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엔진 최적화(SEO)의 첫 단계는 기술적 SEO(Technical SEO)입니다. 많은 분들이 “좋은 글만 쓰면 된다”고 생각하지만, 검색엔진은 사용자가 보는 방식으로 글을 이해하지 않습니다. 크롤러라는 프로그램이 사이트를 탐색하며, 속도·보안·구조 같은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콘텐츠가 있어도 사이트가 느리거나 보안이 취약하거나 크롤러가 접근하지 못하면, 검색엔진은 제대로 평가하지 못합니다.
속도와 사용자 경험
제가 한때 Lightspeed 서버를 쓰고, 지금은 비용이 더 많이 들더라도 고성능 호스팅을 유지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빠른 로딩 속도는 곧 좋은 사용자 경험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구글은 Core Web Vitals라는 지표를 통해 속도와 안정성을 순위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 LCP(최대 콘텐츠 표시 시간): 2.5초 이내가 권장
- INP(상호작용 반응 시간): 200ms 이내가 이상적
- CLS(누적 레이아웃 이동): 0.1 이하 유지
이 지표를 충족하지 못하면, 단순히 점수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실제 순위에서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값을 최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벼운 테마 사용, 이미지 최적화, 그리고 WP Rocket이나 Perfmatters 와 같이 캐싱/코드 최소화/지연 로드를 지원하는 속도 향상 플러그인(코드 지식이 있다면 손수 해도 됩니다)을 사용하는 것이 필수 불가결 입니다.
PageSpeed Insights 올바르게 활용하기
많은 분들이 PageSpeed Insights 점수만 보고 만족하지만, 실제로 중요한 것은 점수가 아니라 사용자가 체감하는 성능입니다. 예컨대, 90점을 받더라도 이미지가 최적화되지 않아 LCP가 늦게 측정되면, 검색 결과 페이지(SERP)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고서에서 Core Web Vitals, 렌더링 차단 리소스, 서버 응답 속도 같은 세부 항목을 꼼꼼히 봐야 합니다. 지나치게 무거운 이미지나 속도를 잡아 끄는 외부 리소스, 렌더링 차단 리소스 등은 앞서 말씀 드린 플러그인들의 도입으로 코드 지식이 없이도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속도 외 기술적 SEO 요소
모바일 친화성
구글은 이미 모바일 퍼스트 인덱싱(Mobile-First Indexing)을 기본 정책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는 PC 버전이 아니라 모바일 버전을 기준으로 검색 순위를 매긴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사이트가 모바일 화면에서 제대로 표시되지 않으면, 아무리 PC에서 잘 보이더라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반응형 디자인은 화면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레이아웃이 조정되므로 가장 안정적인 방식입니다.
- 버튼 크기, 글자 크기, 터치 영역 등도 모바일 환경에 맞게 최적화되어야 합니다.
-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구글 공식 툴)를 통해 점검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 애시당초, 반응형으로 검증된 테마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크롤러 접근성
검색엔진 크롤러가 사이트를 원활히 탐색할 수 있어야만, 콘텐츠가 색인되고 순위에 반영됩니다.
- robots.txt 파일로 크롤러 접근을 제어하되, 중요한 페이지를 실수로 차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XML 사이트맵은 모든 주요 페이지를 검색엔진에 알려주는 지도 역할을 합니다. 특히 새로 추가되거나 업데이트된 페이지가 빠르게 색인되도록 돕습니다.
- 캐노니컬 태그(canonical tag)는 중복 페이지가 있을 때, 원본 URL을 명확히 지정하여 검색엔진이 혼동하지 않게 합니다.
- 이러한 것들은 SEO 플러그인 들이 기본적으로 해주는 일입니다. 무료라도 상관 없으니 어떤 것이든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는 이유입니다.
보안(HTTPS)
HTTPS는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구글은 보안이 적용되지 않은 사이트를 ‘안전하지 않음’으로 표시하고, 순위에서도 불이익을 줄 수 있습니다.
- SSL 인증서를 설치해 HTTPS를 적용하면, 브라우저와 서버 간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사용자 개인정보가 안전해집니다.
- 특히 로그인·결제 페이지가 있는 사이트라면 HTTPS는 신뢰 확보에 직결됩니다.
- 무료로 제공되는 Let’s Encrypt 인증서를 활용하면 비용 부담도 줄일 수 있습니다.
- TLS를 지원하지 않으면 HTTP/2나 HTTP/3을 지원하지 못하기 때문에 속도에서도 불리합니다.
중복 콘텐츠 관리
검색엔진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페이지가 여러 개 있으면 혼란스러워합니다.
- URL 파라미터(예:
?utm_source=newsletter
)나 세션 아이디가 붙은 페이지가 그대로 색인되면, 동일한 콘텐츠가 여러 URL로 분산되어 평가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 캐노니컬 태그를 활용하거나, 불필요한 파라미터를 검색엔진 색인에서 제외하여 중복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 이 과정은 크롤링 효율을 높이고, 페이지 권위를 한 곳에 모으는 효과가 있습니다.
구조화 데이터(Schema)
구조화 데이터는 콘텐츠에 의미를 부여하는 태그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단순히 “별점 ★★★★★”라고 쓰는 대신, Schema.org의 마크업을 활용하면 검색엔진이 “이건 리뷰 평점이다”라고 정확히 인식합니다.
- 이렇게 하면 검색 결과에 리치 스니펫(Rich Snippet)으로 노출되어 별점, 가격, 이벤트 일정 같은 추가 정보가 표시됩니다.
- 리치 스니펫은 CTR(클릭률)을 높이는 데 큰 효과가 있습니다.
호스팅 안정성
사이트가 자주 다운되거나 느리게 응답하면, 검색엔진은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검색엔진은 색인 과정에서 사이트가 자주 응답하지 않으면, 크롤링 빈도를 줄여버립니다.
- 안정적인 서버와 빠른 네트워크 환경을 갖춘 호스팅은 기술적 SEO의 기본 투자입니다.
- 클라우드 기반 호스팅이나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을 활용하면, 전 세계 어디서든 일정한 속도와 가용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속도 외의 기술적 SEO 요소들은 “검색엔진이 사이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입니다. 속도가 사용자 경험을 높이는 핵심이라면, 이 요소들은 검색엔진 신뢰도를 높여주는 기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결론
기술적 SEO는 단순히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아니라, 검색엔진과 사용자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입니다. 기반이 허술하면 그 위에 쌓은 어떤 전략도 성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사실 열거해보면 ‘현대적인 웹 권장사항을 얼마나 잘 따르고 있냐’라는 일종의 확인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워드프레스 SEO로 성과를 보시려면 이러한 기술적 권장 사항을 최대한 충족 시키는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