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를 보면서 엔지니어의 혜안이 아쉽다.

집에 돌아가기 위해 택시 정류장에 줄러리 서있는 택시를 따라가보니 하나하나 DMB가 달려서 지루함을 달래고 있었다. 차는 늘었는데 줄은 줄었다. 맨 앞차를 타니 야구 중계가 하고 있었다. 중계중간 광고를 할때  7″ 와이드 액정이 달린 DMB 네비게이션을 보면서 나는 이 나라 엔지니어들의 혜안이 아쉬웠다.

4:3 QVGA 화면 비율의 우려
다른게 아니라 내가 우려를 했던것은 화면 비율(Aspect Ratio) 문제였다. 현행 지상파 DMB 규격은 4:3 으로 지상파 SDTV와 동일하다. 문제는 예의 야구 중계를 비롯하여 상당수의 프로그램이 이제 HD로 제작되고 있다는 것이고, HDTV는 16:9의 화면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아마 그 네비게이션의 화면비도 16:9에 가까울것이다.

물론 당분간은 문제가 없으리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촬영시에 4:3 프레임을 염두에 두고 작업을 하기 때문이다. 방송용 카메라 화면을 언뜻 본적이 있는데 4:3 영역에 세로로 프레임이 있었다. 그 부분은 아나로그 텔레비전이나 DMB로 보게되면 잘려나간다. 그러니 그 부분에 중요한 부분이 들어가면 안되는 것이다. 즉, 그 프레임은 일종의 ‘세이프티 존’인 셈이다.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만드는 사람에게 있어 상당한 짐을 지우는 일이라고 본다. 이건 DVD 초기에 있었던 화면 비율 논쟁과 비슷하다. 촬영자는 16:9 비율의 기재를 이용해 보이고 싶은 바를 표현하지만, 결과적으로 4:3 화면에서는 그 일부가 잘라지는것이다. 사진을 찍는 사람이라면 트리밍이라는것에 학을 떼는 사람도 있다는걸 감안하면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대작 드라마는 레터박스를 위아래로 깔고 방송했다. 하지만 이 레터박스에 대해서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 화면이 큼직하기라도 하면 모를까 가뜩이나 작은 화면에서 레터박스로 화면의 1/4 가까이를 줄여놓으니 말이다. 16:9로 찍는다면 16:9로 보는게 정석인것이다.

16:9로의 전환 
최근 일본드라마를 보면 점점 대담하게 좌우측 테두리를 채우는 경우가 늘어났다.  투니버스에서 하는 새 아따맘마를 보니 모든 가족들이 일시에 다이어트를 했다. 둘다 몇년전에는 없었던 일이다. 어거지로 16:9 HD 영상을 4:3으로 끼워넣은것이다. 레터박스도 아니고 스퀴즈다.  아닌게 아니라 16:9를 지원하는 디지털 텔레비전이 이미 상당수 보급되었다고 판단한 일본 방송계는 이제는 당연히 16:9를 기본으로 상정하고 있는 듯 하다. 일본에서는 TV 광고도 16:9를 상정하고 방영한다.

DMB는 4:3이다. 지상파 아날로그도 4:3이다. 하지만 이제 지상파 아날로그 TV는 2012년이면 단체(standalone)로는 방송을 볼수 없게 된다. 일본은 이보다 1년 앞선 2011년부터 종료하겠지만 벌써 분위기는 파장직전인듯하다. NHK 월드를 보다보니 뉴스워치9 의 기상정보 도중에서 화면이 갑자기 쪼그라든다. 아닌게 아니라 화면이 레터박스로 바뀌었다. 기상 도표와 그래프를 화면에서 짤리지 않게 4:3 화면에 맞도록 줄인것이다. 그리고는 다시 끝나자 귀퉁이를 잘랐다. 디지털 텔레비전이 얼마나 대세로 자리잡았는가를 느꼈다.

자, 그러면 DMB 시청자가 1300만 시대라는데, 우리의 DMB는 어떻게 되는것일까? 작년에 삼성전자가 LCD텔레비전 광고를 하면서 사상 첫 HD광고를 했는데, 미숙한 처리로 4:3 TV에서는 귀퉁이의 제품명이 짤려나가는 해프닝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 차차 HD로 제작되는 프로그램은 늘것이고 사람들은 16:9 TV를 살것이다. 4:3을 살래야 실상 싸구려 중국산(한국회사 제품도 국산이 아닌게 많다)텔레비전을 제외하면 모든 TV가 16:9이다. 내 방에 5년전에 놓았던 40만원짜리 평면 아날로그 TV와 똑같은 크기의 LCD 텔레비전을 같은 값에 지금 살 수 있다. 물론 HD급이고 당연히 화면은 16:9이다. 아마 값은 더 떨어질 것이다. 전환수요가 생긴다면 소형 제품도 더 늘어날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일본에서는 16″ 급도 나온다. 아날로그 방송 종료가 임박해오면 자연스럽게 4:3 화면은 사람들 뇌리에서 사라질것이다. 가까운 시일내에.

트러블 발생
그러면. 그 작은 화면으로 16:9 레터박스 화면을 보아야 한다고 생각해보라…; PMP나 내비게이션이라면 좀 견딜만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휴대폰 사용자들은 돋보기를 하나 준비하거나 아니면 좀 더 큰 화면을 갈구할런지 모르고 또 그게 나올런지도 모른다. 근데 더 걱정인것은 핸드폰도 굳이 따지자면 4:3 보다는 16:9에 가깝다는 것이다. 보통 핸드폰 액정을 보면 세로로 길고 가로로 좁다. 햅틱같이 극단적인 케이스도 있다. 그것은 꽤 오래전에부터 그런것이다.

방송규격이라는게 한두해만에 사라지는게 아니니 만큼 방송규격을 만드는것은 상당히 숙고가 필요한것이 아닌지 싶다. 생각해보라 이제 와서 보니, 지상파 방송이 16:9로 바뀌었으니 DMB도 쉽게 16:9로 전환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애당초 DMB라는 물건이 2000년대 엄연히 디지털 방송이 시작되는 마당에 개발되었는데 4:3을 기본으로 만들었단게 이해가 가질 않는다. 이미 포터블 기기들의 소형 액정들은 점점 4:3보다는 점점 16:9에 적합한 형태로 가고 있는데 그 모든 기기에서 윈도우(16:9 화면에서 4:3 영상을 넣을때 좌우에 생기는 흑색 바)를 넣던지, 화면을 억지로 늘리던지 하는 수를 써야하는거 아닌가…   16:9 소스가 되면 4:3에 맞춰 짤린 것을 억지로 또 16:9로 늘린다. 이건 좀 아닌것 같다. 애당초 그냥 QVGA를 고집하지 않고 해상도를 다르게 정하는 것이 좋았을 것이다.  일본 같은 경우 핸드폰도 액정이 16:9 와이드 액정이다.

마치며
불과 몇년이 안되었건만 DMB 규격은 내눈에는 불안불안하다. 나중에 DMB 2.0 같은게 나와야하지 않을까 싶을정도로. 아마 그게 나온다면 지금과 같이 단순히 방송만 하는게 아니라 데이터방송과의 연계성을 좀 고려해야겠지 않을까? 원세그의 경우에는 휴대전화망을 이용한 데이터 교환을 통해서 각종 방송 관련 정보는 물론, 이벤트도 진행하고 상거래에 이용하는 등 다양한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DMB가 수익모델로 고민하고 있는데 만약에 데이터방송을 통한 통화료 수입과 상거래 중개 수입 등이 생기면 조금이라도 적자를 모면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다.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