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이 있는 삶과 아이패드

모 정치인이 했던 프레이즈가 생각난다. '저녁이 있는 삶'. 당연하지만 낭만적이고, 또 그만큼 멀어보이는 참 안타까운 현실의 목표. '태블릿의 효용성' '태블릿의 생산성'이 화제에 오를때 마다 나는 적극적으로 지지를 해왔는데 그것은 아마 내가 요양을 하고 있기 때문 일지도 모른다. 그 말인즉, 쉬면서 블로그나 하기 때문이지 본격적인 업무를 한다면 얘기는 다를지 모른다는 얘기다. 실제로 나는 아이폰(iPhone)으로도 블로그를 할 수 있다1.

돌이켜 생각해보자 내가 아이패드(iPad)를 사용하는 장소는 어디인가. 단연 침대와 소파이다. 나는 그래서 심지어는 아이패드를 파는 곳에는 소파를 놓아야 한다고 주장한적도 있다.

지금 자료를 찾기 힘들지만 미국인들이 아이패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시간대가 저녁시간대와 잠들기 전의 시간대라는 통계를 본적이 있다. 한편으로 아이패드를 텔레비전 시청과 함께 사용하는 사용자의 비율 또한 매우 높다는 닐슨의 조사도 눈여겨 볼 만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퇴근이 늦다. 한마디로 저녁이 없다. 미국사람들처럼 일찌감치 와서 태블릿으로 저녁시간에 걸터앉아 뭔가를 읽거나 볼 여유가 없는 것이다. 늦게 돌아와서 지친 몸을 끌고와서 잠시 편안하게 볼 것이라면 텔레비전도 있고 컴퓨터를 써도 되고 간단하게 살펴보는 정도라면 스마트폰을 살짝 살펴보는 정도면 된다. 어차피 태블릿에 특화된 정보는 그다지 많지도 않고 있다 하더라도 볼 시간이나 수고가 부담스럽다.

여기서 우리는 왜 대형 화면을 가진 안드로이드 휴대폰이 우리나라에서 선호되는 까닭을 알 수 있다. 간단하게 볼 수 있는 컨텐츠를 태블릿보다는 부담없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여기에 우리는 치명적인 문제를 하나 더 가지고 있다. 태블릿이 이런저런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역시 읽기에 최적화된 기기인데 한국의 독서량은 감소 추세고 휴대폰으로 보는 것은 간단한 뉴스나 웹툰, 동영상, SNS와 메신저이다. 굳이 무거운 태블릿이 필요 없다. 우리가 언제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는지 생각해보면 답은 자연스럽게 도출된다. 그렇다. 통근/통학 전철이나 외출처이다. 거기서 무식하게 10" 아이패드나 비교적 작아졌다 하더라도 아이패드 미니를 꺼내겠는가? 그건 부담스럽다. 게다가 휴대하는 번거로움도 있고 테더링을 하거나 따로 셀룰러 계약을 하는 비용이나 수고가 필요하다. 단순히 즐길 것이라면 휴대폰 하나면 충분하다.

만약 집에서 뭔가 더 알아보고 싶다면? PC를 켜면 된다. 태블릿은 PC와도 경쟁을 해야한다.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힘겨운 싸움이다.

이런 연유로 저녁이 없는 삶이 태블릿을 사치재 내지는 매니아의 전유물로 만들었다. 물론 저녁에 여유가 생긴다고해서 모두가 아이패드를 사는건 아니겠지만 누군가는 플레이스테이션을, 누군가는 바베큐 플레이트를 누군가는 레고나 오디오를 그리고 또 누군가는 아이패드를 사도 이상할 것은 없는 것이다. 일단 시간이 필요하다.


  1. 이 글 또한 아이폰으로 쓰여졌다.  

안드로이드 천하의 한국에 구글이 준것과 가져간것

안방에서 힘을 잃는 IT 코리아라는 기사를 읽었다. 요는 간단하게 말해서 사실상 구글 등 해외 기업에게 간단하게 한국 포털들이 뒤쳐지고 있다는 것이다. 좀 더 깊게 파고 들어가면 좋겠지만. 가령 알리바바의 경우 우리나라의 공인인증서나 텐센트의 경우 카카오톡이나 게임 투자 같은. 어찌됐던 구글의 검색이나 유튜브의 대두로 터줏대감 1위이던 판도라TV의 경우 4%대로 주저앉아버렸다.

여기에는 간단한 이유가 있다. 구글이 우리나라 휴대폰의 93%를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구글은 모든 구글 인증 휴대폰에게 구글 서비스를 우대하도록 요구했음이 드러났다. 결과 우리나라는 사실상 구글 공화국이 되어버렸다. MS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프리인스톨하면서 넷스케이프를 비롯한 경쟁 브라우저를 깔아뭉개고 나서 크롬이나 모질라 파이어폭스 등 ‘쓸만한 대용품’들이 나오기 전까지 거의 태평천하를 누렸던것을 감안해보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그냥 문을 활짝 열어서 구글에게 열어준 격일 것이다. 구글에게 있어서 한국의 대우도 그에 걸맞게 올라갔다. 단적으로 프라임 타임에 지상파에서 구글의 서비스 CF을 종종 볼 수 있고 말이다. 난 상상도 하지 못했다. 검색의 상당수를 장악하고 있는(야후! 저팬까지 하면 거의 독과점 수준이다) 일본에서나 할 줄 알았건만.

아이폰을 주로 쓰는 입장에서(넥서스S 이후로 거의 매년 한대꼴로 서브폰으로 안드로이드 기기를 교체하고 있으며 꽤 많은 앱을 쓰고 있다) 솔직히 자업자득이라는 생각이 든다. 안드로이드에서는 물론 앱을 깔면 구글의 검색 대신에 네이버의 검색과 네이버 브라우저를 쓸 수 있지만(다음도 마찬가지고) 페이스북 대신에 카카오스토리를 쓸수도 있지만 유튜브에 올라온 동영상을 보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유튜브 앱을 열거나 웹사이트를 들어가야 하고 네이버 앱이던 뭔앱이던 간에 구글 어카운트를 만들어서 구글 플레이와 구글 플러스의 일원이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잘 모르는 사람은 그냥 구글 검색창에 입력해서 나오는 결과에 만족하는 사람도 의외로 많다. 그거 아는가? 요 1-2년 들어 구글 코리아의 검색 결과, 특히 모바일 검색결과, 꽤나 정교해졌다. 가령 내가 보던 케이블 애니메이션 채널 이름을 치면 그냥 무식하게 사이트만 나오던게 이젠 편성표가 나온다. 감독 이름을 치면 감독의 프로필과 작품도 나오고. 사람들을 ‘잡아두려는’ 의도인 것이다.

안드로이드 전화기는 오늘도 팔릴 것이고 그 전화기는 충실하게 구글의 게이트웨이 드러그가 되어 줄 것이다. 마치 애플의 아이팟 터치나 아이폰이 애플교의 입문서가 되듯이 😉 그리고 마찬가지로 더 많은 돈을 구글에게 벌어다 줄 것이다.

휴대전화 민주주의

터키에서 비서관이 시민을 걷어찼다. 그것은 동영상을 탔고 공분을 일으켰다. 멀리가지 말자, 세월호 사태에서 생존자와 수습된 시신에서 발견된 동영상은 우리에게 사태의 일분 일각의 블랙박스를 제시해 준다. 우리의 무력함과 선원들의 무책임함과 당국의 무능함을 뼈저리게 보여준다. 유튜브와 텔레비전으로 볼 수 있는 그 동영상을, 유튜브로는 차마 보지도 못하겠고, 텔레비전(JTBC NEWS 9에서 가장 자주 보여주는데)에서 보여주는데 잠시 직시하기 싫어진다.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듯한 생생한 기록. 사실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대규모 재해에서 이렇게 생생하게 기록이 남아 있었던 적은 없었을 것이다. 동영상의 선원의 지시와 동영상의 시각(타임코드)과 선원들의 행동과 배의 상황은 사건의 진상과 선원들의 과실을 밝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백마디 말이 필요없다. 그 동영상들과 그 시각에 도망치는 선원들은 빼도 박도 못하는 증거가 될 것이다.

우리는 이제 사건이 발생하면 휴대전화를 꺼내서 사진을 찍고 동영상을 찍는다. 단순한 사건 사고가 될 수도 있고 그것이 세월호 같은 사건일 수도 있고 정권을 뒤집을 사건일 수도 있다. 이미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아랍의 봄에서 증명된 민주주의의 도구이며, 2011년에 일어난 런던의 시위에서는 블랙베리가 주요한 역할을 했다, 그래서 일명 ‘블랙베리 시위’라고도 할 정도이다.(지금 런던에 사는 친구 말로는 이젠 왓츠앱을 더 많이 쓴다고 하더라). 턱하고 치니 억하고 죽었다. 말도 안되는 발표 하나에 전 국민이 일어났던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처럼 어떤 사소한 동영상 하나, 사진 하나가 무슨 불씨를 일으킬지 모르는 것이다.

백열전구

트위터에 한 트윗 하나가 어마어마하게 인기를 끌어서 그냥 조금 살을 붙이기 위해 글을 쓴다.

플로피 디스크 모양이 왜 저장인지 모르는 아이들이 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2014년 1월부터 우리나라는 150W 이하 1 백열 전구의 수입, 제조, 판매가 금지되었으며, 미국에서도 40W/60W 백열 전구에 비슷한 조치를 취하였다. 사실 우리집에선 몇년 전부터 화장실을 포함하여 백열 전구를 사용하지 않고 모두 백열전구를 오스람 전구식 압축형광등(CFL)로 교체해 사용하고 있다. 10년전에 집에 입주 했을때 장착된 거의 사용하지 않는 할로겐 등과 현관에 적외선으로 작동하는 등을 제외하면 모두 형광등이다. 좋은 형광등은 집에서 사진찍을때 색도 일정하고 오래가며 절전 효과도 우수하다. 많은 집에서도 우리집과 마찬가지로 절전 효과를 생각하여 전구식 형광등으로 교체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드는 생각은 하나이다. 백열전구가 완전히 절멸한 몇 년뒤에는 과연 아이들은 만화나 CF 등에서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 흔히 사용되는 클리셰인 백열 전구가 머리 위에서 켜지는 장면을 두고 어떻게 생각할까? 마치 지금 플로피 디스크 저장 아이콘에 의문을 품듯이 ‘이상한 유리등이 머리위에 켜지는 것’ 이라고 갸웃거리며 생각할까?

화장실에서 치아나 얼굴의 티를 발견하기 쉽다는 이유로 주광색 CFL을 사용했는데 백열전구를 사용할 걸 그랬나. 하는 후회가 든다. 이제사.

참고로 이런 의견이 있었다.


  1. 가정용으로 사용하는 거의 모든 백열전구는 100W 미만이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