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는 윈도우PC에” 라는 방침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윈도우PC를 먼저 샀다가 사이클이 엉키고 금전 사정이 여의치 않아서 새 맥을 사는데 2년이 걸렸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SSD 용량이 좀 남고 프로세서 성능도 좀 받쳐주니 Office라던가 기타 한국적(?)인 일을 하기 위한 가상머신을 사용하는게 어떨까 싶어서 고민중입니다. 어차피 싱크패드에 VMWare에서 돌리는 윈도우 10이 있으니 불러들여서 라이센스 이전하면 될 것 같기도 하고 말입니다. 어떤 솔루션을 쓰느냐 정도가 남은 문제입니다만 가장 보편적인 솔루션은 Parallels인데 디자인이 영 제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로고부터가. 게다가 구독제죠. 성능이나 기능은 가장 낫다고들 합니다만. 그렇다고 지속적인 개발이 의심되는 VMware를 하자니 그거 참… VirtualBox도 있긴 한데 흠… 고민하는 중입니다.
USB-C 이행 상황
맥북 프로 2018은 아시다시피 Thunderbolt 3(USB-C) 4개만 탑재하고 있습니다. 그 상황을 예상해서 여러 동글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씀 드렸었습니다.

사진의 동글과 케이블 말고 USB-C to USB 3.0 micro B 케이블(외장하드 등에 사용하는) 등을 준비했습니다. 두개 준비해서 하나는 외장하드에 하나는 블루레이 드라이브에 연결해서 쓰고 있네요.
결과적으로 말해서 전혀 불편함 없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SD카드 리더 같은 경우 USB-C 전용이다보니 맥북프로가 반품되었을때 USB-C 단자가 없는 싱크패드에서 쓸 수 없어서 골치를 썩기도 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자는 USB-C to USB 3.0 micro B 케이블, 그리고 USB-C SD 카드 리더, 그 다음이 USB-C to USB 동글과 이더넷 동글이네요.
사실 모든 동글 자체가 사용 빈도 자체가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다만 왜 micro B 케이블이 많이 사용되냐면 타임머신 백업을 위해 외장하드를 연결하기 때문입니다.
좌우간 USB-C로 이행은 사실상 완료되었습니다.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는 않습니다. 이 모든 동글을 파우치에 넣어서 이동시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맥북 프로를 교환하게 됐습니다
맥북 프로를 받고 당장 양품 아닌가 생각했습니다만 문제가 좀 있었습니다. 산지 3일 정도 뒤부터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나 싶었습니다. 맥북 프로에 부하를 주기 시작하면 팬이 본격적으로 돌기 전에 딱딱딱 하는 금속 피로 같은 음이 들리기 시작하더군요. 이 문제로 애플케어에 몇번 연락을 했고 소프트웨어적인 절차를 여러번 밟았지만 결국 어드바이저가 스토어쪽에 연락해주었고 기기를 교환하게 되었습니다.
회수 일정은 다음달 3일(월)에 회수해서 도착은 2주일 정도 뒤인 17일에서 18일 정도에 돌려받는다고 합니다. 허니문 기간에 푹 빠져 있었는데 찬물이 촤악 끼얹어지는군요. 맥 받고 나서 싱크패드는 한시간도 작업 안했는데 2주간 다시 굴락으로 돌아갑니다. 우울합니다.
명필은 붓을 탓하지 않는다고 하던데요?
명필은 붓을 탓하지 않는다고 하지만 저는 달필입니다. 프로나 전문가는 그날 그날의 컨디션이나 상황에 변함없이 임한다고 하지만 저는 아마추어지요. 글을 쓰는 분위기나 글쓰기 도구에 따라 글을 쓰는 모티베이션이 좌우되곤 합니다. 새 맥을 사고 나서 글을 쓰고 싶어지고 글을 쓰는 것은 글을 쓰기 좋은 툴이 있기 때문이고 덕분에 저는 생각하는 바를 쉽게 문자화 할 수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 글을 쓰기 좋은 툴이라는건 다르리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매우 단순한 툴인 Ulysses를 좋아하지만 어떤 사람은 마이크로소프트 워드, 아니면 아래아 한글을 좋아할지도 모르는 노릇이지요.
솔직히 맥북프로가 분에 넘치는 것 같습니다만.
맥북 프로가 분에 넘치는 것 같습니다. 당장 동영상을 찍어서 유튜브에 올리거나 RAW 사진을 편집하거나 아니면 팟캐스트를 녹음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글을 쓰는 것 만으로 괜찮은 걸까? 이 기계의 최고의 포텐셜을 뽑아 내는 것인가, 하는 회의가 드는 것을 막을 도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믿습니다. 글을 쓰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일단 글을 쓰는 것이라는 것을 말이지요.
결국은 도구인것을…
결국은 좋은 컴퓨터도 손에 익은 좋은 소프트웨어도 결국은 글을 쓰기 위한 도구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사소한 것에 기분이 좋아져서 최상의 컨디션을 발휘하는 경우가 있는 것처럼 기왕이면 다홍치마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T2 탑재 맥에서 NVRAM 리셋 절차(맥북프로 2018, 아이맥 프로 등)
절차는 기존과 같습니다. Command-Option-P-R을 동시에 누릅니다. 다만 T2 칩을 탑재된 컴퓨터에서는 딩 소리가 들리지 않으므로 기존처럼 소리가 두번 딩 소리가 들린 다음 놓을 수가 없습니다. 이 경우 애플 로고가 두번째로 나타난 다음에 사라진 후에 키를 놓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