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나라 언론은 출처를 거론하지 않는가?

가끔 하는 우스개 소리가 있다. 신문기사의 ‘관계자’는 기사를 쓴 기자의 페르소나일 것이다. 라는 말이다. 얼마나 우리나라 언론이 인용에 대한 원칙이 없고 신용을 잃었는지 보여주는 예일 것이다. 나는 이런 생각이 든다. 우리나라의 언론에서는 몇몇 인터넷 기반의 신진 언론이나 블로그를 제외하고는 기사의 근거가 되는 발언을 한 사람이 누구인지 내지는 그 출처, 입수 경로를 밝히지 않는 편이다.  앞서 말했듯이 해외 언론이 익명성을 필요로 하는 특정한 사안이 아닌 경우 “어디의 누구는 말한다” 로 시작해서 그의 발언을 인용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업계의 관계자, 전문가 같은 말로 퉁쳐버리는 경우가 많다.

한편, 더 큰 문제가 있는데,  다른 매체나 자료, 사이트 등에서 인용한 경우에도 구체적으로 그것을 밝히지 않는 것이다. 해외 매체인 경우에는 뭐 대개 밝히는 편인데 이상하게 국내 매체에서 어떤 인사가 발언을 했다거나 취재를 한 것을 인용하는 경우에는 ‘오늘 한 텔레비전 방송에 출연해 어떠한 발언을 했다’ 라던가 ‘모 신문에 기고문에서…’ 형식으로 뭉뚱그려 버린다. 이런 일은 해외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는일이다. 해외에서는 자료화면 형식으로 아예 출연 영상을 틀기도 하거니와 그렇지 않은 경우 적어도 CNN에서  ABC이나 FOX에 출연해서 누가 그런 말을 했다라고 보도를 하거나 신문도 거리낌 없이 텔레비전이나 경쟁지면에서 발언한 내용이나 보도를 인용한다. 웹 시대에 와서는 필요한 경우 아웃링크도 한다. 언젠가 따로 얘기하겠지만, 뉴욕타임즈를 비롯한 영미 언론사의 기사내 링크는 이전 보도나 출처 링크, 보도와 관련된 키워드에 관한 해설 기사 링크인 반면 우리나라 신문의 경우에는 죄다 광고 링크다.   

하여간, 이렇게 보도를 하면서 출처를 밝히지 않는 것은 기사의 신뢰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자료의 출처를 찾는데 수고가 필요하다. 당연한 말이지만, 발언이라는게 정리하면서 한번 주관이 개입되어 정리되는데, 거기에 그게 인용보도되면서 인용하는 사람의 주관이 들어가기 마련이라 왜곡이 더욱더 심해져 본의가 알기 어렵게 된다. 기사나 발언의 본의를 정확하게 알고자 한다면 도대체 이 내용의 원문을 어디서 볼수 있단 말인가? 라는 질문이 들기 마련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 언론의 출처와 인용은 빵점이다. 

물론 인용과 출처에 지나치게 연연하면 곤란하기는 하다. 하지만 그래도 최소한의 프로페셔널로써 자각은 가져줬으면 좋겠다. 

페이스북이 하루 거래 됐다.

페이스북이 하루 거래됐다. 솔직히 페이스북이 IPO가 되서 떼부자가 양산형 프라모델 찍히듯 나오던 말던 내 알바 아니다. 내 돈이냐? 어떻게 저런 모델을 만드는가?는 좀 생각해볼 문제긴 하다만. 아무튼 나는 짜증이 난다. 온 IT 언론이 buzz를 울려댄다. 페이스북 페이스북 페이스북! IPO IPO IPO 38달러 38달러 38달러. 부자 부자 부자. 저커버그 저커버그 저커버그. 그 망할 하버드 출신 너드 얼굴이 플립보드와 펄스의 모자이크를 하도 도배를 해서 당분간은 보기만 해도 욕이 나올것만 같다. (펄스를 써본 사람이라면 펄스의 모자이크가 저커버그로 도배됐다라는 말은 곧 거의 스팸 공해 수준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건 뭐 노동신문도 아니고… 

덕분에 평소같으면 다양하게 읽고 공유도 여러가지 할 것을 죄다 페이스북 얘기 뿐이라 정말로 재미없는 하루였다. CNN을 틀어도 페이스북 IPO 얘기가 Breaking News고.. 심지어는 New York Times와 Wall Street Journal과 FT 조차 Front Page에 기사를 점령… 아악. 아무리 대단하다지만 공해수준이다.. 

그랬는데 결국 38.26 달러. 공모가 보다 몇 센트 오른 정도다. 뭐 40달러를 넘을 거라고 난리를 떨더니만. 허무해! 아. 내 하루를 돌려줘! 아니 내 주말을 돌려줘야 하는구나. 당분간은 계속 여진이 계속될거고… 이제 곧 있음 주말이니 거의 모든 뉴스 블로그가 뉴스를 생산하는 걸 정지하니까 -_-;; 

구글 리더 피드를 정리했다.

좀 창피한 얘기를 하겠다. 나는 여지껏 구글 리더로 블로그와 더불어, 몇 가지 신문 기사를 구독해 왔다. 그것도 미국과 한국쪽 일본쪽 국적을 나누지 않았다. 그러다보니까 당연한 얘기지만 피드가 넘쳐났다. 이게 웹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Reeder 같은 데스크톱/모바일 리더에서는 각각 20,000개에서 5,000개 정도를 다운로드 하는데 이 것들의 상당수를 이 뉴스들이 차지해 버리는 까닭에 정작 중요한 블로그 기사를 읽어들이지 못하는 참사가 발생해 버렸다. 

아아 통재라. 처음에는 어쩔수가 없었지만 이제는 Pulse나 Flipboard 같은 녀석이 생겼기 때문에 굳이 RSS로 구독할 필요가 없어졌다. 과감하게 싹둑 잘라버렸다. 덕분에 RSS에는 블로그만 남았다. 남은 자리에는 Asymco(애플이나 IT관련 통계를 내기 좋아하는 블로그)나 Other voices(신카이 마코토 감독 블로그), FOSS Patents(플로리안 뮬러의 특허 전문 블로그, 삼성과 애플 관련 특허 분쟁만 나면 언론이 인용하는 그 사람 말이다), Mac Otakara(이따금 애플 관련 루머를 쏟아내는 블로그), parislemon( Techchrunch 창업자로 VC이자 컬럼니스트), Marco.org(Marco Arment, Instapaper 개발자) 같은 해외 전문 블로그가 들어가고(예전에도 몇몇 해외 블로그가 있었지만 요번에 더 늘어났다) 그 외에 관심이 있었고 트위터에서 알게 되었던 블로그를 더 넣어서 질적으로는 더욱 풍성해졌다. 앞으로 간간히 찾아 넣어서 더욱 풍성하게 콜렉션을 만들것이다. 

해서 오랫동안 즐겨왔던 블로그와 예전에도 유명했고 지금도 유명하신 분들의 블로그, 그리고 새로 추가한 블로그. 이렇게 내 구글 리더는 매우 충실하게 차서 내 iPad는 더욱 더 읽기에 충실하게 임하게 되었다

아이폰 서비스의 역지사지

지인 중에 애플 서비스 센터에서 일했던 분이 계셨다. 지금은 퇴사를 하셨다. 그분이 재직하는 동안 애플 서비스 센터 직원으로써의 고충과 몇가지 정보를 들을 수 있었다. 재미있었던(또는 유익한) 정보였다. 그 대다수 정보는 대외비 였기 때문에 지금도 말할 수 없는 것들이지만.. 그냥 한귀로 흘리고 말았기 때문에 솔직히 기억도 안난다 ㅎ 기록도 안했고. 

그러나 고충만은 확실히 기억이 난다. 그러다보니 그 이후로는 각종 서비스 센터에서 근무하는 분들에 대한 인상이 확실히 변했다. 예전에는 내가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내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서 주장을 했었으나, 지금은 그 사람의 의견을 듣고 내 주장을 최대한 합리적으로 이해시키도록 노력했다. 그리고 어렵다면 깔끔하게 포기했다. 시간을 끌고 테이블에서 질질 끄는 짓 따위는 하지 않았다. 

왜냐면 서비스 센터 사람도 위에서(소위 ‘갑’이라고 한다) 하라는 대로 하는 사람(‘을’)일 뿐이다. 특히 외산 제품의 경우 더한데, 삼성같은 국산 제품의 경우 기사의 재량권이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외산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내가 합리적으로 말해서 해줄 일이었으면 진즉에 해줄 것이었다. 예를 들어 생각해보자, 내가 블랙베리 데이터 문제로 갔을때, ‘통화품질 확인서’가 교체하는데 필요하다. 라고 요구하면 성질은 나서 씩씩 거릴 수는 있다. 18킬로나 차를 타고 왔는데 전화로는 그냥 달랑 몸하고 전화만 가지고 가면 될 것 처럼 얘기했는데. 그게 필요하다는 말은 전화로는 전혀 없었는데 그걸 없이는 안된다고 하면 화는 날것이다. 왜 얘기 안했냐고. 씩씩 거릴수 밖에 없다.  통화품질 확인 한걸로 안되냐고 통화품질 직원 연결해줄 수 있지만 그걸로는 안된다고 한다. RIM에서 데이터나 통신문제로 교환을 하려면 통신사에서 발급한 그게 없이는 기기를 내주질 않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그 통화품질 직원은 2주일 뒤에나 온단다. 씩씩 화가 날수 밖에 없다. 데이터는 안되는데!

결국 돌아간다. 결국 이주일 기다려서 종이를 떼서 가져간다. 직원은 미안해 하면서 종이를 받고 새 기계를 내어준다. 회사에서 요구하는 절차의 문제일 뿐이다. 이 직원은 죄가 없다. 내가 화풀이해봐야 죄없는 직원이 총알받이되고 뒤에서 속이 쓰릴 뿐이다.  

아무튼 그런 전차로 애플에서 문제가 있을때도 여유라는게 생기게 됐다. 최대한 해볼만큼 해보고 나서 이건 이렇고 저건 저렇다 라고 설명하고 가게 됐다. 그러니 마냥 불친절해 보이던 서비스 직원들도 나름 괜찮게 보이더라. 다 사람들인 것이다. 차분차분 설명하고 내가 겪은 문제점을 보이고 내가 시도한 해결책을 얘기하니 납득하고는 그냥 바로 새 기계가 있는지 알아보고는 들어가서 점검을 해보더니 미안하다 어디어디가 불량인것 같다면서 꺼내서 교체를 해주더라. 

사람 일이라는게 결국 역지사지로 해결을 해볼 일인 것 같다. 물론 나는 불편하니 화가 나지만 죄없는 사람을 때려잡을 것이 아니라는 얘기다. 서두에서 말한 직원은 말한다. 결국 갑이 문제다. 라고. 우리는 힘이 없다. 라고. 그런데 욕은 우리가 얻어먹는다. 라고 말이다. 뭔가 생각해볼 문제다. 

아이폰/아이패드의 애플케어를 구입하는게 좋을까?

사실 많은 사람들이 아이폰을 살때 할부기간(24개월) 폰 보험 서비스를 구입하기 때문에 A/S 기간을 연장하는 애플케어는 필요없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20여만원을 내고 서비스를 받고 나서 청구하는 것과 서비스를 바로 받는 것은 다르거니와, 또 다른, 그러나 은근히 간과하는  장점이 있다. 그것은 전화 지원이다. 사람들은 묻는다. 아이폰에 대해 궁금한게 있으면 그냥 포럼에 물어보면 되지 않아요? 라고 하는데 이게 아주 진국이다. 뭔가 궁금한게 있으면 애플에 전화해서 물어보면 궁금증이나 문제가 해결될때까지 심하면 30분에서 한 시간까지 전화통을 붙잡고 해결할 수 있다. 그것도 전혀 싫어하거나 귀찮아 하는 내색이 없다. 몇번의 통화를 통해 나는 애플 스토어가 생기고 지니어스 바가 생긴다면 아마 애플의 서비스는 국내 최고가 될 것이며 정말 애플 스토어가 생겨야 할 것이다 라고 느꼈으며, 만약 90일 기본 제공인 이 전화 서비스가 적어도 1년이라도 제공된다면 애플의 고객 만족도는 하늘을 찌를 것이라고 생각했을 정도다. (물론 10만원의 서비스 요금을 받기 때문에 이 정도의 서비스 수준이 유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애플의 대면 고객 서비스는 미국 본국에서도 칭찬이 자자하기 때문이다.

서비스 수준은 매우 높고, 친절하며, 전문적인 수준도 높다. 그리고 문제를 해결하려는 의지도 강하다. 내가 이들과 통화해 본 여러번의 케이스를 통틀어 내린 결론은 이네들이 포기했다면 소프트웨어 문제가 아니거나 아이폰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는 얘기다. 이들과 통화해서 포기한 한건은 결국 ISP를 바꾸니 해결됐고, 한 건은 애플과 전화해서 이리저리 했더니 이렇게 됐더라 얘기하니 간단히 만져보더니 기기를 교체했다.

나는 전화부에 애플스토어와 애플고객지원의 전화번호를 저장해놓고 수시로 문제나 궁금점이 생길떄마다 걸어서 물어보았다. 해결한 궁금증이나 문제가 벌써 여러건이 된다.

만약 자신이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다면 구입을 하는것을 권한다. 적어도 달려갈 지니어스가 없는 한국에서는… 전화 한 통으로 전문가가 사용법에 관한 질문에 2년간 바로 친절하게 대답해줄 것이다. 대기시간도 없다!

특히 아이패드의 경우에는 보험이 없다. 고장날 경우, 유상비용은 보통 4~60만원씩 한다. 1년을 연장하는 것은 어마어마한 이득이다. 10만원은 껌값이다. 당연히 해라.

애플케어를 구입하면, 1) 본체 2) 이어폰 3) 포함되어 있는 액세서리(어댑터, 케이블 등)  4) iOS, 애플제 아이폰/아이패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소프트웨어 질문이 구입시부터 2년간 제공된다.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