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iPod(아이팟)을 꺼내보다

낡은 iPod(아이팟) 5세대를 꺼내보았다. 방전이 되어 충전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새 곡을 채워넣고 곡을 듣기 시작했다. 조작계통이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조금 착오가 있었지만 금방 다시 익숙해졌다. 왜 애플이 찬사를 듣는지 알 것 같았다.

나는 운동을 할 때나 시간을 때울 때나 아이팟을 사용했다. 그런데 한가지 불만이 있었다. 전화가 올 때, 음악의 소리 때문에 전화를 들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부재 중 전화의 상대에게 “아, 미안해요, 음악을 듣고 있었어요.”가 내 버릇이었다. 심지어 택배의 문을 두드리다가 전화까지 한 배달원에게 마저 그래서 물건을 받지 못한 적이 있다. 그래서 나는 순전히 그것 때문에 아이팟을 겸한 휴대폰인 iPhone(아이폰)의 등장을 매우 기다렸었다.

아이팟을 다시 사용하고 나는 잠시 밀폐형 이어폰, ER-4가 주는 음악과 나만의 정적과 같은 조용한 공간에서의 교류와 함께 약간의 불안함에 빠진다. ‘전화가 오면 어떻하지?’라는 생각. 아이팟은 아무런 경고가 없다. 푸시도 알림 메시지도 없고 전화벨도 울리지 않는다. 물론 초인종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 단지 묵묵하게 플레이리스트 끝까지 음악을 재생할 뿐. 음악 플레이어의 본분을 다할 뿐이다.

어느새 나는 소파에 누워 눈을 감고 베개에 머리를 파묻고 눈을 감는다. 초인종이 울리면 어떠랴, 전화는 나중에 변명하면 된다. 라고 생각하니 마음이 편해진다. 음악과 나는 나는 아이폰이 생긴다면 편리할 것 같았는데 어쩌면 여유를 잃어버리게 만든 원흉이 아닐까, 음악을 들으며 앱을 만지고 웹을 검색하고 푸시메시지의 벨이 음악을 끊고. 전화가 음악을 도중에 끊고…

확실히 아이팟 5세대는 구형이다. 곡을 한 두곡 스킵하다보면 하드가 돌아가서 읽어야 한다. 배터리도 플래시드라이브를 쓴 기종에 비하면 턱없이 짧다. 근데 왜일까? 오로지 음악을 위한, 아이팟 클래식이 오늘 따라 끌린다. 그건 잃어버린 여유에 대한 반작용 때문일까?

아이폰은 경착륙했다?

“안드로이드용으로 버전 4는 나왔는데 아이폰용 버전 4는 언제 나올 수 있을지 알 수 있겠습니까?”
“죄송합니다. 현재로써는 계획이 없습니다.”
어제 한 중견 전자사전 소프트웨어 개발사에 전화를 한 내용이다. 이 회사는 일찍이 아이폰용 영한과 영영사전 버전 4에 이어 안드로이드용 제품도 차근차근 내놓은 뒤, 지난달 안드로이드용 일한 사전의 버전 4를 내놓았는데 문제는 정작 아이폰의 일한사전 버전 4를 내놓을 계획이 없다고 천명한 것이다. 버전 3은 아이폰 5의 화면 조차 지원하지 않았다. 나는 이 회사의 영한과 영영사전을 좋아했기 때문에(게다가 안드로이드 버전 일한사전도 꽤 잘 만들어진 축에 들어갔다), 매우 실망했다. 최근 국내 개발자들이 안드로이드에 편중되고 있다는 사실에 실망하고 있던 차였다.

내 자랑같지만 몇년 전에는 꽤 날카로운 시각을 가지고 있었던 것 같다. 최근에 쉬면서 상당히 무뎌진 것 같아 매우 아쉽다. 2009년에 썼던 글을 하나 가져와보고자 한다.

iPhone이 경착륙 할 수밖에 없는 까닭은 이라는 글은 내가 아이폰이 나오기 전에 썼던 글로 아이폰이 한국에 나왔을 때 한국에서 성공을 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적인 요건, 즉 ‘앱’과 ‘모바일 웹’이라는 인프라스트럭쳐가 갖춰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다행히 아이폰은 ‘쇼크’를 가져왔고 둘 다 폭발적인 증가를 가져왔는데, 안드로이드로 인해 한국에 한해서는 일장춘몽, 잠시간의 증가를 가져왔다. 여기에서 본문을 인용하고자 한다.

아이튠스 한국 스토어의 문제이다. 일단 음악을 팔지 않아서 반쪽짜리 스토어이다. 그리고 게임도 한국 실정법(등급분류심위)때문에 구할 수 없다(미국 계정과 크레딧 카드/선불카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는 비교적 소수가 하는 방법이다). 멀티라이터 김정남 님이 말씀하시듯이 아이폰은 최근 떠오르는 중요한 게임 플랫폼이다. 해외에 iTunes Store에 올라오는 애플리케이션의 상당수가, 또 우리나라에서 개발해서 해외에 히트한 어플리케이션도 게임이다. 그리고 기존 휴대폰과 가장 쉽게 차별화 할 수 있는것 또한 게임이다. 애플 아이팟 터치 소개 페이지의 초기화면은 게임이 장식하고 있다. 이게 안되는건 큰 문제이다.
 또, 현재로써는 한국 스토어에서 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도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 현상이다.  (중략)
둘째로, 소프트웨어의 문제이다. 아이폰이 일본에서 정착하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한것은 트렌드 탓도 있지만 역시 소프트웨어가 어느정도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다이지린(일본어사전)을 비롯하여 자국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그 일례를 Apple 아이폰 일본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 과연 우리나라에서 아이폰을 팔때 ‘예를 들면 이런 애플리케이션이 있습니다”라고 소개할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일까? (중략) 

나 자신도 사실 해외 어플리케이션을 많이 쓰지만 그건 역시 약간 하드코어한 수준이라 그렇고, 대중적인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역시 자국실정에 맞는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아이폰의 연착륙의 필수조건이라고 본다.
왜냐면 이미 한국 실정에 맞는 모바일 소프트웨어가 WIPI 등 기존 휴대폰에는 구축되어 있기 때문이다. 아직 정착 되지 않은 T스토어나 쇼 스토어가 어느정도 정착되게 되면 국내 실정에 맞는 소프트웨어가 마련되지 않는 아이폰은 경쟁력이 심각하게 타격을 입을 것으로 생각된다.(당시에는 안드로이드라는 것은 존재하지도 않았다. ;주)  (중략)
문제는 개발환경이 MacOS X용 Xcode라는 것이다. 즉, 국내에서 절대 다수가 사용하고 있는 PC 기반의 개발환경이 아니라, 개발을 위해서는 첫째로 맥을 사용하거나 둘째로 개발을 위해 맥을 살 사람이 필요하다. 이찬진 님의 드림위즈를 비롯하여 여러 회사가 아이팟 터치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있는데, 회사라면 사용하던 맥을 개발에 이용하는 등 부담이 좀 덜할지도 모르지만, 맥이 없는 회사나 개인 사용자들은 적게는 85만원(맥미니)~180만원(아이맥 기준)하는 맥을 한대 더 사야하는 문제가 생긴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아이폰 OS용 소프트웨어는 대체로 포털 등 대형 업체거나, 맥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개발 한 경우가 많다. (중략)
맥을 들여놓는 것 외에도 개발 환경이 완전히 다르다. 얼마나 많은 개인과 회사가 이를 감수하고 아이폰용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할 것인가라는 것 또한 의문이다. (중략) 즉, 아이폰의 성패는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나 받쳐 주느냐인데, 문제는 아이폰이 시판되어서 어느정도 팔려서 어느정도 규모의 시장을 만들지 않는 이상 이상의 개발상의 허들로 인해 많은 회사나 개인이 창의적인 앱을 개발할 동기를 느끼지 못할 수 있으며, 그렇게 되면 아이폰은 더 안팔리고, 그러면 개발 자체가 더 더뎌지는 무한루프에 가까운 악순환에 빠져버릴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내용은 아이폰 출시 전에 기존 플랫폼의 아성을 뚫고 아이폰의 성공을 염두에 두고 말한 것이지만 어떻게 된 것이 아이폰과 안드로이드를 두고 말한 얘기가 되어 버린 것 같다. 최근 애플이 여러가지 면에서 구글과 경쟁에 들어갔는지 앱스토어의 큐레이션에 힘을 넣고 있지만(우리말 앱을 발굴한다거나)… 여러모로 노력을 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이걸 보면 지금 어찌보면 아이폰은 경착륙했다? 라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한국에서는.
나도 노력을 많이 해야지. 감을 잃지 않도록

정보 과잉 시대를 살다.

한동안 트위터를 끊었다. 블로그도 관두었다. 주치의와 상의를 한 끝에 내린 결정이었다. “끊어야 겠어요.” 라고 하고 “그거 나쁘지 않네요, 쉬는 것도 좋지요.”라고 하고 그냥 그걸로 그냥 보시다 시피였다. 나는 헤비유저였다. 창을 여러개 띄워놓고 여가시간이 있으면 아이패드나 아이폰으로 타임라인을 빠짐없이 훑고 리스트를 살펴보기도 하고… 답변을 달기도 하고 그랬었다. 그 생활을 끊는 것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처음에는 마치 텔레비전을 끊는 것 같았다. 저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 것인가? 라는 것이 궁금해서 미칠 것만 같았다. 나만 소외되는 것 같았고 나 없이 뭔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이 견딜 수 없이 힘들었다. 헌데 생각해보면 정말 셀 수 없는 정보가 흘러 넘쳐서 머릿속으로 흘러들어오고 수많은 사람들이 떠들고, 그 중에는 가치 있는 정보, 가치 없는 정도가 섞여서 잡탕을 이루고 있다. 나는 링크를 열어서 훑어보고 시간을 보낸다. 웃어 넘길 수 있는 정보, 진지한 정보, 싫은 정보, 좋아하는 정보, 가치있는 정보, 쓰레기 같은 정보… 정보의 포화를 넘어 과잉 상태이다. 어쩌면 나는 정보의 과잉으로 인해서 병이 났는지도 모르겠다.

트위터를 끊고 나서 좀 지나고 나서 몸은 한결 나아졌다. 좀 꾀를 부렸다. 페이스북을 매달리기 시작했던 것이다. 주변 친구들과 예전 지인들로 이뤄졌기 때문에 한가하기 짝이 없다. 어쩌면 이 정도가 딱인지도 모른다. 정보의 통제가 필요한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당신에게 필요한 정보의 한계는 어느 정도인가? 정보가 당신을 삼키고 있는 것은 아닌가?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