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소니코리아

  • 우리나라에서 수입 제품이 비싼 이유

    내가 전자 제품과 광학 제품의 가격 문제를 몇번 거론한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깐 그것이 굳이 한두가지 부문의 문제가 아니란걸 알게됐습니다. 또 굳이 말해도 보따리상일 수 밖에 없더라구요. 왠 줄 아십니까??

    정말 보따리상이거든요!?

    생각해보세요. 만약에 여러분이 여러분이 사는 지역에 작은 회사를 차렸다면 어떻게 회사를 영위하시겠습니까? 당연히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하거나 만들어서 이윤을 붙여서 판매해야 합니다. 만들 때 든 원재료와 가공에 필요한 노력, 혹은 재화나 용역을 구입해 온 가격과 고객에게 제공한 가격의 차이가 이익이 됩니다. 그 이익은 출자 비율에 따라 배분되죠. 그 수는 혼자일수도 있고, 주식회사 같이 본격적인 규모의 회사면 세지 못할 정도로 많을겁니다. 이건 누구나 압니다.?
    사업이 꽤 확장이 되어서 다른 지역에서도 제품을 많이 필요로 하는데 그곳과 본사는 좀 떨어져 있어서 본사에서 제품을 조달하거나 각종 요구사항 등의 처리에 애로점이 있을 경우에는 우리는 그곳에 지사(branch)를 만듭니다. 지사에서는 지역내의 고객의 요청 사항에 따라서 물건을 본사에 주문하고 또 주로 취급하는 제품은 지사가 보관해두었다가 신속하게 고객에게 제공할 수도 있을 겁니다. 요컨데 만약에 그 지역 특성상 특정 제품은 필요가 없고, 특정 제품만 필요하다거나, 어떤 특정한 요건이 필요하다면, 본사에 그 사항을 알려서 그 지역 고객에 맞는 제품들을 미리 갖춰놓을 수가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지사를 만들어서 물건을 팔았습니다. 당연히 지사에서 물건을 팔면, 제품을 팔고 남은 이익으로 지사를 굴려야죠. 지사도 결국은 여러분 회사의 일부이므로, 지사를 굴리는 비용 또한 여러분 회사를 굴리는 비용이 되는건 당연한 겁니다. 다시 말해서 여러분의 회사, 즉 본사가 팔아야 할 것을, 편의상 지사를 두어 판매하게 하는 것이거든요. 여러분은 지사 운영비용을 빼고 거기서 남은 이익을 갖습니다. ?
    좀 인터내셔널하게 가보죠. 여러분의 회사가 정말 잘나가서 해외에서도 고객이 있어서, 지방에 지사를 만든것과 마찬가지 이유로 해외지사를 만들죠. 솔직히 하는일은 지사와 똑같지만 다만 중간에 국경이 있어서 관세가 좀 더 든다는 것과 물류비가 좀 더 든다는 점, 그것 뿐입니다. 사실 지사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의도적으로 현지 법인의 존재이유를 넌지시 말씀드렸기 때문인데…?
    만약 정말 소니코리아라던지 BMW Korea 라던지 하는 수입업체(importer)가 아니라 현지 법인이라면 본사에 지불해야할 금액은 본사가 직접 챙기지 못한 마진 뿐입니다. 뭔 얘긴지 아시겠습니까? 자기?회사 제품을 자기 회사에 마진을 붙여서 넘겨주는 일은 있을 수 없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지사의 개념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겁니다. 따라서, 국경을 넘어 ‘수입’하면서 들여오는 금액은 본사의 내국비용 일체를 덜어낸 원가여야 정상이라는 말씀입니다. 그리고 나서 직원 월급이나 사무실 비용 등을 포함한 사업 유지 비용, 현지법인이 위치한 국가의 내국세 정도를 덜어내고 난 금액을 본사로 송금하는 것이 현지 법인의 정상적인 금전 순환 구조(cash flow)겁니다.?
    토요일 16:25분 추가 : 현지법인도 결국은 별개의 법인이므로, 물건을 준 이상 돈거래를 해야할 지도 모르겠군요. 그리고 약간의 이문을 붙여야 또 본국에서 굴릴 여력이 있다는 것까지도 이해는 갑니다. 헌데 도대체 어째서 해외 업체들은 판매를 해서 생기는 이득도 가져가면서, 애시당초 이문을 붙여 현지법인에 ‘파는것’입니까? 그 이문을 붙여 파는 가격이 한국이 아니라 제 3국에 판매되는 값이 압도적으로 비싼 것은 왜입니까??
    그런데 대다수의 수입업체들은 ‘현지법인’이라는 우월적인 지위를 악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등신짓도 합니다. 본사의 제품을 사올 뿐만 아니라 그 가격은 또 본사의 마진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자신들의 비용과 이익을 덧붙여서 한국 소비자에게 팔고 거기에 이익을 본사에 송금해서 이중으로 마진을 해쳐먹고 있단 말입니다. 설령 만약에 수입원가가 본사에서 백보 양보해서 자국판매가격 정도로 정해졌다 치더라도(앞서 말씀드렸지만 이것도 백보 양보한겁니다, 자기 회사 제품을 자기 회사에 마진을 붙여서 넘겨주는게 가당키나 합니까?), 그런 경우에는 수입업체가 폭리를 취하는 것이 더욱 여실해지는겁니다. 그런데, 전자 제품은 모르겠으나, 자동차 같은 경우에는 정말 미/일 보다 비싸게 들여온다죠??
    물론 본국에서 판매되는 가격이 타국에서 판매되는 가격보다 저렴할 수는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4천9백만원 짜리 TV의 본국과의 가격차가 1,600만원인 것처럼 어이없이 차이가 나선 안됩니다. 자동차는 더 말할것도 없죠. 누가 이 비즈니스 모델을 고안했는지는 모르지만 정말 이런 장사라면 저도 좀 하고 싶네요. 보세요, 원가보다 비싼 가격에 사서 일차적으로 이문을 남겨주는데, 거기에 또 터무니 없는 마진을 붙여서 팔아서 남는 마진에서 비용을 제외한 이문을 또 본사로 송금해주니 말입니다.?
    몇년전 부터 자동차나 전자업계의 현지법인이 봇물처럼 생겼는데… 그거 따지고 보면 길어야 9~10년전 부터입니다. 원래 그전에는 수입업체가 본국의 제품을 사서 수입해와서 이문을 붙여서 팔았죠. 그런데 아마 본사로 봤을때 이거 꽤 괜찮은 장사였을겁니다. 그러니 너도나도 한국에 간판 걸고 수입 시작해서 이 장사를 하는겁니다.
    전 경영학도가 아닌 영문학을 공부하는 학생입니다. 그렇지만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경영쪽을 공부하시는 분이라면 좀더 분석을 해주실 수 있겠지요. 아무튼간에 기본적인 핵심은 전 옳다고 봅니다. 이건 문젭니다. 고쳐야되요.?
    ps. 아마 서비스 문제도 당연히 이런 견지에서 해석해야 될겁니다. 자사 제품을, 자기가 수입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서비스를 하지 않는다는건 다시 말해서 자기가 그 회사의 일부가 아니라는 자인에 지나지 않는다고 봅니다.?
  • 소니코리아(+기타)가 보따리상 소리를 듣는 이유 2

    아는 사람은 아는 얘기지만 텔레비전을 구매하기 위해서 몇달전부터 잠항중에 있었다. 일단 후보에 올려놓을 수 있는 제품은 현재로써는 국내에서 구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국한이 되고, 사실상 삼성과 LG, 그리고 소니 정도가 대안이 되는데… 일단 삼성과 LG, 그리고 소니의 제품의 대략적인 파악은 끝난 상태이다… 근데 다만 내가 구입한 텔레비전이 워낙 학을 띄게 불편한 설계가 되어 있는 까닭에 OSD나 메뉴, 리모컨의 모양새와 쓰임새 따위를 알아두고 싶었으나… 이걸 실기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일단 가게에서 그렇게 하라고 내버려두지도 않을 뿐더러 한다 할지라도 상당한 양해가 필요하다. 그리고 가게에서 볼수도 없고, 또 점원이 얘기하지 못하는 함정같은게 존재하기 마련이다. 가령, 내가 가진 TV는 HDTV면서 720P를 인식하지 못하는 희안한 기종인데 어떤 점원도 이걸 얘기해주지 않아서 난처한적이 있다.?아무튼 여러가지 이유로 난 전자제품이나 소프트웨어를 비롯한 제품을 구입할 때 카다로그만큼이나 매뉴얼을 잘 살펴보는 편이다. 자동차의 매뉴얼도 여러권 읽어보았다.?


    그런데 유감스러운것은 소니 코리아를 비롯한 많은 보따리상 같은 현지 법인들은 한글 매뉴얼을 제공하는 것을 꺼린다는 것이다. 내가 소니 코리아에 브라비아를 사려고 하는데 46X3000 모델의 매뉴얼을 좀 봤으면 좋겠다고 하니까, 그건 정품을 사서 등록을 한 사람에게만 제공이 되는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답장을 했다. 아니 솔직히 말해서 다른 물건, 요컨데 캠코더나 카메라, 워크맨 같은 것이라면 병행 수입 제품을 사서, 한글 매뉴얼을 써볼까? 하는 심산일 수 있겠지만, 텔레비전 같은 경우에는 한국에서만 팔리는 한국 전용 사양으로, 어디에서도 정보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매뉴얼을 구한다고 했더니 대답이 가관이다.?

    설명서는 제품 가격에 포함된단다… 미쳐서… 그래 기가 차서 대답은 안했다만 여기서 지껄이면, 잘도 지껄인다, 그래서 소니 본사나 다른 전세계 소니 현지법인들은 흙파먹고 살아서 공짜로 설명서를 공개하는 줄아니? 실제로 보면 내가 산 보이스레코더도 핸디캠도 전부 다 일본에선 아무런 조건없이(심지어는 로그인 없이) 매뉴얼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그런데 한국에선 회원가입하고, 제품 시리얼 넘버를 등록해야 한단다…?

    비단 소니 코리아에 한하는 문제는 아니지만 하는 얘긴데, 제품 설명서를 만들고 판매하는 비용은 물론, 제품 원가에 들어가기는 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걸 제품 판매 가격에 포함하라는 것은 아니다. 이상한 얘기로 들릴진 모르겠지만, 모든 제품 소유자(owner)는 소유자이기 이전에 다시 말해서, 구매자(buyer)였기 때문에 모든 소유자에게 설명서 비용을 떠넘기면서 모든 구매자에게 설명서를 제공하는 것은 정당하다. 아울러 해외에서 제품을 수입하는 업자는 그 제품의 설명서를 번역하는 비용을 제품 비용에 떠넘기는 것은 부당하다. 로마에 가면 로마 법을 따르랬다고, 한국에서 팔고 싶으면 한국식에 맞추는 것은 당연하다. 소니를 예를 들면, 소니 제품 역시 자국과 미국에서 판매가격이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미국이 저렴한 경우를 간혹 볼 수 있는데, 한국식으로 계산하자면, 일본어 메뉴를 영어로 번역하고, 영어 설명서를 준비하고 미국 현지 서비스 센터를 준비하기 위해서 비용이 더 들어야 한다.?

    아무튼 소니 제품이 한국에서 싼것도 아니고… 결국은 그 제품을 살지도 모르는 사람한테 그렇게 박하게 구는걸 보니… 알만하다 싶었다. 뭐, 앞서 말했다시피 보이스레코더도 소니 코리아 제품인데, 매뉴얼이 흘린 커피에 젖어서 보기 흉하게 되었다. 일본에서 1만7천엔 정도에 파는걸 거의 2만 5~6천엔 상당의 금액을 주고 샀는데, 매뉴얼 한부 못구할까 싶어서 물어보니깐 다운받아 보란다…. 돌아버리겠다. 이십칠만원짜리 팔면서 거의 10만원 가까이 남겨쳐먹으면서도 설명서 하나 여분을 못주는데 사백만원 짜리 텔레비전에서 수입사 마진이 150만원이 넘는데 매뉴얼 한부도 더 못줄정도로 개같은 서비스를 보여주면 어쩌나 싶어서 걱정이 앞섰다.?

    참고로 비단 소니코리아 뿐 아니라 캐논코리아컨슈머이미징이나 니콘코리아 같은 회사도 비슷한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친구가 한국에서 산 내 EOS-20D를 빌려 일본에 갔다가 서비스가 필요해서 일본 도쿄 신주쿠 QR 센터에 가져가니 얼마나 친절하게 서비스해주는지 모르겠단다… 니네가 물건 떼다 파는 보따리상이 아니라 정말 본사의 출자 현지 법인이라면 그런식으로 장난하는거 아니다….?

    오늘 공정위에서 병행 수입을 장려하겠다고 했는데… 한번 잘들 해보시구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