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물 하단의 공유 버튼의 배치를 바꿨습니다. 알아 채셨다면, 그 분은 반드시 연락 주십시오. 푸른곰 블로그 검정 1급의 자격이 있습니다. 사실 공유 버튼의 제일 처음 순서는 X(구 트위터) 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Threads에도 밀려났네요. 이유는 말씀 안드려도 되겠지요? 참고로 X는 이 블로그의 자동 발행이 안되는 유일한 SNS기도 합니다.
게시물 하단의 공유 버튼의 배치를 바꿨습니다. 알아 채셨다면, 그 분은 반드시 연락 주십시오. 푸른곰 블로그 검정 1급의 자격이 있습니다. 사실 공유 버튼의 제일 처음 순서는 X(구 트위터) 였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Threads에도 밀려났네요. 이유는 말씀 안드려도 되겠지요? 참고로 X는 이 블로그의 자동 발행이 안되는 유일한 SNS기도 합니다.
왜 갑자기 블로그에 열을 들이시나요? 라고 여쭤보실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도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저는 늘 ‘설치형 블로그는 원예(가드닝)’ 같은거라고 말하곤 합니다. 서버를 새롭게 뜯어 고친 김에 방치하던 블로그에 생명을 주고 싶었기도 하고요. 무엇보다도 요즘 들어서 SNS가 여러 개가 되면서 당초에는 동시 발행도 시도했었지만, 서비스마다 보이는 것도 다르고 서비스마다 글자 수 제한도 제각각이라 스트레스였습니다. 무엇보다도 ‘푸른곰’이라는 아이덴티티가 서비스마다 사분 오열 되는게 영 마뜩찮았습니다. 그리고, 블로그에 한 군데에 모아두면 검색도 용이한데 SNS는 태생부터 검색이 영 시원 찮습니다.
그 외에도 좋아하는 자료를 원하는 만큼 엠베드 한다거나(대개의 SNS는 동영상 하나만 올리면 사진 한장도 더 올릴 수가 없죠), 할 수 있으니까요. 자유로움이라는 것이겠죠. 블로그 포스팅은 체계를 갖춘 글이어야 한다는 강박만 없다면 오히려 더 자유롭고, 잘 써지는 것 같습니다. 사람 재미있지 않나요?
근데 이 블로그는 댓글을 전부 닫아 놨습니다. 과거에 달린 댓글도 비표시 처리했습니다. 당초에는 데이터 관리의 용이성이나 개인정보보호 관점에서였지만, 일종의 자기방어 차원이기도 합니다. 인신공격과 스팸을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이니까요. SNS에 발행되면 거기에 답글을 다시면 되도록이면 답해드리고 있습니다. 할 말이 궁해서 답을 안해도 전부 읽어 보고 있습니다. 그럼 잘 부탁 드립니다.
방문자 통계를 보다 보니 재미있는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사실 새벽에 갤럭시 폴드 4의 Chrome으로 잠시 사이트가 잘 돌아가나? 둘러 봤는데요. 그게 방문자 통계에 그대로 잡힌 것입니다.
위의 이미지에서도 나와 있지만, 갤럭시 폴드 시리즈를 이용해 Chrome으로 접속하면 안드로이드 태블릿으로 구별되더군요. 삼성 브라우저를 이용하면 어떨까, 라는 생각이 안드는 건 아닙니다.
LiteSpeed Web Server로 교체했습니다. 지금 기분을 표현하면, 산에는 올랐는데, 과연 이제 뭘 어쩌나 싶은게 솔직한 심경입니다. ‘이제 하산해야 하나?’ 라는 기분일지도 모르죠. OpenLiteSpeed 서버 때도 그랬지만 변함없이 빠릿 합니다. Apache 시절로는 돌아가지 못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근데 너무 잘 돌아가는 나머지 허전~ 합니다. 허무하다고 까지 할까요. 이럴 줄 알았다면 Trial부터 해볼 걸 그랬나 싶기도 하고요.
혹시 LiteSpeed Web Server(LSWS)와 OpenLiteSpeed(OLS) 사이에서 망설이는 분이 계시다면 그냥 OLS로도 대개는 충분할 겁니다. 일반 개인 입장에서는 크게 차이를 느끼기 어렵고, 오히려 새로 UI를 학습해야 해요.
해서 당분간은 LSWS로 유지를 할까 하는데요. 월 10달러 과금이 있으니 이거 참 골치가 아닐 수 없습니다. 뭐 각오하고 움직인거지만요. 거기에 산이 있었으니까요.
기왕, 이렇게 된 거 본전이 아쉽지 않게 글을 써 재껴볼까 생각 중입니다. 어제(1일) 서버 작업을 마치고 나자 삭신이 다 쑤시던데, 몸이 얼마나 버틸지가 관건입니다만서도.
2013년 7월 1일자로 Google이 Google Reader를 죽인지도 딱, 12년이 되었습니다. 그간 SNS로 전환한 분들도 많이 계시고, RSS를 포기하신 분들도 많이 계실겁니다. 그렇지만 만약 지금도 여러분이 RSS를 사용하고 있고, RSS를 사랑하신다면, 여러분은 Feedbin을 사용해보실 가치가 있습니다.
한 지인께서 저에게 Feedbin에 대한 의견을 구했을 때, 저는 망설임없이, “Google Reader의 유일한 정신적 후계자”라고 말했습니다. 깔끔하며, 빠르고, 군더더기 없지만, 기능은 풍부한… 그런 RSS 리더를 찾는다면 이만한 것이 없습니다.
유일한 흠이라면, 유료라는 것입니다. 저는 연 20달러 혹은 매달 2달러를 내지만, 여러분은 Trial 이후 5달러/50달러를 내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RSS 어그리게이터를 찾는 조언에 Feedbin을 사용해보시고 실망하신분이 여즉 단 한 분도 안계실 정도로 좋은 서비스입니다. 뉴스레터(인박스를 깔끔하게 유지 가능!)나 유튜브(깨끗한 알고리즘!), 팟캐스트도 잘 받아들입니다. 여러분도 한 번 시도해 보시길 바랍니다.
오늘 앞서서 말씀 드렸듯, 서버 변경을 시도해보고자 합니다. 최대한 원활하게 이전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만, 간혹 HTTP 403/404/500(이에 한정 되지는 않음)나 서버 리퀘스트 실패 등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서버 이전은 7월 2일 0시 전후해서 시작해서 당일 미명에 끝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너른 양해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