닌텐도가 스위치 2의 메모리 카드로 본의 아니게 폭로하게 된 진실

닌텐도가 스위치 2를 개발하면서 외장 메모리로 microSD Express라는 규격을 채택했습니다. 사실 이 규격이라는게 2018년에 채택된, 그야말로 스위치 1과 맞먹을 정도로 오래된 규격인데 시장에는 메모리 카드도 카드 리더도 얼마 없을 정도로 사실상 사장되었습니다.

곰곰이 생각해보았습니다. 우리가 UHS-I 마이크로SD 카드 슬롯을 휴대폰에서 제거하면서 들은 ‘명분’ 이란걸요. 한마디로 내장 슬롯에 비해 느리고 어플리케이션 속도도 떨어져서 전반적으로 시스템 속도가 떨어진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좀 더 저장하기 위해 클라우드에 과금을 하거나, 아니면 처음부터 커다란 용량의 저장장치를 가진 폰을 사야 했습니다.

그런데 microSD Express 카드는 물론, 내장 메모리에는 못 미치지만 그래도 생각보다는 빠릅니다. 애당초 SD카드 규격에 NVMe/PCIe를 접목한 게 (micro)SD Express 규격이기 때문이죠. 최대 985MB/s의 읽기 속도를 지원합니다. 이는 기존 UHS-I(최대 104MB/s) 대비 약 10배에 달하는 속도를 의미 합니다. 더욱이, 최신 사양에서는 PCIe Gen4 x1로 최대 2GB/s(1969MB/s)까지 속도가 향상되었습니다.

물론, 메모리 슬롯을 없애면서 공간을 절약한다거나(그래봐야 심 트레이 길이가 좀 줄어드는 수준에 불과하지만) 방수/방진에 득을 본다거나(심 트레이 이하 생략) 하는 이익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그로 인해 소비자가 용량추가에 들이게 된 추가 비용을 생각하면 과연 100% 정당했는가. 라는 생각을 안 해볼 수가 없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