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곰의 두번째 HHKB(해피해킹키보드) – HHKB Professional Hybrid Type-S 사용기

푸른곰은 인생 두번째 해피해킹키보드를 씁니다.

16년만의 해피해킹 키보드 오다

HHKB Professional HYBRID Type-S 상자

제 블로그 초창기에 ‘키보드의 롤스로이스’라고 소개한 키보드가 있습니다. 바로 PFU사의 Happy Hacking Keyboard(HHKB) Professional 2 인데요. 그 때가 대략 06년이었는데 지금도 멀쩡히 동작합니다. 그야말로 Made in Japan의 퀄리티를 세월을 걸쳐 증명해준 물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금도 키 하나 안 먹는 거나 뻑뻑한게 없고 아무런 이상이 없으니 말이죠. 이 키보드를 처음 쓸 때는 당연히 키보드라는 물건은 USB든 뭐로든 컴퓨터에 선으로 연결해서 쓰는게 당연한 거였습니다. 하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노트북이 점점 세를 확장하면서, 그리고 저 자신도 노트북을 쓰게 되면서 마이크로 USB도 아니고 미니 USB로 연결해야 하는 이 키보드가 거추장스럽게 여겨졌습니다.

무려 16년간 활약해준 HHKB Professional 2

그러다보니 사용빈도가 많이 줄어든 것이 사실입니다. 노트북을 외장 모니터에 연결하거나 노트북 스탠드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 다음에도 로지텍의 MX Keys 같은 무선 키보드를 사용하는 빈도가 더 많았습니다. 특히 맥북프로 2018에서 USB-A 포트가 전멸하고 나서는 연결하기가 한층 더 까다로워졌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한동안 약간 경원시한 감이 있습니다. 그때마다 저는 생각했죠. “아, 해피해킹 키보드를 무선으로 쓸 수는 없는걸까?”라고 말이죠. 그리고 세월이 흘러 2019년 PFU가 그런 물건을 내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무려 무선과 유선 겸용 플래그십 제품을 말이죠.

하지만 세상사 일이 맘대로 풀리지 않았습니다. 우선 물건을 구하는 것이 쉬운일이 아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정식으로 판매되는 물건이 아니다보니 결국 직구밖에 방법이 없었습니다만, 직구를 하더라도 키보드 가격만 무려 3만 2천엔에서 제가 살때 3만 5천엔, 그리고 지금은 3만 6천엔에 달합니다. 수입 제반 비용까지 하자니 머리가 아파오더군요. 그래서 ‘보류 상태’로 두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지난 4월 말에 데스크톱 컴퓨터를 06년 아이맥 이후로 16년만에 새로 구입했습니다. 노트북에 질이 좋건 나쁘건 키보드가 따라나오는 반면 데스크톱은 어떻게서든 키보드를 하나 적당한걸 꽂아야 했기 때문에 이런 저런 키보드를 시험해보게 되고 거기에는 당연한 말이지만 해피해킹 프로 2도 포함되었지요. 물론 빛이 번쩍번쩍 나는 게이밍 키보드나 여지껏 잘 써온 로지텍 MX Keys도 시험을 해봤습니다. 해피해킹 프로 2나 여타 키보드가 모자란건 아니지만 왠지… 무언가가 아쉬웠습니다. 그래서 좀 고민을 하다가 해피해킹의 최신 버전인 HHKB Professional HYBRID Type-S의 유각 흑색 버전(PD-KB800BS)을 본격적으로 알아보기 시작했고 ‘기왕 컴퓨터도 새로 한김에’ 질렀습니다.

결국 3만 5천 200엔을 주고 구입. 며칠 뒤 가격이 3만 6천엔으로 인상됨

컴퓨터를 사면서 Bose의 스피커나 144Hz까지 나오는 4K 모니터라던가 허먼밀러 에어론 의자라던가 여러가지를 정비했습니다. 그야말로 앉아서 뭔가 거창한 거라도 할 것마냥 준비 하나는 철저하게 했습니다. 그 일환으로 큰맘 먹고 지른 것이지요. 그렇게 준비한 키보드가 도착했습니다.

세월을 타지 않는 키보드, 그러나 세월에 따라 착실히 진화한 키보드

상자에서 꺼낸 HHKB Professional HYBRID Type-S

해피해킹키보드의 최대 장점은 세월을 타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제 옛날 해피해킹 키보드를 꺼내서 “이거 구입한지 16년 된것입니다” 라고 하면 그다지 믿는 사람이 없을지 모릅니다. 그 정도로 세월의 풍파를 타지 않고 디자인 역시 세월을 타지 않습니다. 그런 해피해킹 키보드이지만 이번에 구입한 HHKB Professional HYBRID Type-S는 2019년에 발매되면서 당시 필요한 기술을 모두 총동원한 제품입니다. 우선 무엇보다 가장 기쁜 것은 블루투스를 통한 무선을 지원한다는 점입니다. 그것도 1대만이 아닙니다. 동시에 4대까지 기억했다가 키를 눌러 왔다 갔다 할 수가 있어 여러 컴퓨터를 놓고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필경 편리하게 다가올 것입니다. 게다가 USB를 통해서 유선 키보드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B 단자는 기존의 해피해킹키보드 프로2가 마이크로도 아닌 미니 USB였던 반면에 이번에는 USB-C라서 아마 당분간은 단자를 연결하는데 전혀 불편함이 없을 것입니다(그래서인지 본 제품에는 유선 케이블이 없습니다. 유선으로 사용하시고자 하는 분은 USB-C 케이블을 하나 구입해 두실 것을 권합니다).

디자인은 거의 그대로 답습하면서 인터페이스부가 충실해졌습니다만, 한편으로는 기능만 나아진 것이 아닙니다. 키감은 예전에 비해 가벼워진 느낌이고 두드리는 소리는 좀 더 조용해졌습니다. Type-S 모델이 처음 나왔을때 걸었던 ‘Speed’와 ‘Silent’를 양립하는 그러한 기능을 갖춘 유무선 겸용 플래그십 모델, 그래서 기대가 컸었습니다. 예전에는 무선을 고르거나 Type-S를 고르거나 둘 중 하나만 해야 했거든요. 이제는 둘 다 한 기종에 잡아넣었습니다. 덕분에 입력하면서 신나게 자판을 두드렸을때 훨씬 적은 힘을 들여서 훨씬 조용한 소리로 입력이 가능합니다. 조용하게 입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속으로 입력하기에도 편하게 조절되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저는 이 키보드를 주로 USB-C 케이블을 연결한 유선 키보드로써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무선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한 때 해피해킹 키보드를 맥북 프로 2010 15″에 연결하거나 심지어는 나중에 USB-A 단자 조차 없어서 변환 잭을 써야 했던 맥북 프로 2018 15″에 연결했을때 “아, 무선 해피해킹 키보드는 나오지 않는걸까?” 했던 고민이 싸악 해결되어 너무 마음이 후련합니다. 저는 한쪽에 윈도우 컴퓨터 한쪽에 맥을 놓고 있고 왔다 갔다 하며 작업하기 때문에 이러한 멀티 디바이스 기능이 있는 것은 매우 유용합니다. 그 기능 때문에 로지텍 MX 시리즈를 사용했을 정도니까요. 다만 (곧 발매될 MX Mechanical이 아닌)MX Keys는 펜타그래프식 멤브레인 키보드라 세게 열심히 두드리다보면 책상을 두드리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어서, 정확하고 키감도 나쁘지 않지만 손가락에 부담이 올 때가 많았습니다. 이제 그 문제에서 해소되어 정말로 기쁘게 생각합니다 . 저는 이번에도 흑색 각인을 구입했습니다. 승화 방식의 인쇄와 PBT 재질의 키는 아마 오랜시간 동안 제품의 아름다움을 간직하도록 도와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 키보드를 알아보시거나 구입하시면서 제일 기대하는 점은 사실 이러한 주변적인 얘기가 아니라 바로 키감이라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훨씬 가벼워진 키감과 훨씬 조용한 타건음, 그러나 확실히 눌리는 감촉이 있고 확실히 눌리는 소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키를 두드리는 것이 즐겁습니다. 무언가를 쓰고 싶다. 무언가를 두드리고 싶어진다. 라고 생각되는 키보드입니다.

물론 해피해킹 키보드의 희안한(?) 키 배치는 여러모로 적응이 필요합니다. 제가 처음으로 해피해킹 키보드를 샀을 때에 비한다면 이제는 같은 스위치를 사용하는 토프레의 ‘일반적인’ 레이아웃 키보드도 판매가 되는 시대가 되었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해피해킹을 선호하는 이유는 멀티플랫폼에 있습니다. 해피해킹 키보드는 앞서도 말씀 드렸다시피 블루투스 4대에 USB 1대, 계 5대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장치의 플랫폼은 제각각이어도 상관이 없습니다. 윈도우여도 맥이어도, 모바일 기기여도 상관이 없다는 말씀입니다. 반면에 토프레의 키보드는 윈도우용/맥용이 확실히 나뉘어 있습니다. 물론 토프레 제품이 좀 더 세부적으로 옵션이 나뉘어지고 가변 액추에이션 포인트를 지원하기도 합니다만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 키보드들은 한 플랫폼에 맞춰져 나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닙니다. 물론 어거지로 사용하면 사용 못할 것은 없지만 플랫폼은 달라도 키보드는 하나, 이것이 해피해킹 키보드가 가진 미덕이라고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키맵 변경 및 업데이트 유틸리티

해피해킹 키보드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전용 유틸리티를 실행하면 펌웨어 업그레이드와 키맵 변경이 가능합니다. 필요에 따라서 원하는 키의 위치를 바꿀 수도 있다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해피해킹 키보드에 전통적으로 따라왔던 DIP 스위치와 함께 이 기능을 이용하면 키보드의 버튼을 자기에게 제일 잘 맞는 형태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설정한 키맵은 하드웨어에 기록되기 때문에 장비를 바꾸더라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어쩌면 해피해킹 키보드를 사용하는 것이 조금 덜 괴로울지도(?) 모릅니다.

모두에게 맞지 않기에 맞는 이에게는 더 없이 잘 맞는, 고고의 유전자를 이어받은 진정한 최고봉의 키보드

해피해킹키보드는 여러모로 사람을 많이 가리는 키보드입니다. 요즘은 정전무용량 방식의 키보드 경쟁자도 많이 늘었고, 또 광 센서 방식의 기계식 키보드도 속속들이 선보이고 있는 실정입니다. 희안한 배열을 채택하고 비싸며, 구하기도 힘든 해피해킹 키보드를 굳이 사용해야 할 이유가 있어? 라고 물어보신다면 저 또한 사실 할 말이 궁하긴 합니다. 저 역시 16년간 쓰면서 익숙해졌기 때문에 선택한 감이 없잖아 있으니까요. 하지만 손에 익어서 자신의 키보드가 되었을 때, 대체하기 어려운 소중한 동반자가 되어 있을 겁니다. 다른 사람이 키보드를 만지려고 할 때, 당황하는 표정을 보면서 히죽거리게 되고 말이죠.

アメリカ西部のカウボーイたちは、馬が死ぬと馬はそこに残していくが、どんなに砂漠を歩こうとも、鞍は自分で担いで往く。
馬は消耗品であり、鞍は自分の体に馴染んだインタフェースだからだ。
いまやパソコンは消耗品であり、キーボードは大切な、生涯使えるインタフェースであることを忘れてはいけない。

東京大学 名誉教授 和田英一

미국 서부의 카우보이들은 말이 죽어도 말은 그 자리에 놓고 떠나지만 얼마만큼 사막을 건너더라도 안장만큼은 짊어매고 간다. 말은 소모품이지만 안장은 자신의 몸이 익숙해진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이다. 오늘 날, 컴퓨터는 소모품이지만 키보드는 소중한, 일생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도쿄대학 명예교수 와다 에이이치

ps. 3만 5천엔이나 하는 키보드에 USB-C 케이블을 안주는 건 무슨 심보일까 생각해봅니다. 사시고자 하는 분 중 유선으로 사용하시고자 하는 분은 반드시 USB-C 케이블을 별도로 구매하셔야 한다는 점을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Windows 데스크톱 PC를 새로 들였습니다

실제로 이것이 몇 년만의 일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사실 저희집 어딘가 구석 깊숙히에는 Pentium 4 윈도우 데스크톱 PC가 (아직도) 잠들어 있습니다만 말이죠. 웃기지 않는 소리는 이쯤하고, 2011년과 2020년에 구입한 동생PC를 제외하고 16년 만에 데스크톱 컴퓨터, 그것도 Windows 탑재 PC를 샀습니다. 2020년에 조립한 동생의 게이밍 PC(그런고로 당연히 윈도우 탑재)의 초기 불량과 이후 각종 잔고장 문제로 시달렸던데다가 가격적인 메리트가 옅어서, 업그레이드가 불리하다는 것을 알고도 그냥 완성품 PC를 구입했습니다.

구입한 PC는 HP의 OMEN by HP 45L GT22-0000kr입니다(자세한 사양은 링크를 클릭 바랍니다). Intel 12세대 Core i9-12900K 프로세서와 64GB RAM, RTX3090, 1TB SSD/2TB HDD라는 그럭저럭 괜찮은 구성요소를 갖추고 있고 CPU는 수냉 쿨러이고 여기서 나온 냉각수를 본체 케이스 외부, 본체 위에 있는 방열 챔버로 내보내기 때문에 굉장히 발열 관리를 잘하는 느낌입니다. 덕분에 (순수 본체만)무게가 22.6kg나 하지만요. 모니터와 함께 주문했는데 택배로 물건사면서 택배기사분이 같이 옮기자고 전화 연락을 받아본 물건은 이것이 처음입니다. 사실 델의 Alienware도 물망에 올랐지만 비슷한 사양을 맞추려면 HP보다 최소 100만원 이상은 추가로 들어가는데다가 중국의 생산 지연 이슈로 언제 받을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서 HP를 선택했습니다.

성능 면에서는 저로써는 전혀 불만사항이 없었습니다. 예산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분발했습니다. 그리고 몇몇 게임을 플레이 해봤는데, 예를 들면 <데스 스트랜딩 디렉터스 컷>의 경우 4K HDR 설정으로 144fps 모니터를 연결했을때 140fps 정도를 안정적으로 찍어줬습니다. 완성품 PC라 대대적인 업그레이드는 어렵겠지만 공구 없이 케이스의 모든 인클로저를 개방할 수 있고 SSD나 HDD 같은건 추가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RAM은 보드가 지원하는 한계인 64GB 까지 이미 채워져서 출고 되었습니다). SSD는 WD Black이, 그리고 HDD는 스펙시트에서는 미공표지만 웨스턴 디지털 하드가 들어가 있는데 벤치를 돌려보면 그럭저럭 속도가 나옵니다.

전면 케이스 팬과 CPU 쿨러, 그래픽 카드, 심지어는 RAM에도 RGB LED가 들어가 있어서 켜놓고 있으면 마치 ‘파티 피플’이 된 느낌이 듭니다. 케이스를 보더라도 굉장히 신경을 써서 만들어졌다고 생각이 됩니다만 USB-C 갯수가 2개(후면에만, 하나는 Gen1, 하나는 Gen 2)이고 USB-A 갯수가 조금 모자란것 같은 느낌이 없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무선랜과 블루투스는 Wi-Fi 6와 Bluetooth 5.0을 지원하지만 기가비트 이더넷이라는 점도 약간은 걸립니다.

벤치마크나 게임을 돌려봤지만 냉각은 잘 처리가 되는 편인지 커다란 굉음을 낸다거나 그런것은 없었습니다. 역시 데스크톱이구나 싶었어요.

Windows PC를 (사실상 기함급) 사면서 애플 생태계에서 그런대로 잘지내온 제가 걱정이 되었습니다만 그걸 제외한다면 나름 잘 만들어진 PC이고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한동안은 전혀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요?

도레이씨 세탁 방법에 관한 고찰

도레이씨보다 중요한건 여러분의 안경과 디바이스입니다

도레이씨 한 장 구하기가 그렇게 어렵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일본에서 직구해온 녀석을 포장에서 꺼낼 때면 뭔가 비장감이 느껴지곤 했었습니다. 다행히 2022년 5월 현재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국내에 수입되는 느낌이라서 이런 비장감은 없지… 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십개 쯤 쟁여 놓고 있습니다. 도레이씨가 아무리 비싸봐야 결국 사용하는 안경이나 디바이스에 비해 비싼건 절대로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여러개 쟁여놓고 사용감이 떨어진다 생각이 되면 아낌없이 버리고 새것을 사용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도 한두푼 하지 않으니 조금 더 오래 쓰고 싶다

그래도 역시 도레이씨라는 물건이 한장에 몇천원은 하는 물건이니 조금이라도 오래 쓰고 싶은 것은 인지상정일 것입니다. 도레이사에 메일을 보내서 문의를 해보기도 하고 개인적으로 이런 세제 저런 세제, 이런 세탁 방법 저런 방법을 시도해봤습니다. 그리고 스스로 나름 결론을 내렸기 때문에 이렇게 포스트를 남깁니다.

도레이씨를 세탁하기 좋은 세제와 세탁 방법은?

단도직입적으로 말해서 도레이씨는 손세탁을 하시되(세탁기를 써도 제품에는 이상이 없다는 대답을 받기는 했습니다만…), 세제는 주방용 세제나 울샴푸 같은 의류용 중성세제가 아니라 그냥 평범한 세제를 사용하는게 가장 좋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서 저 같은 경우에는 퍼실 딥클린 액체 세제를 사용했습니다만 아마 어떤 세제를 사용하든 크게 상관은 없을 겁니다. 적당히 깨끗한 보울 같은데 물을 받아놓고 세제를 푼 다음 빨고 깨끗하게 몇번 헹구면 될 것 같습니다.

비누/울샴푸를 권하지 않는 이유는?

간단하게 말해서, 잔여물이 남는 듯한 인상이 있어서입니다. 비누는 비누 찌꺼기, 그리고 울샴푸는 의류의 느낌을 좋게 하는 첨가물이 들어가는데 이게 닦임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게다가 둘 다 아무리 잘 헹궈도 잘 지지 않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버릴 때를 아는게 중요합니다

세탁을 하면 성능이 돌아오는게 장점인 도레이씨지만 지금까지 도레이씨를 포함해서 어떤 천을 써도 처음 썼을때 만큼 성능이 좋은걸 보지 못했고 그리고 세탁을 반복하면서 성능이 어느 정도 떨어지는 것은 막을 수가 없습니다. 그게 그나마 덜한게 도레이씨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만. 다시 말씀드리지만 도레이씨 보다 여러분 렌즈나 디바이스가 더 비싸고 중요하니 ‘아, 이건 이제 글렀다’ 싶으시면 단호하게 새걸로 갈아 쓰시는게 좋겠습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