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LINE)으로 모든 것이 이뤄지는 세상을’ 군사가 말하는 구상

이하는 아사히 신문에 게재된 인터뷰를 번역한 것입니다. 이하 인터뷰.

마스다 준은 7월 15일 주식을 상장한 LINE(이하 라인)의 ‘군사軍師’라고도 불러야 할 존재다. 전략 담당을 맡고 있는 그에게 앞으로의 라인의 전략을 들었다.

(인터뷰는 2016년 7월 11,12일)

 ‘스마트 포털’이라는 구상은 참신하네요. 메시지에서 시작한 라인을 다른 서비스로 넓히기로 생각하신 것은 언제부터입니까?
후에 라인의 결실을 맺게되는 사내 프로젝트에서 이야기가 오가던 2010년말즈음에는 저와 신중호(이사, 모회사인 한국 네이버 출신)씨 사이에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것 다음에는 좀 더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할 수 있는 것 아닐까?’ 라고 이야기가 오갔습니다. 본격적으로 2011년 10월, 사용자가 500만~600만 명 정도 되었을 즈음 ‘LINE 플러스’라는 코드 네임의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매수한 구(舊) 라이브도어와 구 네이버 저팬이 하나로 된 즈음에 500~600명의 사원들을 모은 회의 중에 신중호씨가 ‘1억명의 사용자를 확보해 플랫폼을 노린다’라고 말했지요.

그때의 플랫폼이라면?
라인을 축으로 하는 기업용 서비스를 한다거나 뉴스를 제공한다던가, 스탬프를 판매한다는 것 같은 것이었죠.

인프라인 라인은 무료로 그 다음에 전개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유료로 하여 과금한다거나 같은것인가요?
그런것이죠. 우리들은 많은 사용자가 있고, 매일 사용하지요. 일본의 지금까지 인터넷 서비스와는 단위 자체가 다른 규모이며 사용자들을 다양한 서비스에 이끌어낸다. 그래서 2014년에 라인(LINE)을 LIFE 플랫폼 화 한다는 선언을 했던 것입니다만 거기서 2016년에 ‘스마트 포털’이라는 단어를 내밀기 시작했습니다. 24시간 365일, 라인을 입구로 해서 모든 것이 이뤄지는 세상을 만들자, 라고 말이죠. 게임이나 음악같은 콘텐츠로 시작해서 라인 페이로 결제를 하고 거기에 기업용으로 내부에 닫혀있던 프로그램을 개방해서 지금까지 기업의 판촉이나 물품 판매도 라인 상에서 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스마트폰의 포탈인 ‘스마트 포털’은 알기 쉬운 단어군요.
경영진 사이에서는 작년 가을 정도에 그런 컨셉이 자리잡혔습니다만, ‘스마트 포털’이라는 단어를 정한 것은 올해 3월입니다. ‘브랜드 익스피리언스(BX)’라는 팀이 있습니다만 그곳에서 반 년정도 생각했습니다.

드문 명칭의 부서군요?
원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팀으로 사용자가 만지는 부분의 퀄리티를 높히는 것과 이벤트나 프레젠테이션의 디자인이나 사무공간 디자인까지 하고 있습니다. 원래 한국의 네이버가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네이버 출신의 김성근씨가 치프 크리에이티브 오피서 적인 역할을 해냈습니다. BX의 팀의 충실함과 권한의 크기는 놀라울 정도랍니다.

라인은 한일의 융합체이면서도 지금까지 될수 있으면 한국색을 내지 않도록 했다고 생각합니다만 그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A.뭐, 혐한 분위기도 있었던데다가 ‘한일’이라고 말했을 때 여러분들이 커다랗게 반응합니다. 우리는 서비스에 전력을 다하고 싶습니다만 그런 점이 이상하게 변형되어 보입니다. 긴 한일 관계의 사이에는 이런저런 일이 있었던데다 과제도 존재하고 있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만, 특별히 우리가 나라를 대표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그러한 융합이 힘이 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신중호씨가 한국에 남아서 했더라도, 혹은 우리들이 일본에서만 했더라도 아마 지금같은 결과는 되지 않았을 거라고 봅니다. 존재하는 종種의 하이브리드로 화학반응이 일어났다, 이러한 케미스트리가 제일 중요한 것입니다.

(오오시카 야스아키/大鹿靖明)

 


Posted

in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