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해킹키보드(HHKB)의 장/단점

이 글을 읽으시는 것은 적어도 해피해킹 키보드에 관심이 있으신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05년 개설, 06년 리부트한 제 블로그 초창기의 글의 상당수가 해피해킹 키보드로 쓰여졌고 사실상 첫번째 리뷰가 해피해킹 키보드 프로 2 였기 때문에 제 블로그에서 해피해킹 키보드는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입니다. 제 해피해킹키보드 프로2는 일련번호가 1000번대입니다. 해피해킹 키보드 프로 2가 처음 발매된게 06년 3월인데, 06년 7월 제조된 녀석을 갖고 있습니다. 오래 썼으니까, 오래 갖고 있었으니까 가장 많은 걸 알고 있는 것도 아니고, 사실 다른 분들처럼 커스텀을 한다거나 하는 것 없이 순정 상태 그대로 16년간 써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쩌면 해피해킹 키보드의 장/단점을 잘 알고 있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합니다. 제가 지난 16년간 써온 기종은 해피해킹 키보드 프로 2지만, 다음부터 열거하는 장, 단점은 현행 기종인 HHKB Professional Hybrid Type-S(영문각인, 검정색)을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해피해킹 키보드의 장점

  • HHKB는 매우 견고한 플라스틱 몸체와 프레임, PBT 키캡을 사용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제가 키 하나 번들거림 없이 16년 넘게 써왔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 HHKB는 표준 키보드와 다른 레이아웃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특히 UNIX/Linux 상에서 VI나 nano등을 사용할 경우)프로그래밍이나 타이핑 작업을 하는데 있어 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HHKB는 작은 크기 때문에 책상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휴대성도 뛰어납니다. 파우치나 케이스에 넣어 휴대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휴대하시면서 노트북 키보드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시는 尊師 스타일 방식으로 사용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 현행 기종인 Professional Hybrid Type-S에 채택된 토프레 정전용량 무접점 스위치는 타이핑 피드백이 우수하고, 독특한 키감이 좋으며,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멤브레인 스위치에 비해서는 시끄러운 편이지만 옛날에 쓰던 프로 2의 스위치나 기계식 키보드보다는 대체로 조용한 편입니다.
  • 현행 기종인 Professional Hybrid Type-S 1대의 키보드로 유선과 무선 4대, 총 5대를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피해킹 키보드의 단점

  • HHKB는 토프레 정전용량 무접점 스위치와 고급 키캡을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다른 키보드보다 비쌉니다.
  • 현재 한국에서 정식으로 수입하는 업자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개인 수입으로만 들여올 수 있는데, 2023년 7월 기준으로 제품 할인을 받지 않았을 경우, 수입 비용(운송료, 관세 등)까지 대략 40만원 약간 모자라게 감안해야 할 것 입니다.
  • HHKB의 레이아웃은 표준 키보드와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가 처음에는 적응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또 익숙해지면 다른 키보드를 사용할 때 오히려 역적응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 HHKB는 주로 프로그래밍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무 사용자나 디자이너, 게이머들에게는 그다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키나 숏컷 키가 존재하지 않거나 Fn키를 같이 사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화살표나 End, Home, PgUp, PgDn, 텐키 등이 대표적이죠.
  • 충전식이 아닌 알칼라인 건전지나 니켈 수소 충전지를 사용해야 하는 점이 있습니다. 덕분에 리튬 배터리의 수명에 키보드가 좌우되지 않을 수 있지만 무선으로 사용할 때는 건전지를 신경 써야 합니다. 유선으로 USB전원에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꼭 PC일 필요는 없음) 배터리 수명에 신경을 쓰지 않고 사용할 수 있긴 합니다.
  • 망가지기 쉽지 않지만 망가지면 한국에서는 수리를 받을 길이 마땅치 않습니다.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