굉장히 큰 자료원이 될 것이 틀림없습니다.

문제는 그게 돈이 되느냐인데

그럼 이런 의문이 드실겁니다. 컨텐츠를 GAI가 뺏어가면 무슨 득이 되느냐 말이죠. 물론 단순히 말해서 득이 안될 수도 있지만, 이 상황에서 기회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이제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거나 선택하는데 있어 GAI의 의견을 참조합니다. 예를 들어 저만해도, “믿을 수 있고 서울 혹은 아시아에 노드가 있는 글로벌 CDN을 갖춘 워드프레스 관리형 호스팅 업체를 찾아줘” 라고 했고, Perplexity가 내놓은 후보에 Kinsta가 있었고 그 설명은 그네들이 워드프레스로 정성껏 작성한 것에 입각한 것이었죠. 즉, GAI는 생각하기에 따라 여러분의 사업의 파트너가 될 것이고, 선전을 해주는 도구가 될 것입니다. 한마디로 돈이 된다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워드프레스 기반 사이트는 GAI가 이해하기 쉽고 참조하기 쉽기 때문에(대개의 컨텐츠 제작자에게는 너무 쉬워서 탈이죠), 이를 잘 활용하면 GAI가 여러분의 비즈니스를 언급하게 되고, 여러분의 비즈니스에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돈이 된다는 것이죠, 시쳇말로. 그래서 여전히 워드프레스는 가치가 있고 지금도 선택 받는 것입니다.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