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패드는 새로운 PC인가?

아이패드가 처음 나왔을때 스티브 잡스가 했던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PC는 트럭과 같아질 것이다. 점점 적은 사람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라는 거죠. 음, 결론부터 말하면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트럭을 몰고 다닙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주된 인터넷 접속 장치로 휴대폰을 택하는 경우가 많고 이건 저소득, 중소득 국가에 가면 더욱더 명확해집니다. 사실 정말로 많은 일을 모바일로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반드시 PC를 켜야만 가능했던 일이 PC 없이도 가능하지요. 대표적으로 각종 플러그인으로 덕지덕지 바른 인터넷뱅킹이나 쇼핑은 모바일로 하는게 훨씬 편리합니다. 모바일로 등기부 등본까지 열람이 되죠.

최근 애플에서 재미있는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사실 지금 꽤 빠른 수준의 싱크패드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고 지금 글을 쓰는 것도 노트북입니다만, 굳이 노트북이 아니라 아이패드여도 큰 문제는 없었을 겁니다. 블로그에 글을 쓰거나 운영하는 웹호스트를 관리하거나 SSH 쉘이나 SFTP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고 말이죠. MS 오피스가 있고 제가 쓰는 프린터는 AirPrint를 지원하기 때문에 인쇄도 무선으로 가능합니다. 예전에 어디에 서류에 서명을 해서 보냈어야 하는데 프린터가 작동하지 않아서 PC방까지 가서 프린트 한 뒤에 스캐너로 스캔해서 보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이제는 애플 펜슬로 서명을 해서 저장한 뒤 메일로 전송하면 되죠. 그러기 위한 툴이 여럿 있습니다.

이전에 말했듯이 가격이 거의 PC 한 대 값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완전한’ PC 경험을 제공하지 않는데 문제가 있습니다만. 재미있지만 MS가 오피스를 내놓고 여러가지 클라우드 저장 솔루션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자체적인 파일 구조가 없는 아이패드의 약점이 많이 나아졌습니다. 아이패드 프로가 처음 나왔을때 지적받았던 사파리 탭을 여러개 동시에 못연다던지 하는 단점도 해결이 되었고(그럼에도 역시 PC쪽 브라우저가 좀 더 강력하긴 하죠), 동시에 여러가지 앱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됐습니다.

해서 애플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PC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글쎄요. 아이패드는 트럭이 아닙니다. 서피스 같이 애매~한 트럭도 있습니다만 아이패드는 아이패드지요. 굳이 비유하자면 널찍한 짐칸이 있는 대형 SUV 쯤 될까요. 휴대폰이 세단이나 컴팩트 SUV고 말이죠. 많은 일을 할 수 있지만 트럭이 필요할 때는 트럭을 써야 할 겁니다.

실제로 저는 수년전 맥이 고장이 나서 작동이 안되는 동안 아이패드와 아이폰만으로 살았고, 트위터를 비롯해서 소셜네트워크를 끊고 지냈을때도 아이패드와 아이폰 만으로 살았습니다. 아이패드가 있으니 PC는 필요없다는 얘기는 아닙니다만, 아이패드가 있으니 PC를 꺼낼 일이 줄어들었다면 과장은 아닐겁니다.

태블릿의 우울

애플의 아이패드 출하량이 계속 저조하면서 사람들의 태블릿에 대한 회의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태블릿이 저조하다는 징조는 사실 여럿 있었죠. 한 통계에 따르면 전체 태블릿 출하는 정점이었던 2013년에 비하면 한 때 반토막이 날 정도였죠. 다행히 지금은 조금씩 회복하고 있는 추세입니다만 아이패드가 부진한건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일단 전화기가 커졌죠. 특히 아이폰이 커졌습니다. 아이패드 프로 9.7″ 을 사기 전에까지 아이패드 4세대를 사용했는데 굳이 태블릿을 써야하는 상황이 매우 적었고 나중에 가서는 애물단지가 됐습니다. 물론 지금은 전화기로 할 수 없는 일이 있어서(멀티태스킹이라던가 펜이나 키보드라던가) 다시 자리를 잡았습니다.

아이패드 프로 9.7″은 키보드와 애플 펜슬까지 포함해서 거의 170만원했습니다. PC를 대체한다는 목표는 최소한 가격으로는 달성한 셈입니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조만간 아이패드의 새로운 버전이 나온다고 하는데 작년 5월에 구입한 아이패드를 새걸로 갈 용기가 나지 않네요.

이게 한가지 문제입니다. 저는 아이패드 4세대를 아이패드 프로로 갈았고 만족했습니다만 아이패드 에어나 에어2 사용자가 아이패드 프로 9.7을 살 이유는 크지 않습니다. 12만원짜리 애플 펜슬이 필요하지 않다면 말이죠(키보드는 시중에 좋은 블루투스 키보드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니 상당수가 매년 2년주기로 교체를 하는 아이폰과는 달리 이걸 1~2년 주기로 교체하는 수요는 많지 않습니다. 통신사를 거쳐 사지 않으면 100만원을 훌쩍 넘는 아이패드를 현찰로 사야하니까요.

태블릿으로 무엇을 하는지는 모르지만 대개는 웹서핑과 동영상, 전자서적이나 뉴스 관람을 꼽을 수 있는데 사실 이건 대단히 고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아이패드 에어나 아이패드 에어2 정도면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겁니다. 특히 에어2의 경우 두개의 앱을 동시에 돌릴 수도 있지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어떤가 싶지만 안드로이드 태블릿의 존재도 잊어서는 안됩니다. 물론 삼성에서 나오는 갤럭시 탭 S 시리즈 같은 녀석도 있지만 주로 커다란 문제가 되는것은 중국 제조사, 이를테면 화웨이나 아수스 같은데, 혹은 이름도 알 수 없는 회사에서 나오는 저가/중가 제품입니다. 말씀 드렸다시피 커다란 고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다보니 고성능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 편이고 덕분에 가격도 매우 저렴하죠. 아마존에서는 8만원에 킨들 파이어 태블릿을 살 수 있습니다(여러가지 이유가 있어서겠지만요).

아까도 말씀드린 통계를 보면 태블릿 출하 자체는 15년 4분기와 16년 1분기에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하고 있는 추세입니다만 이 시장도 휴대폰이 그렇듯 고급 세그먼트를 차지하는 애플과 나머지로 나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삼성에서 요번 MWC에서 2년만에 갤럭시 탭 S3을 내놨는데요. 삼성이 오랜만에 드문 고성능 안드로이드 태블릿을 내놓은 점은 반갑지만 프로세서 등을 보면 최신인가? 하는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작년도 그렇고 올해도 그렇고 삼성은 슬슬 윈도우 태블릿으로 발을 옮기는거 아닌가 싶은 느낌도 있고 말이죠(윈도우 태블릿도 MS와 인텔의 노력으로 예전보다 많이 보급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아이패드 외장 (블루투스) 키보드를 사용할때 자동 완성이 될 경우

iOS 10을 업그레이드 하시고 나서 외장 블루투스 키보드, 혹은 스마트 키보드 같은 외부 키보드를 사용하게 되었을때 갑자기 이 녀석이 자동 수정을 하는 것에 대해서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으셨나요? 사실 저도 잘 모르고 있었다가, 트위터에서 알고 있는 분께서 질문을 해주셔서 설정에 들어가보니 ‘어, 이거 못봤던 설정이 있네?’ 해서 보니 문제가 해결됐습니다.

iOS 10 키보드 메뉴
설정 – 일반 – 키보드 메뉴 화면
하드웨어 키보드 설정 화면
하드웨어 키보드 화면

설정에서 일반으로 들어가셔서 키보드를 보시면 평소에 있던 키보드 갯수를 나타내는 것 말고도 하드웨어 키보드가 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눌러 보면 하드웨어 키보드에서 자동수정이 되도록 (어느샌가) 켜져 있었던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Caps Lock키로 라틴 입력 소스 전환을 켜게 되면 캡스락을 누른 상태로 (여러 언어가 있는 경우)화살표를 움직이면 원하는 언어로 입력이 가능하네요.

iOS 10 아이패드 사파리에서 동시에 두개의 탭 띄우기(스플릿 뷰)

iOS 10이 되면서 사파리에서도 스플릿 뷰(두개의 화면을 동시에 띄우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만, 어떻게 사용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검색을 해봤습니다. 생각보다 아주 간단해서 허무했습니다. 방법을 설명합니다.

  1.  동시에 띄우고 싶은 탭을 띄웁니다. 이미지에서는 애플(미국)과 애플(한국) 사이트가 띄워져 있습니다.
    img_0172
  2. 탭 부분, 그러니까 이미지의 Apple(대한민국) 부분을 잡고 화면 우측 끝으로 움직입니다.
    img_0173
  3. 두개의 창이 열렸습니다.
    img_0174
  4. 되돌리려면 다시 탭을 잡아서 화면 왼쪽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img_0171

간단하죠?

9/16 6:54 추가 :  떠돌이(@bugbear5)님이 알려주신 팁입니다.

링크를 길게 누르면 ‘Split View에서 열기’가 나옵니다.

길게 눌러 메뉴에서 스플릿뷰 호출

애플의 점증적 변화에 관하여

애플이 예전만 못하다고 합니다. 아이패드(iPad)는 아직 최전성기 수준을 따라잡지 못하고 있고, 아이폰(iPhone)은 전 모델인 6/6 Plus(6 시리즈)에서 공전의 히트를 쳤는데 지금 모델인 6s/6s Plus(6s 시리즈)는 좀 모자란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6 시리즈에서 워낙 많이 팔려서 틱-톡 라이프사이틀에서 톡에 해당되는 6s 시리즈가 덜 팔린 느낌입니다. 저 같이 매년 아이폰을 빠짐없이 사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 같고 대개는 약정을 걸고 보통 18~24개월 이상을 사용하기 때문이죠. 6 시리즈가 너무 많이 변했죠, 그리고 엄청 많이 팔렸죠. 가장 큰 이유로 화면이 커진게 대표적이구요. 6 시리즈에는 안드로이드에서 유입이나 5/5s 사용자도 꽤 많이 유입되었는데 여러가지 기능이 추가 되었다 해서 기존 6 시리즈 사용자가 6s 시리즈를 살 것 같지도 않습니다. (사실 6s가 사용할 수 없어서 6를 잠시 썼는데 3D Touch빼곤 아쉬운게 없었습니다. 크게 느리지도 않고) 진짜 제 생각에는 다음 7(가칭) 시리즈는 기변 시도도 있고 조금 더 나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앞 일은 알 수가 없죠. 3.5mm 플러그를 없앤다는 얘기가 있는데 그것 때문에 안산다는 분들이 꽤 계시더라구요. 물론 저는 새 아이폰이면 (늦건 빠르건)사겠지만요.

애플이 TV를 본격적인 사업분야로 시작하고, 인공지능을 도입하고, 비밀리에 차를 만드는거 아니냐는 얘기가 있지만, 일단 애플의 주요 사업 영역은 잡스가 만들었다고 봅니다. 뭐 잡스가 CEO를 관뒀을때도 몇 년 정도의 구조는 이미 짜놓았지 않았나 하는 분석이 있었는데 말이죠. 사실 지금 한창때에 비해서는 좀 떨어진다고는 하지만 팀 쿡은 애플을 세상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으로써 튼튼하게 토대를 닦았기는 합니다.

사실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이 없는 상황에 대해서는 2013년부터 약간 우려를 했던 것은 사실입니다. 그리고 얼마전에는 존 그루버는 Macworld에 한 기고에서 애플이 가장 잘하는 일이 차근차근 발전을 향해 굴러가는 것, 심지어 실시간으로 보면 반복적인 발전 과정을 놓치기 쉬울 것이라고 했을 정도입니다만. 확실히 놀라운 혁신은 드물지만 이번 WWDC 키노트를 보면 iOS 10와 새로운 macOS는 기대가 됩니다. 정말 많은 신기능과 변경점이 iOS 7 때의 두근거림을 떠올리게 만듭니다. 베타를 쓰지 않는 저입니다만 얼른 퍼블릭 베타를 써보고 싶어서 좀이 쑤십니다(개발자 베타를 쓸 엄두는 나지 않습니다).

아이패드만 하더라도 PC를 대체하겠다!라는 거창한 목표로 이런저런 기능이 추가 됐는데 말입니다. iPad 4세대를 쓰다가 아이패드 프로 9.7″을 사용하니 정말 많은 것이 변하고 편리해져서 정말 만족스러웠습니다. 스플릿뷰나 슬라이드 오버 같은 많은 리뷰어들이 값을 빼면 아이패드 프로 9.7″를 최고의 태블릿으로 보는데 이견이 없습니다.

애플 워치 같은 (물론 점유율은 엄청나지만) 미묘한 제품이 있지만 또 압니까? 정말 애플 차가 나올지. 차가 아니더라도 뭔가가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맥북 12″는 만들어졌던 당시에는 정말 과격한 생략이 들어간 맥북 에어보다도 더 과격한 삭제가 이뤄졌죠. 소문이 흘러나오는 맥북 프로의 신 모델도 (물론 포트 수는 더 많겠지만) USB-C로 점철이 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만.. USB-C에 올인한 애플의 도전이 얼마나 성공할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2016년 현재 많은 랩톱들이 USB-C를 지원하기 시작한걸 보면(심지어 HP 스펙터는 모든 포트를 두개의 USB-C로 대체해 버렸죠) FireWire나 선더볼트보다는 나을지 모르겠네요. HP 스펙터 얘기를 했는데, USB-C로 모든걸 대체해 버린 애플의 과격함이 마치 맥북 에어 이후 울트라북 등의 형태로 상당수의 노트북을 바꿨듯이(요즘 나오는 노트북은 이더넷 포트가 외장인 것이 정말 많더군요) 말입니다. 정말 깜짝 놀랄만한 발명은 아닐지라도 아이팟이 그랬고, 아이폰이 그랬고, 아이패드가 그랬고, 그 모든 제품에서 도입한 모든 애플의 개선과 변화가 업계와 우리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던걸 그리고 그 개선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걸 감안하면 마냥 ‘애플이 혁신을 포기했다’ 라고 말할 수 있을지 싶긴 합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