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표준에 대한 아쉬움

올해로 돌아가신지 5년이 되는 제 외할머니는 소니 매니아였습니다. 자신이 텔레비전과 비디오를 구입할 때면 반드시 소니 제품으로 했고 당신의 딸의 혼수로도 소니 트리니트론 TV를 꼭 붙여보내곤 했습니다. 90년대 후반, LG는 제니스에서 인수한 ‘플랫트론’이라는 방식의 평면 음극선관(CRT)을 채택한 ‘플라톤’이라는 텔레비전을 내놓았었을때 얘기였습니다. 당시 소니는 아직 완벽한 평면 음극선관을 만들어내지 못하던 때였습니다(훗날 FD 트리니트론으로 평면 음극선관을 내놓습니다). 제가 ‘소니 제품 못지 않게 LG의 제품도 훌륭하다’라고 했지만 고인은 돌아가시기 직전에 구입한 TV도 소니 제품으로 하는 고집을 버리지 않으셨습니다.

그러한 일련의 소니에 대한 신뢰는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릅니다. 실제로 트리니트론 TV는 어퍼처 그릴이라는 기술을 사용하여 섀도우 마스크를 채용한 텔레비전 보다 레이저 총에서 발사되는 빛이 통과하는 구멍의 비율, 즉 개구율이 높아 태생적으로 섀도우마스크 TV보다 선명하고 화사하다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평면사각튜브(FST)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경쟁 기술은 상당히 둥근, 구형(球形)의 화면이었던 것에 비해 완곡한 곡면을 띈 화면이었다는 점도 보기 좋았다는 면에서 일조했죠.  게다가 이미 50년대 후반부터 컬러 텔레비전을 위한 연구를 시작했던 경험에서 비롯된 기술은 정확하고 보기 좋은 색을 표시하는데 이바지 했습니다. 특히 당시에는 디지털 기술이 아니라 아나로그에 의한 신호처리가 주였고, 소니는 그 분야에 있어서는 독보적이었던 것이지요. 그 까닭에 할머니는 소니 텔레비전에 대한 맹목적인 신뢰가 있었고, 실제로 그 신뢰에 답하기라도 하듯 트리니트론은 21세기 중엽에 완전히 생산종료에 이를때까지 특히 미주 시장과 업무용 시장에서 독보적인 자리를 차지했으며, 그때 차지한 소니라는 브랜드 밸류가 LCD패널의 자주생산을 포기한 지금에도 LCD 텔레비전 시장에서 엄청난 위력을 북미에서 발휘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할머니가 소니 제품을 쓰실때는 소니 코리아가 들어오기 훨씬 이전의 일이고, 당연히 일본 내수용 제품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일본과 한국의 텔레비전 규격은 같았으므로 튜너 부분의 약간의 수리를 거쳐서 소니의 TV와 비디오 모두 한국에서 사용할 수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이런일이 불가능합니다. 디지털 시대로 들어오면서 일본은 ISDB-T 방식의 디지털 텔레비전 방식을, 우리나라는 ATSC를 도입했기 때문이지요. 물론 우리나라가 이제는 세계적인 수준의 플랫패널을 생산하는 국가라는데 이견을 제시할 생각은 없습니다.  따라서 일제(日製)라서 무작정 덮어두고 사야한다거나 수입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일본 제품 중에서도 개개의 제품 중에는 화질이나 기능에서 좋은 제품이 있는데 이를 단순히 표준이 다르다는 이유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은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아날로그 시대에는 TV를 판매하던 많은 일본 가전 업체의 현지법인 및 수입업체가 한국사양의 튜너를 내장하지 않고 판매해서 구하기도 쉽지 않은 외장형 HDTV 튜너가 필요한 경우가 있었으며, 규모가 크지 않은 업체의 경우에는 판매를 하지 않는 경우도 생겼습니다.

덕분에 우리나라에서는 마치 철저한 관세장벽에 보호되고 있는 자동차처럼 일반 시장에서는 LG 아니면 삼성, 두가지의 선택지만을 강요당하게 되었습니다. 참 아쉽게 되었습니다. 이런 사정은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다른 시장도 마찬가지입니다. 휴대폰이라던지.. 이래가지고는 국산품이 세계 최고라서 쓰는 것이 아니라 국산품밖에 없기 때문에 쓰게 될 것입니다. 가격도 문제입니다. 정상적인 시장이라면 수입을 통해서 타국의 경쟁 제품도 들어와야 가격비교를 통해서 가격이 제대로 매겨질 터인데, 우리나라 차가 우리나라에서 비싸게 받아서 해외에서 출혈 판매하듯이 똑같은 현상이 가전업계에도 벌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당연히 기술이 발생하다보면 규격이 차이가 나고 그러다보면 대립이 생깁니다. 당연한 일이지요. 하지만 이는 위에서 보여진 것 처럼 소비자에게 결코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업계에 있어서도 하나의 장벽으로 존재합니다. 역사적으로 볼때 표준된 기술은 매우 중요합니다.

워크맨을 아십니까? 지금 자라는 십대에게는 워크맨이라고 하면 모르는 사람이 더많지만 80년대 중반 태생까지의 사람이라면 워크맨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던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를 사용해보거나 들어본적이 있을것입니다. 워크맨은 소니의 창업자이부카 마사루가 항공여행 중에 스테레오 음악을 듣기 위해 지시해서 소니의 엔지니어 기하라 노부토시가 휴대용 카세트 녹음기를 음악용 스테레오로 개조해 만든 것으로 작은 몸체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스테레오 음악이 흘러 나왔다고 합니다. 이 워크맨은 전세계적으로 한때 수요를 못따라갈정도로 팔렸지요.

워크맨이라는 이 일본제 영어가 전세계적으로 유명해지기까지는 곡절이 있는데 소니는 워크맨을 본디 일본제 영어즉, 조어 라는 이유로 다른 이름으로 판매 할 예정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항공 승무원과 해외 출장객을 통해서 이미 구미로 소개되어 구전으로 워크맨이라는 물건이 알려지는 것이 계기가 되어 워크맨이라는 이름으로 통일하게 되어 오늘날의 워크맨의 지위에 이릅니다.
 
소니는 필립스와 제휴하여 오늘날의 카세트 테이프의 규격을 만들었습니다. 세계 공통의 규격이었지요. 소니는 테이프 레코더를 통해서 초기 성장기반을 닦았습니다. 가끔 영화에서 보시겠지만 당시의 테이프 레코더는 두개의 릴(타래)에 테이프를 감아 회전하는 구조였습니다. 따라서 휴대가 불편했을 뿐만 아니라 테이프를 빼기 위해서 테이프를 반드시 도로 감아야 했습니다. 필립스가 카세트 테이프를 공동 개발 할 것을 제안할때 이미 소니 내부에서도 카트리지 형태로 만들 필요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만일 소니나 필립스가 합작하지 않고 독자의 테이프를 만들었다면. 즉 세계적으로 테이프의 규격이 나뉘어 대립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요?

아마도 다행히 자국에서 소니의 테이프를 사용한다면 모를까, 자국에서 사용하지 않는다면, 자국에서 사용할 수 없는 소니의 테이프를 사용하는 워크맨을 가져가서 사용할 사람은 아무도 없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워크맨의 붐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입니다. 아마 워크맨이라는 이름도 이렇게 알려지지 않았을것입니다.

그것을 너무도 잘 알았던 소니는 필립스와 다시금 디지털 음악 수록 매체를 개발합니다. 그것이 바로 여러분이 아시는 CD입니다. 하지만 10년뒤에 내놓은 미니디스크는 국제적인 호응을 얻지 못해 사실상 일본 국내 전용 포맷이 되어 버렸고 MD에 안주하고 있는 동안 소니는 MP3를 기반으로하는 디지털 음악 플레이어 시장에 애플의 추월을 허용하는 치명적인 우를 범합니다.  

평면 패널 텔레비전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래저래 해외 사이트를 알아보다가 든 상념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파이오니어나 파나소닉 같은 주요 PDP 메이커가 참가하지 않고 있고, 샤프 같은 경우에는 우리나라에 두개 모델만 내고 있고 가장 적극적이라는 소니는 한세대 구형 모델을 소개하고 있었습니다. 게다가 우리나라의 가격은 수입업체 국내업체 너나할것 없이 높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