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rture(어퍼쳐)와 Pixelmator(픽셀메이터)를 가지고 한 이미지를 동시에 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Aperture의 Preference에서 Export에 가면 설정할 수 있다. 뭐 Aperture를 쓰는 사람이 Pixelmator를 쓸 사람이 얼마나 있겠냐만서도 이렇게 하면 경제적으로 이미지 에디터 환경을 갖출 수 있다. 오른쪽으로 눌러서 Pixelmator로 편집할 수 있고 편집 후에 저장하면 Aperture에 그 이미지의 새로운 버전이 생성된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Aperture로 새로운 수정을 가할 수도 있다.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
Pixelmator 예찬
Pixelmator라는 이미지 편집기를 사용해 보고 감탄하고 있다. 학습 곡선(Learning Curve)이 낮은 편이구나라고 말이다. 책이 필요 없다. 뚝딱뚝딱. 이미지를 열어서 버튼 눌러서 클릭해서 움직여 보면 바로 사용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그래도 모르겠거든 웹사이트에서 작동법 비디오를 보거나 도움말을 보면 한 번에 방법을 알 수 있다.
수백불 씩하는 포토샵을 사용해보면 값도 값이지만 그 복잡함에 질려버리게 된다. 물론 책을 보고 익숙해지면 익숙해지겠지만. 사용하는 기능만을 사용하게 되기도 하고.. 그러다보면 그 무거운 프로그램을 사용해야하는건가 싶기도하고. 또 그리고 많은 개인 사용자가 해적판으로 사용하는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다.
Pixelmator는 Mac용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초기에는 그럭저럭이었는데 Mac App Store가 출범할때 며칠만에 100만 불을 벌어들였다. 그리고 여름까지 기능을 대폭 확장한 2.0 버전이 나올 것이라고 호언장담하다가 얼마 전(10월 말)에야 선을 보였다. 그 사이에 2011년 Apple Worldwide Developer Conference(WWDC)에서 Apple Design Awards 2011를 탔다.
픽셀메이터 2.0은 Mac OS X Lion의 모든 기능을 반영하여 제작되었다. 풀 스크린을 지원하며 64비트를 지원하는것은 기본이다. 파일은 버전으로 저장된다. 다시 말해 저장하고 나서 예전 버전으로 돌리는 것 또한 가능하다는 얘기다.
잡설은 그만하고 이 녀석의 미덕은 간단함이다. 의도적으로 복잡한 기능(이를테면 패스라던가)은 만들지 않기로 작정한 듯이 생략해놓았다. 레이어를 가지고 리터칭을 하는 것도 블렌딩 모드를 가지고만 가능하다. 즉, 이미지를 버닝하거나 닷징하거나 컨트라스트, 색, 채도 명도를 조정하는 것은 레이어를 올려서 블렌딩 모드로 가능하지만 샤픈하고 블러를 먹이려면 백그라운드 이미지를 복제해서 먹여야 한다. 또 패스 기능이 없는 대신에 재미난 매직 완드 기능이 있는데 이 매직완드가 패스가 없으므로 아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비슷한 색을 인식하여 매직완드가 인식하는데 그 ‘비중’ 내지는 ‘범위’를 마우스로 조정할 수가 있다. 그렇게 해서 조금씩 미조정해서 비슷한 색의 선택 범위를 늘려나가거나 빼나가거나 해서 선택을 해나갈 수 있다. 머리를 썼다. 2.0에 추가된 힐링툴이나 스머지 툴은 이제서야 단독 이미지 에디터로 사용이 가능하게 해주었다.
픽셀메이터에 이제 바람이 있다면 리터칭에 있어서 레이어가 완전하게 가능하게 한다면, 그리고 레벨과 커브의 히스토그램이 좀 실시간으로 변했으면 한다는것과 역시 레이어로 먹일 수 있으면 좋겠다 싶은 정도(이것도 레이어를 복제하지 않으면 안된다).. 마, 29$에 너무 많은걸 바라나?
이렇게 써놓은 것을 보면 “아, 역시 많은게 없나”라고 생각하겠지만, 나는 이 녀석으로 뚝딱, 뚝딱 하고 보정하는 과정과 그 이미지의 결과물을 보면서 상당히 흡족해하고 있다. 할 수 없는 것을 찾는 것 보다. 할 수 있는 것을 찾는게 더 유익한 녀석이다. 특히 가격을 생각하면 정말 괜찮은 녀석이다. 포토샵이 몇 백불이라는 걸 생각하면. 정말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정말 쉽고 정말 간단하게 배워서 할 수 있다는걸 감안하면 맥을 가지고 있다면 iPhoto 다음으로 추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실제로 iPhoto와 연동을 할 수 있다, iPhoto에서 불러올 수도 있고, Pixelmator에서 iPhoto 사진을 불러올 수도 있다). 그 외의 대안으로 Photoshop Elements나 Aperture가 있긴 하지만 둘 다 비싸니까 말이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너무 복잡하지도 않도록 세심하게 만들어 좋은, 간단한게 미덕인 프로그램이다.
어퍼처를 실제 프로세스에 사용해봤는데
어퍼처(Aperture)를 매직 마우스 포스트에 들어간 사진을 위해 실제 블로그 프로세스에 사용해봤는데, 개인적으로 시험적으로 사용해본 적은 있지만, 블로그에 사용해보기 위해 여러장 사용해 본 것은 처음이다. 일단, 사진을 촬영 한 다음, 불러 들여서 확인하고, 다시 필요한게 있으면 촬영하고 불러들이고, 해서 필요한 사진을 다 촬영 한 다음, 수정에 들어갔다. 수정 과정에서는 여러장 촬영을 하면서 틀어진 화이트 밸런스와 노출의 일관성을 수정했는데 흠 처음이다보니 약간 좀 어긋 난것이 있더라. 쩝. 다음에는 좀 유의해야겠다. 그리고… 트리밍과 로테이션을 약간하고 힐링을 하고 나서 컬러를 약간 수정하고 뽑아냈다. 중간에 원형으로 강조하는게 있는데 그건 픽셀메이터로 뽑아냈다. 과정 자체는 꽤 물 흐르듯 잘됐다. 편리했다. 재미있었다. 앞으로도 몇번 더 해봐야지. Final Cut Pro X도 있는데 앞으로는 동영상에도 도전해볼 예정.
로지텍 컨트롤 센터 업데이트
매직 마우스 포스트 쓴 김에 Logitech Anywhere Mouse M905가 맥에서 잘 지원 안된다는 문제로 생각이 나서, 찾아보니 로지텍 컨트롤 센터(Logitech Control Center; LCC)가 27일에 3.5로 업데이트 됐다. 얼마전에는 없었는데… 일단 다 때려치우고 사파리와 크롬에서 앞/뒤로 가는게 정상으로 돌아왔다. 아이고 눈물나라.. 이거 하나 제대로 돌려놓는게 3개월 걸릴 정도로 대단한 일이었는가 싶었다. 하아… 그것도 모르고 로지텍에 메일했네… X팔려라. 아무튼 그 외에는 뭐가 달라졌는지는 잘 모르겠다.
프로 블로거는 프로를 지향하라
사실 나는 블로그의 영리화를 반대하는 것은 아니다. 영리 블로그는 해외에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Engadget이나 Read Write Web 등을 비롯하여, Huffington Post를 비롯하여 Gizmodo, Lifehacker가 속해있는 Gawker가 대표적인 영리 블로그의 일부이다. 다만 나는 생각한다. 영리를 취하는 블로그가 ‘영리를 취하지 않는 척’ 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개인 블로그인 ‘척’ 하면서 돈을 버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라고 생각한다. John Grubber가 있는데 이 사람은 광고를 놓고 있고 T-shirt를 팔고 가끔 Sponsor라고 적힌 광고 내용이 담긴 포스트를 하지만 확실히 그것은 광고이다. 그냥 스킵하면 된다. 다시 말하면, 모두가 이 사람의 수법을 알기 때문에, 적당히 적당히 넘어가게 된다. 물론 그가 진짜로 칭찬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얘기가 다르다.
아무튼, 파워 블로거들이 있다. 수만, 수십만씩 방문객이 와주시고 ‘오피니언’을 만드시는 분들이 있는 모양이다. 일면 부러운 것이 사실이다. 그렇게 해서 광고를 싣고 책을 써서 수익을 만들수 있다니. 또 그렇게 해서 업체에서 물건을 받아서 ‘뭔가’ 챙길 수 있다니. 나는 일일히 돈을 주고 사야하는데… 그것도 어찌보면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면 있는데 말이다. 헌데… 그걸 아마추어라고 포장하지 말아줬으면 좋겠다. 일반 사용자의 눈이라고 포장하지 말아줬으면 좋겠다는 말이다. 책을 내고(=전업이던 반업이던 글을 써서 돈을 벌고), 업체로부터 물건을 받고(=금품을 받고) 글을 써주는데 그런 ‘사용자’가 ‘일반 사용자’일리가 없잖은가. 엄연히 ‘프로’다.
우리는 쉽게 말해서 바이럴의 프로의 정보를 ‘우리 편’이라고 생각하면서 놀아나는 것 아닌가? viral이라는 단어가 무엇인가?
noun
an image, video, advertisement, etc., that is circulated rapidly on the Internet: the rise of virals in online marketing. – New Oxford American English Dictionary 3rd Edition
좋은 정보를 써주시는 것은 고맙다. 하지만 그 분들이 수익화를 위해 나서는 순간 ‘프로’인 셈이다. 다시 말한다. 나는 프로 블로그, 프로 블로거를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다만 그것을 감추고 호도하는 것을 나쁘게 보는 것일 뿐이다. 나는 블로그가 어느 정도 커진 순간부터 항상 고민해왔다. 개인적인 내용은 분리하고 전문적인 내용만을 담는 블로그로써 담아야 하지 않을까? 라고 항상 고민 해왔다. (2008년,2010년) 결과, 2009년에서 2010년을 기점으로 개인적인 내용은 실명의 도메인을 만들어 블로그를 별도로 시작해 사적인 내용은 거의 담지 않는 블로그가 되었다.
트위터도 그랬으면 좋겠지만 프라이버시와 효율성, 팔로워라는걸 쌓아 올리는게 쉽지 않기 때문에 관두었다(아마 그렇다면 할말도 별로 없을테고). 대신 트위터에서는 민감한 정견政見은 거의 드러내지 않고 내 IT 적 취향을 중심으로 취미와 일상 위주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일일히 다른 사람의 블로그가 어찌하여라 저찌하여라 하는 것은 오지랖 넓은 일인지 모르겠다. 하지만. 적어도. 블로그를 읽는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줄 수는 있다고 생각한다. 전문적인 블로그를 구별해서 수용하는 버릇 말이다. 그들이 주는 정보는 아마추어가 주는 것에 비해 대개 품질이 좋다. 그래서 아마추어가 제공하는 것에 비해 당연히 더 눈길이 가기 마련이다. 그것이 중요하다. 그것이 좋게 말하면 ‘제공되어서’ 나쁘게 말하면 ‘고용된’ 까닭이라고 생각한다면 단순히 혹할 것이 아니지 않은가?
애당초, 검색 메카니즘이 부족하고 컨텐트 풀이 부족한 나머지 블로그의 RSS를 크롤링하는데 의지하게 된 검색엔진-네이버, 네이트, 다음-들을 탓해야 하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