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가격과 수명에 대해

iOS 12 GM을 올렸습니다. 속도가 그야말로 날아다니더군요. 애플이 약속했던 공유시트 부분이나 카메라 로딩, 키보드 표시 속도는 정말 전광석화라고 부를만큼 빨라졌습니다. 

iOS 12는 아이폰5s부터 지원합니다. 무려 5년전 기종입니다. 그리고 적어도 자기네 주장으로는 iOS 12는 아이폰5s와 아이패드 에어에서도 무난하게 작동하도록 만들어졌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아이폰은 다른 스마트폰 보다 수명이 깁니다. 그나마 사후지원을 잘해주는 삼성도 두세번의 메이저 업데이트를 해주고, 1년이 지나면 보안 보수 업데이트도 격월간에서 분기마다 분기마다에서 반년마다 텀이 늘어지는걸 생각하면 하드웨어가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노인학대’를 하는 애플이 바람직할지도 모릅니다. 

이번 9월 키노트에서 애플의 환경 정책 부사장 리사 잭슨(그녀는 미국 환경보호국 국장 출신입니다)이 나와서 되도록 제조시 지구 자원에의 영향을 최대한 제로로 한다/한번 만들어진 아이폰은 오래 작동하도록 한다/사용할 수 없는 아이폰은 최대한 재활용한다. 라는 기조를 밝혔습니다. 

아이폰은 리세일 밸류가 높기로 유명합니다. 상태가 좋은 아이폰은 어지간한 타사 신제품 못지않게 판매되는 경우도 허다하죠. 사용하던 아이폰을 가족에게 물려주는 경우도 매우 흔합니다. 자신은 새 기종을 사용하더라도 기존에 사용하던 아이폰은 여전히 신규 업데이트가 되고 쓰는데 지장이 없으니 비싼 새 아이폰을 사는 대신에 넘겨주는 것이죠. 

그런 기조에서 기존 아이폰의 성능을 향상시킨다면 아이폰의 수명은 더욱더 길어질 것입니다. (사실 운영체제의 체감 성능을 떠나서 CPU/GPU 성능들을 따지면 아이폰은 2세대 정도 전의 기종이라도 너끈할 겁니다)

호라스 데디우는 자신의 포스트에서 포화된 스마트폰 시장에서 수명이 길어진 스마트폰을 만들어서 이렇게 중고 사용자를 낳는 것이 납득이 안될 수 있지만 액세서리나 서비스, (워치, 에어팟 등이 포함된) ‘기타’ 부분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오래 작동하는 아이폰을 만드는 것이 애플에게도 이득이라는 얘기죠.

게다가 한번 애플 에코 시스템에 ‘갇히면’ 빠져나가기도 쉽지가 않습니다. 2010년 맥북 프로만 하더라도 하이 시에라를 돌려도 아이폰과 가능한 연계가 한정되어 있었습니다만 2018 맥북프로는 서로가 존재하는 것을 전제로 한 듯이 합이 맞아 돌아갑니다. 아이폰을 사용하다보면 아이패드를 사용하고 맥을 사용하고 맥이나 아이패드를 사용하다보면 높은 확률로 다음 전화기는 아이폰을 사용할 확률이 높습니다. 

아이폰의 가격은 올라가지만 아이폰 중고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어서 중고로 팔면 새 기종을 사는데 보탤 수 있습니다.  중고로 팔던 팔지 않고 자신이 수명이 다하거나 교체할때까지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를 가지고 있는건 안심이 되는 일입니다. 모르긴 몰라도 호라스 데디우가 지적하듯이 이런 수렛바퀴 구조를 만들 수 있는 회사는 현 시점에서는 애플밖에 없지 싶습니다.

추기: 한편 생각해봤는데 한 디바이스를 오래 사용하는 측면에서 애플의 배터리 게이트는 치명적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배터리 상황을 퍼센티지로 표시하게 된 점은 공인 서비스로도 비교적 저렴하게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바람직한 방향이겠지요. 80% 밑으로 내려가면 스로틀링이 걸립니다만 일반적으로 리튬이온 배터리 용량의 80% 밑으로 넘어가면 수명이 다 된 것으로 보니까요. 

아이패드 외장 (블루투스) 키보드를 사용할때 자동 완성이 될 경우

iOS 10을 업그레이드 하시고 나서 외장 블루투스 키보드, 혹은 스마트 키보드 같은 외부 키보드를 사용하게 되었을때 갑자기 이 녀석이 자동 수정을 하는 것에 대해서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으셨나요? 사실 저도 잘 모르고 있었다가, 트위터에서 알고 있는 분께서 질문을 해주셔서 설정에 들어가보니 ‘어, 이거 못봤던 설정이 있네?’ 해서 보니 문제가 해결됐습니다.

iOS 10 키보드 메뉴
설정 – 일반 – 키보드 메뉴 화면

하드웨어 키보드 설정 화면
하드웨어 키보드 화면

설정에서 일반으로 들어가셔서 키보드를 보시면 평소에 있던 키보드 갯수를 나타내는 것 말고도 하드웨어 키보드가 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눌러 보면 하드웨어 키보드에서 자동수정이 되도록 (어느샌가) 켜져 있었던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Caps Lock키로 라틴 입력 소스 전환을 켜게 되면 캡스락을 누른 상태로 (여러 언어가 있는 경우)화살표를 움직이면 원하는 언어로 입력이 가능하네요.

iOS 10 아이패드 사파리에서 동시에 두개의 탭 띄우기(스플릿 뷰)

iOS 10이 되면서 사파리에서도 스플릿 뷰(두개의 화면을 동시에 띄우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만, 어떻게 사용하는지 잘 모르겠어서 검색을 해봤습니다. 생각보다 아주 간단해서 허무했습니다. 방법을 설명합니다.

  1.  동시에 띄우고 싶은 탭을 띄웁니다. 이미지에서는 애플(미국)과 애플(한국) 사이트가 띄워져 있습니다.
    img_0172
  2. 탭 부분, 그러니까 이미지의 Apple(대한민국) 부분을 잡고 화면 우측 끝으로 움직입니다.
    img_0173
  3. 두개의 창이 열렸습니다.
    img_0174
  4. 되돌리려면 다시 탭을 잡아서 화면 왼쪽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img_0171

간단하죠?

9/16 6:54 추가 :  떠돌이(@bugbear5)님이 알려주신 팁입니다.

링크를 길게 누르면 ‘Split View에서 열기’가 나옵니다.

길게 눌러 메뉴에서 스플릿뷰 호출

여러 국가 앱스토어를 사용할때 사용자ID/비밀번호가 맞음에도 오류가 날때

여러 국가의 앱스토어를 쓰다보면 로그인을 한 후 다른 국가의 주소를 쳐야 합니다. 여기까지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물론 구글플레이처럼 풀다운 바로 이동 가능하지 않은건 불편하지만요). 여튼 잘 쓰다가 갑자기 ID나 비밀번호가 틀렸다는 오류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우선 http://appleid.apple.com 에 들어가서 ID와 비밀번호가 맞는지 확인하는게 필요합니다. 만약 알고 있는 ID와 비밀번호로 잘 로그인이 된다면, 그때는 로그인한 Apple ID 사이트에서 메일 주소를 다른걸로 변경해 주십시오. 그리고 로그인을 시도하면 감쪽같이 로그인이 됩니다.

스큐어모피즘에 대한 단상에 대한 초기 반응 소개

스큐어 모피즘에 대해서 오늘 아침에 쓴 글이 트위터에 발행이 되자 좋은 의견이 여럿 달렸기에 여기서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편, 이런 기술적인 측면에서 의견도 있었습니다.

https://twitter.com/polarabbit_/status/706400126458163200

https://twitter.com/polarabbit_/status/706400886327611392

정리를 해보면 기술이 더 발전 한다면 돌아올지 모르지만, 적어도 현 시점에 있어서는, 스큐어모피즘으로써의 전환은 시대의 필요에 의한 선택이었다는게 결론인 것 같습니다. 이건 덤으로.

https://twitter.com/polarabbit_/status/706401612923740160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신: 의견은 계속 기다리고 있습니다. 언제든 부담없이 의견 주십시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