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스토어 독점은 정말로 절대악인가?

앱스토어 독점에 관해서 말이 많아서 내 생각을 정리하고자 한다. 과연 앱스토어 독점은 절대악인가?

PocketPC 시절이 떠오른다. 플랫폼 홀더인 MS는 그야말로 자유방임으로 두었고 마켓플레이스 같은건 마련하지 않았다. 앱을 구하는 것은 개발자 사이트에서 사거나 Handango 같은 사이트에서 검색해서 사는 방법이 있었다.

개발자 홈페이지에서 사는 경험은 지금같이 페이팔이나 스트라이프 결제같은 편리한 수단이 있는 것도 아니고 체험판을 받아서 설치하고 나중에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이메일 주소부터 인적사항 카드번호 등을 전부다 입력하고 시리얼을 받는 방식이었는데 지금도 맥이나 PC에서는 여전히 있지만 페이팔이나 스트라이프 덕에 좀 나아졌다지만 앱스토어에 비하면 불편한것은 사실이다.

솔직히 말해서 2020년에 그짓을 모바일에서 하라고 하는 사람은 변태다. 그리고 다음으로 Handango 같은 거래 사이트를 거치는 방식이 있었는데 이건 굳이 언급하지 않겠다. 이런 사이트가 앱스토어하고 다른게 뭔가? 커미션(수수료)가 얼마 정도냐? 차이 아닐까? 게다가 불편하기는 훨씬 더 불편하다.

사람들은 앱스토어 한군데에서 버튼 탭 한번에 앱을 살 수 있다는 것의 장점을 벌써 잊어버린것 아닐까 싶은 것이다. 모바일 개발자들은 배포, 판매에 대한 짐을 덜어 내린 것 뿐 아니라 사이드로드가 가능한 플랫폼에서 반드시 생기는 문제, 판매측에서는 불법복제, 구매자측에서는 멀웨어의 존재에 대해 거의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됐다.

사용자는 아이폰에 설치 되는 앱이 애플이 검수를 한 안심할 수 있는 앱이라는 안심을 가질 수 있다. 애플은 프라이버시에 대해 계속 강조하고 있고 이를 차기 OS에서 더 강화할 모양이다. 한편 사이드로드를 해서 판매하는 스토어가 애플과 같거나 비슷한 수준의 프라이버시 정책을 가지고 있을지 알 수 없다.

우선 개발자 입장에서 일부 사용자가 시도하는 ‘탈옥’을 통해서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 사이드로드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적판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는데 애플이 부지런히 탈옥에 여지가 되는 구멍을 막아오고 있기 때문에 개발자 입장에서 PPC나 안드로이드 초기 시절 같이 불법복제에 골을 썩지 않아도 되는 측면이 있다. 안드로이드에서 광고나 인앱 결제로 BM을 바꾼 계기가 불법복제가 시작이지 않았는가? 아이폰도 사실 최근에는 많은 앱들이 인앱 구매와 구독으로 돌아서고 있는데 근데 구독에 대해서 애플이 수수료를 일부 인하한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은 듯하다. (첫해 개발사 대 애플이 각 7:3, 이듬해부터 8.5:1.5)

에픽에서 콘솔과 모바일의 방향성이 다른 이유로 콘솔 개발업체들은 콘솔 적자를 소프트웨어로 보전한다는 점을 들었는데 앱스토어의 경우 무료앱, 광고로만 돌아가는 앱, 실물 거래를 하는 앱, ‘읽기 앱’, 크로스플랫폼 앱 등에는 일체의 비용을 청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플랫폼에서 매출을 일으킨 사람에게만 비용을 전가한다는 점이다. 그렇다면 앱스토어가 큐레이션과 소비자에게서 직접 비용을 받지 않는 앱을 호스팅하는 비용은 그러면 어디에서 받을까? 여기서 생긴 적자를 유료 거래로 보전한다는 측면에 관해서는 에픽은 설명하고 있지 않다.

게다가 사이드로드로 빠져나가서 어느 정도 이윤을 남길 수 있는 회사는 솔직히 어느정도 규모를 가지고 있는 회사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고 본다. 이 커다란 난리통에서 가장 열렬한 지지를 보내는게 스포티파이나 페이스북이라는 점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이 사달을 일으킨 에픽의 경우 갤럭시 스토어 등에는 삼성 독점으로 구글 플레이보다 먼저 입점해서 서비스를 실시한 바가 있고 MS는 갤럭시 스토어 독점 앱을 약속한 상태인데 이들의 공통점은 자사의 IP나 앱을 무기로 협상을 할만한 ‘힘’이 있는 회사라는 것이고 애플에 비해서 상대적인 크기로 비교하면 몰라도 절대적으로 약자는 아니다. 진짜 약자는 인디 개발자나 개인 개발자들을 말하는거지 에픽 정도로 멀쩡하게 자사의 플랫폼을 가질 정도의 회사는 적어도 아니다.

앱스토어의 심사 하면 말도 자의적인 규정으로 거절을 내리는 것만 생각하지만 시끄러운 일이 났을때 도드라지는 것이지 앱스토어에 있는 전체 앱과 전체 업데이트, 전체 거래를 볼때 과연 얼마의 비율로 애플에게 ‘갑질’을 당할까. 애플에 따르면 일주일간 10만개의 앱이 심사되고 60%가량이 승인되고 40%가 거절되나 가장 빈번한 사유가 버그, 그리고 개인정보 침해라는 주장이다.

앱스토어의 심사는 최신 기종이나 OS에 맞춰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앱(특히 해상도의 변화나 API의 변화)에 대한 최소한의 채찍질을 해왔다. 애플 기기에 최적화된 앱은 애플이 관리를 해왔기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다. 서드파티 스토어가 얼마나 애플만큼 이를 관리할 수 있을까? 관리할 의지는 있을까? 옛 기기, 옛 OS를 위한 버전을 남겨두어 보안상의 헛점을 노출하지는 않을까? 최신 API나 기술을 서드파티 스토어가 제대로 요구할 것인가?

아이폰 출시 한 이듬해부터 시작한 앱스토어는 지금까지 개발자에게 1200억 달러의 가치를 낳았다. 출범 전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았던 시장이었다. 그리고 지금은 만악의 근원이라고 불리는 폐쇄성 내지는 독점성 때문에 해적판의 걱정과 멀웨어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아도 되는 안전한 플랫폼을 이룩했다.

착한 독점이라고까지 하지는 않겠지만 과연 앱스토어 독점이 모두한테서 욕을 먹을 정도로 나쁜 것일까? 수수료 재검토라던가 하는 논의가 시작되는 것은 반갑지만 앱스토어가 만악의 근원 비슷하게 매도되는 것은 안타까운 노릇이다.

정보 약자 착취 비즈니스와 ISP

정보 약자 착취 비즈니스

일본 인터넷 약어 내지는 은어중에 ‘情弱’이라는 말이 있다. 정보 약자의 준말인데 일본어 위키 백과에 따르면 뜻은 흔히 말하는 디지털 격차(디지털 디바이드)에서 뒤떨어진 사람을 뜻하기도 하고, “각종 정보에 어두워 제대로 처신하지 못하는 사람을 야유하며 사용하는 말”이기도 하다. 하나의 멸칭이라고 할 수 있는데 ‘정약 비즈니스’라는 파생어가 있다. 이걸 풀어 말하자면 ‘정보 약자 (착취)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격차에서 뒤떨어진 사람, 내지는 정보에 어두운 사람을 착취해서 바가지를 씌우는 사업을 일컫는다.

ISP의 대동강 물 장사

이미 여러차례에 걸쳐서 우리나라 ISP들의 악행에 대해 얘기를 했는데, 최근 우리나라 ISP의 공적(共敵)이라고 할 수 있는 OTT 업체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가. OTT 업체들 중 넷플릭스를 제외하면 사실상 ISP에 망 사용료를 내고 있는데, 이들은 결국 자사 가입자들에게서도 돈을 받고 컨텐츠 업자들에게도 돈을 받는 그야 말로 대동강 물 팔아 먹는 듯한 장사를 하고 있다. 나는 왜 이렇게 악랄한 장사를 하는 걸까 생각을 해봤다. 그리고 든 생각은 자신들의 장사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었다.

OTT 업체는 ISP ‘정약 비즈니스’의 최대 방해꾼

젊은 분 중에서 IT에 조금이라도 밝은 분 중에서 IPTV를 가입해서 본 사람이 있다면 VOD의 가격에 일단 놀라게 될 것이다. 그리고 최소 만원이 넘는 기본료를 지불하고 볼 수 있는 무료 컨텐츠가 거의 없다는 것도 알게 될 것이고, 요즘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 각종 정액제가 얼마나 말이 안되는 가격인지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광고는 얼마나 많으며… 그뿐 아니다. 그나마 유료로 판매하는 컨텐츠도 가격이 말이 안되기는 매한가지다.

OTT 서비스로 가면, 티빙을 한달에 몇천원만 내면 CJ, JTBC 및 몇개 종편을 그리고 wavve에 몇천원을 내면 지상파 3사와 몇몇 종편 등등, 넷플릭스와 왓챠에서 수많은 신작 영화와 시리즈들… 두번 말하면 바보일 정도로 싼 가격에 볼 수가 있다. 예전에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에서만 볼 수 있었지만 요즘 나오는 텔레비전은 거의다 이런 OTT 서비스를 볼 수 있고, 그런 기능이 생략된 텔레비전이라하더라도 크롬캐스트 같은 동글 하나만 달면 해결이다. 이걸 ISP의 IPTV에서 리모컨 하나로 보는 댓가는 몇만원에 달하는 정액 요금과 틀때마다 나오는 광고다(IPTV 광고 매출은 지상파를 넘어섰고, 이런 광고에 대해 불만도 많다). 젊은 층 중에서는 따라서 이런 서비스로 대거 몰려나가며 IPTV를 해지하는 일종의 코드커팅(엄밀히 말하면 좀 다른 의미라고 보지만)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 밝지 않은 속된말로 ‘정보 약자’ 들이 남아서 ISP들의 IPTV의 매출을 떠받들어 주고 있다. 이 정보 약자 비즈니스가 지상파를 넘어서는 거대 사업이 되었다. 그러니 ISP 입장에서 OTT 업체들이 얼마나 눈엣가시겠는가? 그러니 OTT 업체들한테 ‘우리 망에 얹혀서 장사한다’라는 억지를 씌워 돈을 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드는것도 아주 이해가 안되는건 아니다. 어디까지나 ISP 입장에서는.

언제까지 국민 고혈을 쥐어짜는 장사를 하실 셈인지?

이날 박경신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공개한 시장조사기관 텔레지오그래피 자료(2017년 2분기 기준)를 보면 서울 사용자는 1Mbps(초당 메가비트)당 망 사용료를 3.77달러를 낸다. 파리 사용자가 내는 요금의 8.3배, 런던의 6.2배, 뉴욕의 4.8배다. 박 교수는 “미국 통신사업자인 AT&T의 기업전용회선이 100Mbps당 월 1195달러로 130만원 수준이다. 반면 KT는 1Mbps당 월 85만원, SK브로드밴드는 10Mbps당 363만원을 받는다”고 지적했다. 국내 통신사의 기업전용회선 요금이 미국보다 30배~65배 비싸다는 거다. 

한국판 넷플릭스 ‘왓챠’, “망이용료 때문에 4K도, VR도 그림의 떡” (중앙일보)

당연한 말이지만 이런 망사용료는 결국 사용자에게 부담이 된다. 왓챠의 4K 포함 요금제는 결국 1080p 요금제 보다 비싸고, 티빙이나 웨이브도 720p 요금제보다 1080p 요금제가 더 비싸다. 마치 중세 영주가 세금 거두듯한 ISP들의 가렴주구 같은 망 사용료 정책과 이를 거들어주는 정부는 반성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쓰는 WH-1000XM3 리뷰/사용기

소니가 8월 7일에 아마도 WH-1000XM4로 예상되는 무언가를 발표를 한다는 티징을 올려놓았습니다. 이미 2월 달에 샀고 트위터에도 감상을 올렸지만 블로그에는 감상을 한 글자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아, 이거 지금이라도 올리지 않으면 안되겠구나’ 싶어서 서둘러서 글을 써봅니다.

20여년만에 굳힌 명실상부한 노캔의 왕

소니도 노이즈 캔슬링을 연구해왔고 제품을 꾸준히 내왔으며 기술을 선보여왔지만 그간 항상 보즈에 가려져 있는 면이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1000X 시리즈는 소니가 드디어 보즈를 앞설 수 있다는 것을 슬며시 나타냈고 3세대째인 1000XM3에 와서는 더 이상 소니가 보즈의 뒤를 쫓는다는 말을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 제품의 2세대인 WH-1000XM2를 가지고 있었고, 지난 2월에 좀 뒤늦게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보즈 NC700과 비교를 해서 ‘현 세대 노이즈 캔슬링의 왕은 어느 정도인가?’가 궁금해서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차근차근 개량되고 리파인 된 제품으로 완성도는 높다. 그러나 이제 뭔가 바뀌어야…

1000XM3는 1000XM2를 쓴 입장에서 볼 때 헤드 밴드를 개량해서 훨씬 가늘어졌고 가벼워졌으며, 착용시에 ‘존재감’을 덜 과시하도록 바뀌었습니다. 일단 이 점만으로도 상당한 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노이즈 캔슬링 작동시 화이트 노이즈가 줄어든 반면, 노이즈 캔슬링은 나아졌다(나아 진 것 같다). 라고 평가 할 수 있겠습니다. 소니에서는 이 제품을 위해서 QN1이라는 프로세서를 개발했다고 하면서 전작보다 4배 이상 처리가 빨라졌다고 하는데, 사실 노캔이 얼마나 빠르게 정확하게 되느냐를 일반인이 파악하기는 쉽지 않지만 한가지 확실히 처리가 빨라졌다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퀵 어텐션 모드’의 동작 속도가 확실히 빨라졌습니다. 전작의 경우 ‘퀵’이라고 하기에는 민망할정도로 래그가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래도 참아줄 만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좀 더 빨라졌으면 좋겠고, 대화를 할 때 계속 손을 치켜들고 있는 것도 슬슬 참신성도 떨어지고 불편합니다(게다가 1000XM2에서는 두세손가락만 가려도 작동이 되던게 이제는 완전히 가리지 않으면 안되도록 되었기 때문에 더욱 불편하네요). 그외에도 측압이 좀 더 가벼워진 점이라던가 한국어 음성 지원이라던가, 그리고 이건 누가 신경이나 쓸까 싶지만 1000XM2까지만 해도 케이스에 항공기 어댑터만 놓을 자리가 있었는데 본체가 가늘어짐에 따라 생긴 여유공간에 유선케이블과 충전 케이블을 넣을 수 있는 공간이 생겼습니다. 제공이 되었으나 어디에 넣어서 휴대해야하나, (아예) 휴대 자체를 해야하나 망설이게 하던 부분인지라 매우 반가운 변화입니다. 뭐 이런 저런 개량이 있으나 확실히 말해서 2016년부터 주욱 변화가 커다란 디자인의 변화가 없고(물론 그 만큼 초대 MDR-1000X가 디자인적인 완성도는 좋았습니다) 1000X 시절부터 문제였던 헤드폰 프로파일의 멀티포인트 미지원 같은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솔직히 보즈의 제품이 너무 똑똑해서 오동작으로 골치를 썩고 있는걸 보고 있습니다만, 소니 제품은 안정성으로 따지면 바위같이 안정적이라 역시 일본 회사 제품이군, 싶을 정도인데 그만큼 또 어떤 의미에서 무식하기 때문에(멀티포인트를 지원하지 않는다거나 배터리 잔량이 10% 단위로만 표시된다거나) 이게 마냥 반갑지도 않은것이 사실입니다. 또, 업데이트를 하려면 PC와 연결해서 유선으로도 가능한 보즈 제품과 달리 반드시 앱(과 휴대전화 그리고 헤드폰)을 켜놓고 기십분을 기다려야 하는데 이것도 꽤나 성가신 점이라 하겠습니다. 요약하면, 이제 완성도는 충분하니 슬슬 큼지막한 변화를 가져올 때가 되었다는 건데 아쉽게도 유출된 WH-1000XM4의 정보를 보면 멀티포인트는 드디어 지원할 듯 싶은데 디자인이나 스펙이 옆그레이드란 말이죠. 완전히 새롭게 디자인된 NC700을 보면서 2년이나 기다리게 했으면 이 정도로는 안되지? 싶은 것입니다. 실제 제품이 어떻게 될지 기대되는 바입니다.

음질에 관하여

음질은 1000XM2 시절부터 불만이 없습니다. 소니라고 하면 저음도 고음도 착실히 울려주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내추럴하냐 라고 하면 좀 글쎄요, 같지만(제 헤드폰 벤치마크 기준점은 ER-4 입니다) 그래도 들어서 즐거운 음색입니다. 특히 볼륨이 상당히 충분히 확보되어서 50~60%만 해도 덩실덩실 할 정도가 되죠. 1000XM2때도 올렸지만 하이레조(Hi-Res, HRA) 음원도 유무선을 통해서 들어봤지만 🤔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그때와 차이라면 거의 모든 안드로이드 폰이 LDAC을 이제는 정식으로 지원한다는 것인데요. 절묘하게 1000XM3의 사양에 맞춰서 ‘Hi-Res Wireless’ 인증과 로고도 생겼고 자연스럽게 1000XM3는 그 인증을 통과하고 로고도 받았지만… 역시나. 🤔 입니다.

한마디로 장점과 단점을 알려주세요

장점 : 안정적인 블루투스 접속, 다양한 접속 코덱, 4년전 모델부터 쌓아온 안정적인 기능, 더 좋아진 노캔, 조용해진 화이트 노이즈, 음질, 빨라진 퀵 어텐션 모드와 노이즈 캔슬링 모드 전환.

단점: 한대만 접속가능한 헤드폰 프로파일, 무식하고 단순한 기능. 여전히 보즈에는 따라올 수 없는 화이트 노이즈와 노캔 특유의 압박감, 쓸모없는 적응형 노이즈 캔슬링 제어라던가, 슬슬 질리는 디자인, 구글 어시스턴트를 지원할 거면 버튼하나 만들라고! 그리고 배터리 최대 30시간은 과대 광고라니깐!(기본 설정대로라면 절대로 30시간을 채울 수 없음)

https://helpguide.sony.net/mdr/wh1000xm3/v1/ko/contents/TP0001703963.html

NC700과 망설여져요. 뭘 살까요?

솔직히 말해서 NC700도 신제품이 나올 것 같은 분위기고(1.5.1 펌웨어 업데이트 릴리스 노트에 신기종에 대한 암시가 나옴), 1000XM4도 이제 언제 나와도 이상하지는 않을 분위기지만…(8/3일 추가: 소니가 8월7일 신기종 발표를 예고했습니다) 지금 현재 1000XM3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을 생각하면 1000XM3의 멍텅구리스러운 기능이 크게 불편하지 않거나, 헤드폰을 쓰고 전화통화나 화상회의 같은걸 많이 안하거나 결정적으로 보즈가 더 좋은게 아니라면 (앞으로 가격이 더 떨어질) 1000XM3라고 생각합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