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투니버스

  • 투니버스의 SD방송과 너에게 닿기를의 투니버스 방영

    작년부터 올 초에 걸쳐서 NTV에서 방영했던 너에게 닿기를이 투니버스에서 방영된다는 모양입니다만, 한가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아실런가 모르겠지만 이 애니메이션 완벽하게 16:9 화면비를 상정하고 만들어진 HD 애니메이션입니다. 뉴타입을 보다보니 내달 말에 방영 한다기에 다시 한번 보고 있는데 화면 좌우에 가상선을 그려놓고 투니버스의  ‘평소대로’ 좌우를 잘라내면 ‘쩝’이 됩니다. 어떤 구도에선 주인공이 통째로 잘려나가고, (구도상 엣지에 치우친) 투 페이스샷에서 한명 얼굴이 반쯤 잘려나가 버립니다.. 뭐 수도 없습니다.ㅡㅡ;  보통 HD 제작 프로그램에서도 가급적 ‘세이프티 라인(4:3으로 잘려도 크게 지장없는 라인, 카메라에 가이드가 나오는 기종도 있습니다)’안에 넣으려고 합니다(한국의 모든 HD 방송은 이 원칙을 100% 지켜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한국에서는 “절대로, 단연코” 주요한 인물이나 사물이 이 구역 밖으로 나오는 일은 없습니다. )만 자비가 없군요. 뭐. (이건 현재 일본 텔레비전의 추세입니다. 거의 아날로그 텔레비전을 어떻게서든 구축(驅逐)하려고 아날로그 방송에는 방송국 로고 대신에 아나로그라는 뵈기 싫은 글자를 같다 박고 있고 수시로 종료 예고 자막을 흘려보낼 뿐 아니라, 한국과는 달리 이제는 자비 없이 16:9의 좌우를 활용합니다. 영상 뿐 아니라 심지어 뉴스나 쇼의 자막까지도 16:9의 좌우를 다 채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로 방송시 양옆을 잘라서 되도록 꽉채워 보내는게 많았으나, 이제 점점 레터박스로 보내는 비율이 늘고 있습니다. )

    제가 이걸 어찌저찌 일본 아날로그 방송을 통해 방영중에 봤었는데,  그런 까닭에, 일본에서도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레터박스 방송으로 했습니다. 4:3으로 하다가 방송직전이 되면서 쫘악 16:9 레터박스 사이즈로 스퀴즈가 되면서 아날로그 방송은 언제부로 끝납니다 지금 디지털로 전환하라는 요지의 자막이 아랫쪽 블랙바에 흐르며 협박(?!)하며 말이죠.

    뭐, 투니버스도 지금까지는 잘라낼 수 있는 것은 재주좋게(?) 잘라내 쓰다가, 더 이상 도~저히 안되겠던지 명탐정 코난 8기부터는 레터박스로 가던데….  쩝. 애니플러스(이 친구들 좀 문제가 있는게 HD 애니메이션을 SD 채널로 틀때 레터박스가 아니라 그냥 양옆 자르더군요. 흠… 엔딩이나 타이틀의 글자 짤리는거 보니 기분이 심히 멍하더군요. )도 HD로 시작했고, 애니박스도 HD를 시작했으니 이제 슬슬 투니버스도  HD 준비를 하지 말이죠… 어차피 트는 애니 과반수가 일제(?)고 일본 애니에서도 제작비 부족에 절규하는 그나마 그것도 연중, 아니 방휴에 들어간 은혼 정도가 아니고서야 거의다 HD 제작 아닌지…  우리나라에 수입될 정도의 크기의 애니메이션 신작 애니메이션 정도라면 거의다 HD 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투니버스가 좋아하는 것들 있잖아요.  케로로, 코난, 원피스 등등.  케로로는 ‘지데지’ 이후 방송이고 스폰서가 빵빵한지라, 어느새 부터 모두 HD 입니다(지못미 긴토키).  넵, 보시는 모든건 투니버스가 재주껏 양옆을 커트해서 들여오고 있죠 ㅡㅡ;
    아, 그거 잊었네요. 투니버스에서 트는 신작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가령 롤링스타스 HD입니다. 아기공룡 둘리 HD입니다. 또 뭐가 있냐… 아무튼 최근 우리나라 공중파가 개입되어서 제작된 신규 애니메이션 죄~다 HD입니다. 저처럼 야행성이 아니시라면 사실 평소에 투니버스에서 그거 하긴 하는거야 하시겠지만.
    온미디어가 뭐 요즘 CJ 오쇼핑에 잡히셔서 정신은 없으시겠지만, 어찌됐던 사업은 계속하셔야겠죠? 챔프를 비롯한 쪽은 CJ ‘미디어’고 말입니다(2010년 6월 30일 온미디어 IR 홈페이지 기준으로, 온미디어는 (주)CJ오쇼핑이 55.17%를 소유한 자회사입니다. CJ 오쇼핑은 법적으로 지주회사이며, 또 다른 지주회사인 (주)CJ가 소유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따라서, CJ입장에서, CJ오쇼핑은 자회사, 온미디어는 손자회사입니다. 복잡하죠?

    참고로, 8.13일 CJ오쇼핑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CJ오쇼핑은 홈쇼핑 부분을 남기고 미디어부문을 9월 1일자로 ‘오미디어홀딩스’로 분할키로 했다고 공시했습니다). 그룹은 같~아도, 회사는 달~라요~  즉, 남남입니다. 차 사보셨으면 현대 기아차 생각하시면 됩니다. 요즘 중형차 대형차 시장 보시면 뭐 두 회사간의 카니벌이죠. 뭐 예전만큼 비방하고 물어뜯고 뭐 하면 제소하고 이런식으로 ‘살벌하게’ 놀진 않겠지만, 회사가 다르니만큼 ‘쟤 봐주려고 살살 쳐줬어요’라는 핑계가 통하지 않는다는거는 뭐 아실겁니다 ㅡㅡ;  저는 CJ그룹쪽의 노림수라고 생각합니다만…  서로 적당히 싸우고 약간은 말이 통하는 수준으로 1,2위 MPP를 내손안에 두면서 시장을 지배한다. 흐음 좋아요. 아까 현대차 얘기했는데 K5하고 소나타 싸우고 K7하고 그랜저 싸워봐야 결국 웃는건 정회장님이십니다 후후훗.  이걸로 현대차가 버닝해서 신차가 더 잘나오기를 기대하고 있을겁니다.

    해서, 투니버스가 케이블에서도 시청률 상위 채널입니다. 물론 이걸 HD로 시작하면 아마 HD에 못넣겠다…. 라고 할 SO는 없을 겁니다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원한다면 당장, 온미디어와 CJ오쇼핑 계열의 SO에만 넣어도 됩니다(넵, CJ헬로비전 보시나요? CJ헬로비전이 오쇼핑 자회사입니다, 그외에 오쇼핑 자회사인 온미디어 자회사에 또 SO가 몇개 있습니다. 몇겹이냐 너;;; ) ㅡㅡ;  순수히 채널 자체의 힘으로만 보더라도 OCN이나 CGV HD 안넣는 데 없듯이… 거기에 온미디어가 아무리 예전만한 위세는 못하더라도 무시못할 수준이라고 판단하고 있구요.
    그러니까. 중요한건 모멘텀인데… 이제 슬슬 HD로 해보시죠?  라는 생각이 드는겁니다. 하고자 한다면 솔직히 말해서 HD 케이블 채널들이 하고 싶어도 할 컨텐츠가 없어서 못하고, 해도 틀어줄 채널이 없어서 못하는 판국인데, 틀 컨텐츠 빵빵해, 틀어줄 채널 많아…  뭐, 배가 부른게지 뭐….; 한마디로 HD로 돌릴려면 (송출 및 제작 장비 전환) 돈드는데(사실 할 돈이 없는건 아니지 싶은데… 솔직히 말해서 HD채널 가장 많이 굴리는 PP가 온미디어일겁니다). 안들여도 장사 잘되니까. 에고, 그렇다고 저쪽의 챔프는 죽어라 도라에몽이나 틀어대고 앉아있고, 애니플러스는 아직 클라면 한참멀었고… 애니박스는 “틀게 없고”…  투니버스는 배불렀다고 세월아 네월아. 어이쿠야.
    뭐 이걸 굳이 연관시키고 싶지 않습니다(시간적으로 연결해서 생각하긴 좀 무리긴 한데, 만약 향후 CJ측의 경영이 개입된다면 이런 뒤늦은 마인드가 어떤 영향을 가져올지. 그나마 자회사인 CJ헬로비전은 케이블 업계 최고 수준인 HD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니 고거에 위안을 삼아야 하나…. )만, 현재 홈쇼핑 방송중에서 HD 제작으로 이관하지 않은 곳은 농수산홈쇼핑하고 CJ오쇼핑 밖에 없습니다. (현대->GS->롯데 순으로 완료) 농수산홈쇼핑이야 그렇다손 치더라도.  으음….
  • 케이블 TV 채널의 컨텐츠 국가별 방송시간 및 시간대 제한을 제안하면서

    일전에 했던 말을 하나 취소하고자 한다. 아니 정정 했으면 하는 것이 있다. 슬프게도… 라는 이전글의 내용중에서 애니메이션의 국적별로 쿼터를 정하는것에 반대를 했었다. 글쎄… 지금으로써는 애니메이션의 국적별 쿼터를 유지하는 것에 찬성을 했어야 했다라는 결정을 내렸다.

    한편으로 더해서, 그 방송시간의 경우도 어느정도 제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가장 수위를 점하는 케이블 TV 만화 채널인 투니버스에서는 국내 제작 애니메이션은 꽤 인기를 끈 작품이라도 초방 이후에는 심야인 1시 이후에 편성을 하고 있어서 사실상 대상층인 아이들에 멀어지게 하고 있었다.

    어 이거 재미있는데? 싶은 작품이 초방 이후에는 심야로 넘어가서 국내애니메이션을 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성인인 나도 자는 시간에 방송하는 것을 아이들이 볼리 없잖은가…. 이런식으로 애니메이션의 국적 쿼터를 때운다는것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기왕하는 제재라면 보다 현실적인 제재를 가하는 것이 좋지 않겠는가? 라는 생각이 심야시간에 하는 국내 애니메이션을 보고 들어서 하는 생각이었다. 이 애니메이션은 심야에 짱박혀있을 애니가 아니란 말이다…

  • 슬프지만…

    우선 제도 자체에는 문제가 없다는 김중태님의 말씀에는 공감을 합니다만, 우리나라의 미디어 정책에는 상당히 불만이 많은 사람중 하나입니다. 정말 정말이지 우리나라 미디어 규제는 전면적으로 재검토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 미디어 제도는 솔직히 일분일초가 경각을 다투는 현대의 미디어 구조에서 미디어 재벌이나 정부의 이익은 보장해줄지언정 결코 시장의 개방성과 다양성은 보장하지 못합니다.

    김중태님을 비롯한 많은 블로거 여러분께서는 그간 개방된 표준에 많은 지지를 보내신걸로 압니다. 저 또한 Mac을 사용하고 있고, MS 운영체제와 브라우저를 아우르는 사유(proprietary) 프로그램 정책에 문제점을 누구보다 잘 압니다.

    우리나라에서 인터넷을 사용하시는 대개의 분들께서는 아마도 우리나라의 브로드밴드 환경이 무척 진보되어 있다라는데 동감하실것입니다. 그러나 실상 그것을 지탱하는 법률은 규제일변도에 일부 업체 편들기를 노골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일본의 소프트뱅크와 미국의 Vonage가 인터넷 전화를 시작해서 정착시킨지 많은 시간이 흘렀습니다. 소프트뱅크의 주장에 따르면 이미 IP전화 서비스 BB폰의 가입자수는 이미 전체 브로드밴드 가입자의 30%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우리나라에서 070 번호로 인터넷 전화를 묶어두고, 시내전화 사업자들의 압력에 못이겨서 시내전화요금보다 비싼 인터넷 전화를 쓰도록 만들동안에, 미국의 보나지에서는 무제한 통화 플랜을 위시해서 다양하고 저렴한 요금을 선뵈고 있으며, 또한 기존 시내번호를 우리나라의 번호이동(MNP)처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점이 고무적입니다.

    방송 쪽은 더욱더 가관입니다. 요즈음 뜨거워지고 있는 하나TV같은 서비스는 이미 미국과 일본에서는 1~2년전부터 도입이 시작되었던 서비스입니다. 우리나라가 방송과 통신의 역무 문제로 서로 치박고 싸울때 저쪽에서는 실용화는 물론, 상용화까지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위성방송은 또 어떨까요? 싱가폴이나 말레이시아, 일본은 말할것도 없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마도 남아프리카나 저 이라크보다도 폐쇄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을 것입니다. 정부의 해외 방송 쿼타로 인해서 CNN이 방송되자 NHK가 중단되고, Discovery채널이 방영되니 카툰네트워크가 배제되는 등 그야말로 코미디도 이런 코미디가 없습니다. 또 하나 들어보일까요? 케이블 채널은 이론적으로 120개 이상을 수용할 수 있습니다. 그건 아실겁니다. 그런데 전국 어디를 살펴보아도 100번 넘게 채널을 배정하는 곳을 보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모든 SO가 매년 해마다 채널 편성때문에 아우성이 나죠. 왜그런지 아십니까? 간단합니다. 2004년까지 T모 방송사의 한 SO가 90번을 넘겨서 편성을 짰더랬답니다. 그러자, 정부에서 TV에서 허가된 주파수 대역너머로 방송했다고 그것을 중단하지 않으면 일당 과징금을 물리겠다고 했다는군요. 세상에, 전용망으로 구축된 케이블에 주파수 간섭이 어딨다는 말인지 말입니다.

    분명히 정부의 미디어/통신 관련 쿼터와 규제는 잘못됐습니다. 분명히 생각할 것은 만일 미디어의 원산지가 중요한 것이라면, 우리나라 정부가 제일먼저 걱정해야하는 건 어느나라의 수입량을 제한하는것이 아니라, 위성방송의 재중계를 푸는게 우선입니다. 제가 사는 지역에서는 NHK를 보기 위해서 위성 접시를 달아야 할 판입니다. CNN이나 폭스 뉴스, CNBC는 말할나위도 없고, 프랑스나 독일채널은 꿈도 못꾸죠.

    솔직히 미국의 경우에는 에코스타에 한국어로 한국방송을 하는 채널도 있는걸로 압니다. 그런데 만약에 그 채널에 FCC가 딴지를 걸어서 미국어 방송을 일정시간 이상 규제했다고 해봅시다. 이런 코미디가 없을 겁니다.

    애니메이션의 경우 물론 유럽을 비롯한 미국 등의 국가의 것도 많이 있습니다. 또한 유럽 국가내에서 자국 혹은 동문화권의 애니메이션이 인기를 끄는것 또한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것은 쿼타나 강제적인 문제가 아니라, 그 나라 국민들이 자국 애니메이션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마치 우리나라 영화가 스크린쿼터 의무 상영일수(개정전 이던 후던 간에)를 훌쩍 뛰어 넘는 것과 비슷한 것입니다. 만약에 우리나라 극장에 우리나라 영화가 너무 많아서 다양성이 침해되니 다른 나라 영화를 트시오 라고 하는것과 무엇이 다릅니까?

    만약 공중파라면 김중태님의 의견이 옳을지도 모릅니다. 공중파는 누군가의 사유재산이 아니라 모든이의 공공재이기 때문입니다. 주파수자원은 한정적이고, 모두가 케이블이나 위성 등 다채널 매체를 접할 수 있는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되도록 많은 이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어떠한 국가등에 편향되지 않은 편성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케이블 채널은 다릅니다. 케이블/위성 채널은 그야말로 전문성을 띄고 있는 채널입니다. 그야말로 수백개의 PP(Program Provider;여기서는 투니버스가 될수 있겠네요)에서 경쟁을 거쳐, 수십개의 채널만이 SO를 통해 재전송될수 있고, 그 중에서 단 한개의 채널만이 선택받을 수 있으니까요. 무척 빡빡한 경쟁입니다. 개인적으로 봤을때, 투니버스는 채널의 시청자층에게 어필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 일본 애니메이션이라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솔직히 대다수의 분들은 ‘애니’를 본다라는 말을 곧 일본 ‘애니메’를 본다고 해석 한다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만약 투니버스가 공중파 채널이었다면 당연히 그러한 편향을 바로잡아야 하겠습니다만, 이것은 케이블 채널이기 때문에 저는 그럴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아니 그럴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만일 일본 애니메이션이 보기 싫다면, 채널을 돌리기만 하면 될 뿐이고, 요금을 내지 않으면 될 뿐이니까요. 만약 그 정도로 다른 국가의 애니메이션의 수요가 있다면 이네들도 10년이 넘도록 장사를 하고 있으니 그냥 입다물고 일본 애니메이션만 수입하겠다고 버티지는 않겠지요.

    중태님의 블로그에 지나치게 IT에 관한 내용만 나오는 것은 문제니 IT에 대한 언급을 전체 포스트중 어느 정도로 줄이십시오. 라고 간섭하는것과 다를게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 솔직히 중태님의 블로그에 요리 레시피를 보려 접속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테니까 말입니다(물론 중태님의 요리 레시피가 올라온다면 얼마나 인기가 있을지는 저는 알턱이 없지만요)

    그렇게 정부가 다양성과 열린 구조에 관심이 있었다면, 퍼블릭 액세스 채널(시민 참여 채널)이나 강제시켰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