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의 위기가 부른 나무위키의 위기

나무위키는 우리나라에서 액세스가 가장 많은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나무위키는 알렉사 한국 사이트 랭킹에서 44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이런저런 검색을 하다보면 나무위키가 상위에 나오는 것이 예삿일이 되다보니 나무위키를 레퍼런스로 삼는 우스운 일도 왕왕 벌어집니다. 읽기 쉬운 평어체고 원체 쓸데없이 많은 부분을 다루다보니 한번 보면 시간이 금방 가기 마련입니다. 실제로 읽으면 재미있고 도움이 되는 부분도 없잖아 있습니다. 

근데 왜 사람들은 나무위키를 “꺼라위키”라고 하는걸까요? 

생각해보면 위키위키의 기본인 NPOV(Neutral Point of View;중립적인 시각)를 포기하고 있고 독자 연구를 금지하는 위키위키의 기본이 깨져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독자적인 의견의 개진의 장, 내지는 좀 나쁘게 말해서 ‘세뇌’의 장으로 위키위키를 악용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저는 이것이 블로그의 위기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저는 나무위키와 리그베다 위키, 엔하위키에 익명으로든 기명으로든 꽤 기여를 했습니다. 그걸 자랑하는 것은 의미 없는 짓이니 어디를 어떻게 했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삼가겠습니다만 나무위키의 삽질이나 리그베다 위키 영리화 사태 등 소위 말하는 ‘병크’가 발생할 때마다 그냥 블로그에다가 썼으면 차라리 내 블로그가 살쪘겠구나 하는 후회가 남습니다. 

분명히 나무위키는 저와 같은 선의로 공공의 선을 위해 기여한 사람들도 적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지 않고서는 지금의 규모를 이루지 못했을 겁니다. 하지만 그렇게 쌓아온 것을 바탕으로 악용하고 있는 사람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자기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위키위키를 악용하는 것이죠. 

위키위키는 일기장이 아닙니다.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는 장소도 아닙니다. 자신의 주장은 블로그에 써야합니다. 독자연구도 마찬가지입니다. 자신의 의견을 관철할 근거가 없다면 그것은 백과사전이 아니라 블로그 기사가 되어야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블로그의 쇠퇴는 나무위키의 위기를 불러일으킨 장본인이라고 생각합니다. 

분명 나무위키가 ‘꺼라위키’가 된 것은 나무위키 내부의 규정과 규정을 단속하지 못한, 자정 작용의 실패의 결과입니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나무위키라는 위키위키에서나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상황이 이런 상황을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MarsEdit와 Ulysses를 사용한 블로그 포스팅

제가 워드프레스로 블로그 CMS를 옮기길 잘했다고 생각한건 티스토리가 외부편집기를 막았을때입니다. 만약 지금도 티스토리에 매달려 있었다면 꽤나 난감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워드프레스 상에서는 아시다시피 잘 되고 있고 맥을 산 지금은 MarsEdit와 Ulysses로 편하게 글을 쓰고 버튼만 눌러서 발행을 합니다. MarsEdit은 써보신분은 다 아실 정도로 블로그 친화적이고, Ulysses는 글쓰기가 참 편하죠. 

왜 티스토리가 점점 퇴화의 길을 가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다음이 티스토리를 반쯤 포기한 시점에서 그렇게 될 운명이었는지도요. 기술 업계에서 정체는 후퇴를 의미하니까요. 

문: 블로그의 방문자를 늘리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입니까?

문: 블로그의 방문자를 늘리는 가장 쉬운 방법은 무엇입니까? 

답: 누가 보던 간에 꾸준히 계속 올리는 겁니다.

 

 

 

로 끝내면 혼날테니 보충. 꾸준히 계속 올릴때와 안 그럴때 방문자 수는 차이가 매우 컸습니다. 검색엔진에 등록하고 (구글은 웹마스터 도구, 네이버 등은 사이트 등록)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SNS를 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포스트 링크가 올라가도록 하는게 좋습니다. 길게 퍼오는 내용보다 짧더라도 오리지널리티 있는 내용으로 채우면 구글에서는 높게 쳐줍니다.

죄송합니다. 뭐를 써서 올리려다가 까먹어서 일단 창을 열었으니 뭘 올리기는 해야겠고 해서 적어봅니다(나중에 덧붙입니다, 쓰려고 했던건 이거였습니다, 괜찮을까요 제 기억력?). 근데 농담은 아닙니다. 방치되거나 가끔 올릴때보다 매일 올릴때 훨씬 많은 방문자를 불러옵니다.

이 기사를 염두에 두고 짧게 썼습니다.

리노드로 이전

리노드에 서버를 빌리고, 고생을 거쳐서 겨우 LAMP(리눅스-아파치-MySQL-PHP)를 다 설치한 저입니다만, 도대체 이걸 어따 써먹지 고민했지만 결국 떠오른건 워드프레스 이전이었습니다. 지금까지 미국의 서버를 쓰고 그 중간에 CDN으로 클라우드플레어를 썼습니다만 역시 태평양을 건너는건 속도면에서 불리한걸 어쩔 수 없더군요. 거기에 클라우드플레어 CDN의 서울 노드가 200달러 어치 비즈니스 플랜에서나 지원이 되도록 변경된 마당이라… 그래서 이번에는 도쿄의 리노드 서버를 빌렸고, 속도가 체감할 수 있을 만큼 빨라졌습니다.

클라우드플레어를 쓰면 좋은 것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DNS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그냥 A 레코드를 리노드로 옮기는 것 만으로도 바로 적용이 됩니다. 좌우지간 평생 입력할 CLI 명령어를 다 입력해본 느낌입니다. 윈도우95를 쓰면서 CLI에 명령어를 쳐서 뭔가 잔뜩 움직이는 생활은 끝이라고 생각했는데 문서를 봐가면서 이것저것 배운게 많았습니다.

그리고 구글의 고마움을 다시금 느꼈습니다.

페이스북에 광고를 해보다(=트위터가 왜 어려울까)

블로그를 하다보면, 특히 광고나 협찬 같은거 없는 블로그, 더욱이나 매년 도메인과 매달 호스팅 비용을 내는 블로그를 하다보면 현실적으로 얻을 수 있는 거라고는 내 글을 누군가 보겠지라는 조그마한 희망이고 애널리틱스를 보면서 새로 올린 글이 좋은 반응을 얻거나 구글 검색이나 네이버 검색을 스스로 해보면서 몇 페이지째에 있나를 살펴보면서 앞에 나와 있으면 좀 기쁜, 뭐 그런 정도의 것 밖에 얻을 수 없습니다.

결국은 우리 모두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있고 자신을 뽐내고 싶은 욕구가 적거나 많거나 있다고 봅니다. 트위터를 하면서 오타쿠적인 얘기를 하다가 가끔 블로그 얘기를 할 때 블로그를 구독하고 계시다는 분을 종종 접하는데 RSS까지 구독해가면서 따라와 주시는 분들은 매우 고마운 분들입니다. 지금 보고 계시다면 고맙다고 인사를 드리고 싶네요.

구글 애널리틱스를 돌리면 처음 방문자와 재방문자 비율이 나오는데 재방문자 비율이 높지는 않는데 일단 처음 방문자가 늘어야 당연히 재방문이란것도 생기기 때문에 일단 효과적으로 방문 수를 높이는 데는 검색 등으로 포스트를 노출시키는게 아주 중요합니다.

지난번에 에어팟에 대한 글을 썼는데 페이스북에 발행을 하고나니 6,000원을 내면 최소 천몇백회의 노출을 얻을 수 있다는 홍보가 나왔습니다. 한번 호기심이 들어서 광고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일단 너무 연세가 있는 분들을 제외하기로 했고, 애플과 스마트폰, 아이폰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좁혔습니다(예 이런게 모두 가능합니다). 사는 장소는 처음에는 서울로 했다가 나중에 한국 전체로 넓혔습니다.

페이스북 광고를 하면 광고의 효과를 실시간으로 매우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고, 어느 연령과 성별의 방문자에게 얼마나 노출이 되고 얼마나 클릭을 했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오디언스를 넓히거나 좁힐 수 있습니다. 아까 언급한 지역을 넓히는 것도 있고 광고를 처음 집행했을때는 여성도 포함을 했는데 그다지 좋지 않았습니다. 노출 대비 클릭수가 낮았기 때문에 클릭당 비용이 남성에 비해 너무 높았죠. 그래서 여성을 제외하고 남성으로 노출을 집중했습니다.

결과적으로 24시간동안 6000원을 들여서 1525명에게 노출이 되었고 4.3%인 66명이 링크를 클릭했습니다. 제 블로그의 평소 방문자 수를 생각하면 66명은 꽤 많은 수치입니다. 덕분에 광고를 집행하는 기간 페이스북에서 유입도 엄청 늘었고 에어팟 포스트도 많은 방문자를 불러들였습니다. 결국 늘어드는 방문자 수와 페이스북 광고 상황을 보면서 ‘아이고 방문자를 돈으로 산 기분이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기분이 아니라 실제로 그랬으니까요.

마치 게임을 하면서 인앱 결제를 하면서 게임을 유리하게 공략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람들을 향해 노리고 광고를 해서 방문객을 끌었으니까요. 방문객에게는 타임라인의 수많은 업데이트 중 하나로 자연스럽게 보였을 것이고(광고처럼 대놓고 유인하지 않았으니까요) 클릭을 했습니다. 뭐 저야 신기한게 있으면 이 광고 저 광고 눌러봅니다만 (사실은 그것도 타게팅 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만) 광고를 누르는 비율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것을 생각하면 꽤 괜찮은 수치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매번 몇천원에서 몇만원을 들여서 방문객을 ‘사지는’ 않을 겁니다만, 정말 이 글은 퍼뜨려야곘다라고 마음 먹었다면 또 한번 써볼까 라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라고 생각했습니다. 즉, 저는 페이스북 광고에 만족했습니다.

이야기를 트위터로 돌리겠습니다. 트위터는 일단 익명이고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습니다. 트윗을 바탕으로 어느 정도 타겟 오디언스를 설정 가능합니다만 이상한 영어로 된 광고가 나오지 않나 (쓰기 방향이 반대인)아랍어를 비롯해서 읽을 줄 모르는 포르투갈어였을까요. 아무튼 그런 광고가 나오지 않나 광고를 보는 입장에서 광고가 제 주인을 찾지 못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노출이 돈이고 클릭이 돈이니 돈을 주고 광고를 사는 입장에서 이건 결코 좋은게 아닙니다.

제가 광고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견지는 간단합니다. 광고를 광고하는 광고가 있을 경우 그곳에 광고하지 않는게 현명하다는 겁니다. 그리고 트위터는 한마디로 트위터의 광고가 적지가 않습니다. 페이스북은 그렇지 않죠. 페이스북은 제가 그렇게 했듯 정말 노린 듯하게 광고가 나오고 있죠.  근처에서 알라딘 중고 서점이 문을 열었을때 저는 그 광고를 본적이 있습니다. 어디 사는지 알기 때문에 할 수 있는 광고죠. 저만해도 애플을 좋아하고 아이폰을 가지고 있는 젊은 사람이라면 최근 나온 에어팟 리뷰에 관심이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그렇게 주문을 했고 폭발적이진 않아도 흡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습니다. 트위터로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렇게 보면 왜 트위터의 실적이 안좋고 페이스북이 구글에 다음가는 디지털 광고처가 되었는지 매우 쉽게 이해할 수 있고, 페이스북이 돈을 벌고 트위터가 돈을 까먹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트위터는 트위터와 사용자를 분석하는 툴을 가지고 있는 자회사가 있습니다. 다만 수많은 언어로 된 수많은 트윗을 분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 결과가 제가 아랍어로 된 광고를 보는 것이겠죠.

텔레그램으로 옮겨가기 전에는 트위터는 ISIL의 주요한 선전홍보 매체였습니다. 아시다시피 ISIL에 가입하러 건너간 김군이었나요? 그 친구가 ISIL의 모집책과 최초로 접한 매체가 트위터였잖습니까? 이건 트위터의 익명성과 가장성에 기인하는 것이고 실제로 저는 저를 사칭하는 복수의 계정에 시달린 적이 있습니다. 트위터는 이런 경우에 대한 대응이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오프라인을 통해 협박을 해야했고 결국 그럼에도 계정은 그대로 남아서 스스로 @멘션을 할때마다 그 ID가 나오기 때문에 아주 눈엣가시였지만 이젠 아예 나와도 무시하는 수준이 됐지만 남은 또 어떨지 모르겠습니다.

익명성과 가장성을 가진 매체에서 얼마나 효과적인 광고가 가능할지는 매우 궁금합니다. 트위터가 모든 링크에 애널리틱스를 붙인것도 단순히 방문수를 체크하기 위해서가 아닐거라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어떤 링크를 클릭하는지 어떤 사이트의 링크를 누르면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어느 나라의 링크를 누르면 어떤 나라의 광고가 나와야 하는지 파악하는 실마리가 될 지 모릅니다. 왜 그렇게 끈질기게 클립스튜디오 광고가 나왔는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건 한국어입니다. 전 오타쿠니까요.

그런고로 마냥 트위터 광고를 어둡게 보지는 않지만 트위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수를 생각해보면 그리고 치우친 성향을 생각하면… 음 그렇네요, 오덕오덕한 글을 써서 그걸 퍼뜨리고 싶은 경우를 제외하면 적어도 제가 같은 6천원을 쓴다고 해도 트위터에 광고를 하는 일은 없겠지요. 제가 보기엔 다른 사람이래도 다를 것 같지는 않습니다. 이 문제를 트위터는 어떻게 풀지 궁금합니다. 결과에 따라 진짜 트위터가 문을 닫느냐 아니냐가 결정될 수도 있는 문제니까요.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