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통화등기(현금등기)를 사용해보다

강원도에 구순을 앞둔 할머니가 계신데, 지난번에 김장김치를 얻어먹고 설을 앞두고 있으나 귀성할 수 없을 것 같아서 약간 용돈을 부쳐드려야겠다 싶었는데, 문제는 할머니께서 구순을 앞두셨다는 부분이다. 계좌를 가지고야 계시지만 ATM을 낑낑거리며 만지는 할머니를 상상하자니 솔직히 이건 아니지 싶었다. 그래서 예전에 현찰을 보낼 수 있는 우편제도가 있다는걸 알게 되어 신청했다. 수수료가 10만원에 4천원이 넘는, 요즘 넘쳐나는 무료 송금을 생각하면 한숨이 푹 나올 서비스이긴 하나 할머니 눈앞에 현찰을 ‘턱’ 하니 배달해 준다니 차라리 이게 낫겠다 싶었다. 현금 외에도 간단한 메시지 정도는 추가해서 보낼 수 있다. 

보내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인터넷 우체국에서 현금 배달(통화등기) 메뉴를 찾아서 주소 적고 연락처 적고 메시지 적고, 금액 적고 확인한 뒤에 금액과 수수료를 지정계좌에 송금하면 이쪽에서 할 일은 끝이다. 그러면 받는 사람 관할 배달 우체국에서 인쇄해서 봉함하고 발송해준다. 그래서 솔직히 배달은 좀 더 빨리 되도 될 것 같은 느낌이나… 아무튼 도착하면 휴대폰으로 실시간으로 알림도 해준다.  

주문을 10일에 하고 당일 바로 무통장입금으로 수수료와 10만원을 입금했고 12일 제작이 완료되어서 13일 배달되었다. 설을 앞두고 있어서 제작/배달에 시간이 걸린다고 양해를 구하기는 하더라. 아무튼 현금 10만원은 200km 넘는 거리를 제대로 갔고. 할머니는 뜻밖의 현금에 좋아하셨다. 부모님들 좋아하는 선물 1위가 현금이라는데 계좌이체는 뭔가 아니다 싶을 때 가끔 써먹으면 좋지 않을까 싶다. 앞서도 말했듯이 간단한 메시지 정도는 추가 할 수 있으니 ‘적요’란 밖에 활용할 수 없는 무통장 입금 보다는 인간미가 있을지 모르겠다. 시간 역시 인간미가 넘치게 걸리는게 흠이지만.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