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Mac OS X

  • AirDrop을 시험해보고 있습니다.

    제가 맥이 두 대였던 적이 있었습니다. 사실 석대 까지도 있었는데 두 대가 Core Duo 였기 때문에 Lion을 돌릴 수가 없었습니다. 덕분에 Lion의 AirDrop을 해볼 수가 없었습니다. 지금 시험기로 받은 Mountain Lion 기기가 있어서 제 랩탑과 함께 AirDrop을 해보고 있습니다. AirDrop 이란건 OS X에서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에 똑 하고 파일을 떨구면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합니다.

    지금 파일을 보내고 있는 것은 Parallels Virtual Machine입니다. Parallels가 얼마나 빨리 돌아가나 시험해보고 싶어서요. 사실 빨리하자면 Thunderbolt나 Firewire 등으로 해야하나 전부 없거나 사용할 수 없는고로(전자는 Mid 2010이 후자는 레티나가 없어요)… 뭐 그렇게 됐습니다. 속도는 그럭저럭 나오고 있습니다. 서로 파인더를 열어서 AirDrop을 열면 서로의 컴퓨터가 나오고 파일을 드래그 하면 끝나네요. 받는 측에서 동의만 하면 되고 정말 간단합니다. LAN이니 파일 공유를 신경 쓸 필요가 없네요. 음… 허나 대개의 컴퓨터가 윈도우 인데 -_-;; 안타깝네요. 맥끼린 정말 편하겠어요.

  • Lion 업그레이드 후 화면이 죽는 현상에 대해

    Lion Upgrade 후 일부 MacBook Pro의 화면이 죽는 현상은 세계적인 현상이다. 나는 처음에 Lion의 탓을 했다. 애플측과 수시간의 통화를 했다. 정말 몇 시간의 통화를 했다. 총 합쳐서 4~5시간 정도는 되지 않을까 싶다. Apple 고객지원에 전화를 걸어서 한번에 해결이 안되면 Case 번호를 따게 되는데 이걸로 문의를 하게 되면 상담원이 이력을 보느라 조용히 놀란다. 그 정도로 내력이 있다(!). 어플리케이션 삭제, 유저 분리, OS 재설치, 하드 포맷 후 재설치도 안통하자 마지막으로 결국 그리고 서비스 센터에 가서 하드웨어 쪽의 문제를 확인해 줄 것을 요청 받았다. 그리고 가산동 KMUG에 입고를 했는데 문제는 단순한 커널 패닉이 아니라(커널패닉 리포트가 생성은 되지만) 하드웨어는 켜지고 냉각계가 구동하고 나머지는 작동하지만 응답하지 않지만 화면이 나가버리는 상황으로, 단순한 커널패닉이 아닌거 아닌가? 라는 의심으로 로직보드(메인보드) 쪽의 그래픽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 라는 의심을 하고 교체를 하게 되었고 문제는 해결 된 듯하다라고 연락을 받았다.

    워낙 이게 미묘한 문제라 바로 확인을 할 수 없고 인수를 해서 장시간에 걸쳐 확인을 해야하는데, 문제는 이쪽에서 일처리를 바보같이 해서 초보적인 점검을 게을리 한 나머지 심각한 문제를 간과해 사용을 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해서 현재로써는 문제의 상황을 파악할 수는 없다. 당시 점검 결과는 Lion의 문제보다는 하드웨어의 문제가 아니냐로 결론내려졌고 아무튼 제품을 다시 인수하는 대로 확인할 것이다. 그러나 한가지 확실한 것은 Lion에 들어서 빈도가 증가 했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사실은 전세계적으로 확인된 문제이므로 내가 Lion을 탓한 것을 문제 삼을 수는 없다.

    NVIDIA drivers giving 2010 MacBook Pro owners Lion upgrade headaches – ARS Technica
    Black Screen Of Death Plagues Some Mac Users After Lion Update – Cult of Mac
    Core i7 MacBook Pros kernel panicking with NVRM read error – CNET

  • Mac OS X Lion에서 터치패드(마우스) 스크롤이 반대로 되는 것이 불편할 경우

    맥 OS X Lion을 시작할 경우 제일 먼저 스크롤 방법을 안내합니다. 왜냐하면 다른게 아니라 기존 OS X는 물론 컴퓨터와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사용하니까 말이죠. iPad나 iPhone과 동일하게 절대적인 화면의 위치를 보고 스크롤하게 바뀌게 되었습니다. 즉, 화면에서 위에 있는 내용에서 아래를 스크롤 하고 싶다면 역시 터치패드에서도 위의 방향을 향해서 쓸어 내리듯이 움직여야 합니다(마치 아이폰이나 아이패드에서 그러했듯이). 기존에는 스크롤 이라 아래로 했었죠?

    암튼 이게 불편하시다~ 라고 생각하시면…

    스크린샷 2011 07 21 7 39 46 AM

    혹은 마우스는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스크린샷 2011 07 21 7 52 48 AM

    위와 같이 스크롤 방향 : 자연스럽게를 체크 해제 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사실 익숙해지시면(한 두시간 정도? 전 십분도 안걸렸어요) 괜찮아질거에요. 한번 시간을 들여보시는걸 권해드립니다. 그래도 못하시겠다 그러면 체크를 해제해보세요.

    암튼 방법은 알려드렸습니다. ^^

  • 맥 앱 스토어에 대한 생각

    맥 앱 스토어(Mac App Store)가 마치 CES 기간을 노린듯이 공개 되었습니다. 흐음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고 바로 사용해 보았습니다만, 일단은 제가 사용할 소프트웨어들은 어지간한것들은 샀다는 까닭도 있고, 값이 장난이 아니라는 까닭도 있고 해서 아직은 유료로 지른 프로그램은 iRingtones 정도(99센트)밖에 없습니다. Twitter for Mac의 경우에는 한번 다운로드 받아봤습니다만 Evernote니 Alfred니 Things 같은 ‘에지간한’ 베스트셀러는 섭렵해봤기 때문에… 솔직히 말해서 수십달러하는걸 팍팍 지를 여력은 안되는지라..;  

    소프트웨어 전달 방법을 바꾸다

    해서 간단하게 말씀드리자면 컨텐트의 전달(delivery) 방법을 바꾸는 커다란 방법이 될 것이라는데 이견은 없겠네요. 우리가 소프트웨어를 사는 방법은 크게 박스를 사는것과 다운로드(ESD)가 있겠지요. 혹시 DigitalRiver라는 회사를 아시는지요? 혹시 Microsoft나 Symantec 같은 거대 회사에서 소프트웨어를 사보신 경험이 있으시다면 아마도 이 회사를 경유해서 물건을 사셨을 겁니다. 이 회사의 서비스를 제가 처음 이용한게… 아마도 1998년 언저리가 아닐까 싶습니다만. 뭐 여러가지를 합니다만, 대표적인 것 사업 분야가 디지털 배급(digital fulfillment)입니다. 디지털리버는 ESD의 최강자 중 하나입니다. 고객사 대신에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고 결제를 도와서 여러분이 그것을 안전하게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도록 하는 일련의 절차를 대행해주는 업무인데요. 이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라는게 이렇습니다. 각 회사의 홈페이지에 아웃링크해서 디지털리버의 홈페이지로 연결해서 물건을 판매하는 것이지요. 
    문제는 디지털리버라는 회사가 꽤나 ‘덩치가 큰’ 회사기 때문에 중소규모 제작사들은 좀 더 저렴한 솔루션을 필요하게 됩니다. 이런 경우 워낙에 많은 회사가 있어서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지요. 우리가 실제로 작은 소프트웨어를 살때 직접 카드번호를 입력할때 그것을 직접 처리하는 회사는 아마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마저도 안되는 개발자를 위해서 최근에 들어서는 PayPal이나 Google CheckOut등의 등장으로 좀 더 많은 개발자들이 커다란 부담없이 Payment Solution에 대한 부담없이 할 수 있게 되었지요. 
    어찌됐던 간에 기본적으로, 크고 작건간에 소프트웨어의 구매에도 정형화된 구매 패턴이 존재했다는 것이지요. 뭔 말이냐면, 우리가 소프트웨어를 사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홈페이지를 방문을 해서 Trial이나 Demo를 받아서 사용해보고 코드를 넣거나 아니면 아예 마이크로소프트 제품처럼 홈페이지에서 구매 버튼을 눌러서 풀 제품을 받는 식으로 구매했다는 얘기지요.
    사실 윈도우 모바일이나 블랙베리 등 기존 모바일 디바이스에도 유료 어플리케이션은 이미 존재했었습니다. 우리가 익히 들어알고 있는 Pocket Informant를 예를 들어볼까요? 이것은 유명한 Windows Mobile용 PIMS 어플리케이션이었지요. 아마 가격이 2~30불 했던걸로 기억합니다. 그걸 사기 위해서는 WebIS나 Handango 같은 쇼핑몰에서 구입을 하면 WebIS에서 코드를 입력해서 메일로 보내주는 그런 형식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멀리 볼것도 없습니다. 블랙베리를 쓰고 있는데 블랙베리의 경우에는 아직도 Crackberry라고 하여 마켓 사이트가 있습니다). 헌데 이건 확실히 카드를 입력하고 결제를 하고 기다리고 다운로드를 받고 귀찮음을 수반하지요. 그것을 일소시킨 것이 여러분이 아시는 대로 ‘AppStore’ 입니다. 
    물론 많은 사이트들이, 심지어 Digital River 조차, PayPal을 통한 원클릭 결제를 지원하고 있는 세상이 되었지만, 아무리 편리하다고들 하더라도 맥 앱스토어의 버튼 한번의 유혹과 통합된 관리를 뿌리칠 수 없을 것입니다. 가령 제가 Gmail을 쓰고 있어서 2004년 4월 이래로 모든 영수증이 보관되고 있기에 별 거부감 없이 지르고 있는 것이지 만약 모든 소프트웨어 시리얼 키를 잃어버리지 않고 보관해야 한다는 부담감이 있다면 쉽게 지르기 어려울겁니다. 시리얼번호를 찾는것도 어렵고, 이 메일로 샀던가 저 메일로 샀던가 기억하는 것도 쉬운일이 아니고 말입니다. 괜히 1Password 류의 어플리케이션이 있는게 아니겠지요.  해서 한번에 클릭으로 결제가 되고, 그 이력이 완벽하게 관리가 되며, 버튼 한번에 설치되고 재설치되는 것이 상당히 매력적인 것도 사실입니다. 
    가격설정의 변화, ‘앱’의 활성화? 
    아까, Pocket Informant의 가격 말씀 드렸는데, PI가 결코 저렴한 앱이 아님에도 불구하고(초기 출시가 6.99달러에 지금 12.99달러하죠?), Windows Mobile 시절에 비하면 ‘많이 죽었다’라는 사실을 말씀 드리기 위해서 그걸 알려드린 것입니다. 그 말인 즉슨, 애플이 Aperture나 iLife, iWork 등에서 보여주고 있듯이(Aperture는 무려 1/3 가격 인하가 됐습니다. 200불이 넘던 프로그램이 졸지에 80달러가 됐어요).. 많은 개발자들도 그들이 ‘현재는’ 가격을 그대로 받을지는 모르겠지만, 어쩌면 맥 앱 스토어의 에코 시스템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가격을 낮추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 한다는 것입니다. Trial이 없는 이러한 구조 속에서(물론 Mac OS는 샌드박스 구조가 아니므로 Trial을 별도로 깔도록 할 수 있겠습니다만), 가격이 높으면 높을수록 허들은 높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당장 저만 하더라도 79불하는 Aperture를 보면서 ‘흐음, 가격이 많이 내리긴 했군’ 하면서도 섯불리 구매 버튼을 누르지 못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말입니다. 아마 제 생각에는 중장기적으로는 가격이 양분화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중(Mass)를 노린 염가 프로그램(Alfred나 Echofon같은)등이 주로 득세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지요. 물론 7~80달러 정도의 프로그램까지도 생각해볼 수는 있겠지만 어디까지나… 대세(=심리적 저항선)는 30불 안쪽, 조금 보수적으로 잡아서 15불~20불 안쪽이 될 것 같습니다. 
    iOS 앱의 역습, iOS 개발자 흡수, 더 나아가, iOS 사용자들의 유인을 노리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트위터 어플리케이션은 Echofon입니다. 이 어플은 iPhone용이었고, 후에 Firefox와 Mac으로 이식되었습니다. 음, 당연한 말이겠지만 개발툴이 같기 때문에 Mac으로 이식이 비교적 수월했음은 말할 나위가 없습니다. 비슷한 류의 이식은 여럿 목격되어 왔습니다. 지금은 Twitter for Mac이 된 Tweetie도 iOS가 우선이었고, Reeder는 iPhone에서 맥으로(베타 중), Osfoora도 역시 맥으로 이식될 예정(개발 중)되고 있구요. 수를 셀수 없는 맥 개발자가 iOS 소프트웨어로 이식했고, 이젠 iOS에서 (처음 Xcode를 잡은 개발자들이) 맥으로 이식을 할 준비를 하고 있는 것입니다. 애플의 말 대로, OS X에서 좋은 것을 취해서 iOS를 만들고 iOS에서 좋은 것을 취해서 다시 OS X을 개선시켰다는 것이 공언이 아닌 것입니다. iOS 디바이스를 통해 맥을 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Apple 제품(H/W와 S/W를 아울러서)의 일관성에 매료된 사람들도 많구요. 그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MAS는 어떤 의미에서 필수불가결한 존재일 수 있습니다. 또 새로이 맥을 산 사람이 그 감각으로 iOS 디바이스를 쓰게 되고, 무엇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iOS 디벨로퍼가 만든 Mac 앱은 필연적으로 iOS의 룩앤필을 답습하게 되어 있다라는거죠. 마치 iOS 초기에 Mac 개발자들이 그러했듯이. 안드로이드의 역습이 본격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익숙한 소프트웨어”들”을 컴퓨터와 휴대폰, 태블릿에서 쓸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커다란 장점이 될 것입니다. 물론, 앵그리버드처럼 멀티 플랫폼으로 갈 수 있겠지만, 그것도 iOS에서 일정 성과를 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지요. 개인 혹은 중소규모 개발자 입장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은 잠시 접어두고) 한번 툴을 익혀두면 스마트폰과 태블릿, 거기에 컴퓨터를 아울러서 수익을 낼 수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입니다.  
    최근 Reeder도 그렇고, Osfoora도 그렇고 맥용 개발이 시작되었죠. 본격적으로, 이러한 분위기는 아마도 Mac App Store의 흐름을 타자! 라는게 아니라면 아마 그 양반들은 절에 들어가서 도 닦아야 할 겁니다. 아마 이것이 애플의 노림수 일것이고 이것이 그들의 계산일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자산이 늘어나는 것이 결과적으로 득이 될 것이다. 라는 계산인지 모르겠습니다. 말하자면 Windows의 Office등으로 대표되는 프로그램의 ‘대함거포주의’, Google의 웹 어플리케이션 만능론에 맞서보겠다는 심산인지 모르겠습니다(일단 애플은 플랫폼 홀더이므로). 
    자, 하여… 그 첫 포는 발사가 되었습니다. 사실 본격적인 사용자 경험에 대한 평가는 어찌 될지 OS X Lion이 나와봐야 알겠습니다. 아직까지는 그냥 얹어 놓은 듯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으니까요. 해서 그 부분은 Lion이 나오거든 이야기 하도록 합시다. 
    여담으로 삼아서, Alfred의 개발자는 트위터(@alfredapp)에서 최근 맥 앱 스토어에 관해서 상당히 고무적이라는 평가를 내렸습니다. 일단 다운로드 자체가 인상적이었기 때문인데요. 첫 날 다운로드 100만건 중 1할이 자신 소프트웨어였다고 기뻐했죠. 다만, 문제는 Alfred는 코어가 무료이고 PowerPack이라는 추가 기능을 시리얼 키를 돈을 주고 사게 되어 있는데, 아직 맥 앱 스토어는 iOS처럼 In-app purchase도 없고 하다보니, 개발자 측에서 그냥 Serial을 넣는 부분을 살려두었는데, 그게 약관 위반이라고 ‘사후 통보’ 받았다는 거죠. 그래서 보아하니 에코폰 등 다른 시리얼로 기능(광고 유무나 기능 등으로)을 차별하는 경우에는 그냥 Echofon과 Echofon Pro 이런식으로 (마치 iOS처럼) 별도의 버전을 내놓게 되었는데요.  아마 Alfred도 이렇게 되겠지요. 여하튼 이걸 통보받고 그부분을 부랴부랴 삭제해서 다시 제출하느라 고생했다. 라는 요지의 트윗을 했었습니다. 이번 해프닝(?)을 보면 애플이 약간 심사를 느슨하게 하는것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네요. 뭐 일례에 지나지 않습니다만.  
     
  • Mac OS X – 복사와 이동의 개념 생각하기

    내가 처음 클래식 환경에서 맥을 배웠을때는 파일을 이동할때는 드래그를 해서 원하는 위치로 끌어 옮기고 복사할 경우에 Option키를 누르면 된다고 배웠다. 그런데 OS X에서는 죽어라 그래도 복사는 되어도 이동은 되었다. 다시 말해서 옵션을 누르나 안 누르나 달라지는게 없.다. 그래서 구글링을 해보는데, 아마도 나를 빼고는 모든 맥사용자들이 복사와 이동을 구분할 줄 아는 지각있는 사람인건지… 한 개도 없다. 그래도 애플 웹사이트를 들락거린 짬밥으로 뒤져보니 커맨드를 누른 상태에서 드래그하면 이동이 된다는 건데…. 아… 글쎄… 이것에 대한 애플의 정식 명칭은 “복사하지 않고 새 장소로 옮김(Move to New loaction without duplicating)”이란다… 허허허허…. 이 글을 포스팅하고나서 나는 곧 맥북의 도움말을 검색했는데 아연실색하고 말았다… “여기 있잖아?!” 그래서 아이맥으로 돌아가서 검색해보니 문제를 알았다. 아이맥에서는 어떻게 옮기는지 나와있지 않았으니까. 이유는 한글 번역으로 인한 차이이다. 아무튼 Move를 입력하니 방법이 나왔다. 같은 디스크내에서 다른폴더로 이동할때는 그냥 드래그만 하면 되고. 같은 디스크내에서 다른폴더로 복사할때는 Option을 누르고 하면되고. 다른 디스크간에서 이동할때는 커맨드를 누른 채로 하면되고 다른 디스크간에서 복사할때는 그냥 드래그 하면 된다고 한다. ps. 혹시나 해서 하는 말인데, 이름바꾸는 방법은 클릭후 Return키 누르기고, 지우기는 Command – Delete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