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팟 맥스에 관해서 드는 생각

저는 에어팟 맥스를 한국에 출시하자마자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받은 물건에 흠집이 나있지 않나, 업데이트한 펌웨어 3C16 이후로 그 악명 높은 케이스에 넣어도 배터리가 줄줄 새서 자고 일어나보니 1%밖에 남지 않았다던지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만…(일단 이 문제는 며칠전 배포된 3C39 펌웨어로 해결 된 것 같아보입니다) 일단 ‘소리를 들려주는 제품’으로써 그럭저럭 만족하고 있습니다.

이 제품에 대해서 여러가지 비평/비난/불평/불만 있는 줄 압니다만 의외로 실제로 써본 분들의 평가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입니다. 뭐 ‘X을 찍어 먹어봐야 X인지 아냐?’ 라는 당연한 생각도 듭니다만 ‘장님 코끼리 만지기’ 같은 써보지도 않고 내질러보자 하는 식으로 하는 얘기가 은근히 많더군요.

저는 소니의 1000X 시리즈는 오리지널 1000X를 빼고 2세대부터 4세대까지, 보즈는 QC15/35/35 ii, NC700을 가지고 있고 애용해왔습니다.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랑 받는 기종들이 NC700이나 1000XM4다보니 가장 많이 비교되는 것도 알겠습니다만 사실 이 3기종은 모두가 매우 다릅니다.

아직 에어팟 맥스에 대해 리뷰를 할 생각은 아닙니다만(어느정도 갈음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만), 경험상 이어폰이나 헤드폰이나 일정 금액선의 역치를 넘어서면 가격이 올라가는 것과 음질의 향상이 매치되지 않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요컨데 말하자면 5만원에서 30만원짜리 이어폰으로 업그레이드 할 때 느끼는 음질향상의 폭보다 30만원짜리 이어폰을 50만원짜리 이어폰으로 업그레이드할때 느끼는 향상 폭이 훨씬 적습니다. 20만원만큼의 음질 향상을 직접적으로 느끼기 쉽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에어팟 맥스 역시 그러한 감이 어느 정도 있고 소니나 보즈의 40만원대 중후반 가격에 비해 비싼 가격 1원 1전 빈틈없이 돈값을 하느냐 하면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소니나 보즈보다 못하거나 이들을 앞서지 못하는가 하면 제 개인적인 평가로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단지 문제라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비싸다 라는 점이겠죠.

사실 한국에서 에어팟 프로와 신제품인 에어팟 맥스의 기능 중 ‘공간 음향(spatial audio)’을 체험할 수 없는 점도 많은 분들이 이 제품만의 가치를 도출하지 못하는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몇번 영화를 보면서 체험해봤습니다만 대단하더군요. 혹시 두 제품을 가지고 계시다면 여러분도 한번 해보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방법은 어제 올렸습니다)

전원이 제대로 꺼지지 않아서 고생하면서도 만족스럽게 썼습니다. 생전 전원 스위치가 필요하지 않다고 주장했던 잡스의 생각에 따라 아이팟에는 홀드 스위치는 있었지만 전원이 없었고, 아이폰에도 “잠자기/깨우기” 버튼은 있었지만 전원은 없었습니다.

잡스는 이렇게 주장했다. 전원 스위치는 전혀 필요가 없는 장치다. 그것은 미학적으로나 신학적으로나 조화롭지 못하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자동으로 ‘동면’ 상태로 들어갔다가 사용자가 아무 버튼이나 누르면 다시 깨어나도록 만들면 된다. 굳이 기계를 꺼내고 버튼을 눌러서 ‘작별을 고하게’ 할 필요가 없는 것 아니냐.

<스티브 잡스> 월터 아이작슨

그래서 그냥 걸어두거나 케이스에 넣어두었다가 쓰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는 이 제품의 편의성은 발군이고, 이것 역시 에어팟 맥스의 미덕이라고 생각합니다. 누가 뭐래든 제가 좋으면 좋은거니까요. 일단 이쯤 하고 정식 리뷰는 좀 더 생각해보고 올리겠습니다.

이런저런 무선 헤드폰/이어폰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런저런 무선 헤드폰과 이어폰을 시험하고 있습니다. 트위터를 팔로우 하시는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일단 에어팟 맥스(AirPod Max)를 발매일에 받아서 쓰고 있고 그 외에도 Bose QuietComfort Earbuds를 2월 초에, Sennheiser Momentum True Wireless 2를 2월 하순에 구입해서 들어보고 있습니다. 셋다 정말 어디 하나 내다버리기 힘들 정도로 훌륭한 제품입니다만, 상세한 리뷰는 언젠가 올리도록하고, 오늘은 그냥 이 제품들을 쓰다가 든 생각입니다.

1세대 에어팟과 Bose QuietComfort 35를 쓰기 전까지는 사실 무선 헤드폰에는 커다란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이제는 유선 제품 구입은 완전히 멎었고 무선 제품으로 돌아섰는데요. 그 커다란 이유는 (잘 알 수 없는 ) 음질의 열화보다는 선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점이 너무 편리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에어팟이 그렇고 QC35가 그렇고… 블루투스 제품들은 하나같이 수명이 그리 길다고 할 수 없습니다. 매일 쓴다고 가정하면 2~3년 이상 쓰면 잘 썼다고 칭찬받을거 같아요. 제가 가지고 있는 유선 이어폰들이 SE530이나 Triple.Fi, UM2, ER-4P, UE900, B&O Earphones A8 등등 아직 커다란 하자 없이 작동하는데 모두 거의 구입한지 10년 안팍이나 됐습니다.

얘네들 가격이 비싸게 나가봐야 50만원하던 SE530을 생각해보면 2~3년 쓰기 위해서 40만원을 들여 모멘텀 트루 와이어리스2를 쓰는것에 뭔가 위화감을 느낍니다. 전자 쓰레기의 산을 만드는데 일조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편리함을 주는건 좋은데 가성비도 안좋고 환경에 대한 임팩트도 너무 크군요. 에어팟 이래 봇물을 이룬 이것 또한 애플의 원죄라고 해야할까요.

요츠바랑! 15권

요츠바랑! 15권을 3월 초에 받아서 두번째 읽고 있습니다. 요츠바의 성장, 그리고 아버지에 감정이입이 느껴지는 에피소드가 많아서 “아, 혼기가 찼구나’ 라고 스스로 생각하게 됩니다. 작가인 아즈마 선생 말하길, 3년만에 대폭 양을 늘려서 출간한 책이라고 합니다만, 양은 평소대로 해도 되니까 3년보다는 짧은 간격으로 출간해주었으면 하는 바람아닌 바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전자책도 다음 책이 나올 때 즈음을 시사하고 있던데 좀 일찍 내주어서 요츠바랑을 인생의 상비약으로 삼고 있는 저로써, 요츠바랑이 생각 날때마다 책장에서 전질을 바리바리 싸가지고 와서 쌓아놓고 읽지 않게 해주었으면 좋겠다… 라는 생각을 합니다(네, 정발판은 전자책이 있습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