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 S8 + 사용기 또는 리뷰

삼성 갤럭시 S8 플러스. 리뷰를 쓰려다가 너무 많아서 그냥 아이디어 노트를 그대로 옮긴다. 너무 늦은것 같다. 

  • S7은 삼성에 대한 인상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 애플만큼, 아니 어쩌면 애플보다 더 나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충격을 주었다.
    • 카메라는 특히 그러했다.
    • 애플페이 등이 없는 상황에서 삼성 페이는 가끔밖에 안썼지만 편리했다.
  • 갤럭시노트 7을 살까도 생각했었다.
    • 꽤나 좋은 기종이었지만 사려고 결정할 즈음 펑펑 터져나가기 시작했고
      • 리콜하면서 잠잠해지나 싶었는데 한번 더 펑펑 터져나가고 결국 흑역사가 됐다.
      • 덕분에 갤럭시S7의 수명이 늘어났다.
  • 과연 팡팡 터져나가던 갤노트7의 악명을 떨칠 수 있을까?
  • S8은 그 이상이었다.
  • 인상적인 크기의 디자인
    • 길쭉!
      • 아이폰 플러스와 큰 차이가 없다는게 재미있음
        • 폭은 좁다.
          • 한손에 착!
    • 얇음
      • 카툭튀 없음
    • 생각보다 무겁지는 않은 느낌
    • 피아노 글로시 메탈 테두리
      • 이거 기스 조심해야겠다…
    • 소프트웨어 버튼
      • 홈버튼?
        • 꾸욱 누르면 작동
        • 이거 애플하고 특허전으로 가는거 아냐?
      • 뒤로 /앱 스위치 버튼이 소프트웨어가 됨
        • 모퉁이의 정전식 버튼이 사라져서 아랫부분과 위를 쥐고 가로로 동영상을 볼 수 있음
          • 사실 좌우 엣지부분이 줄어서 모서리를 쥐기도 쉬워짐
        • 버튼은 편의에 따라 뒤로와 앱 스위치 버튼 위치를 뒤바꿀 수 있음.
          • 이게 안드로이드 표준이긴 한데…
          • 근데 오래 익숙해져서 그런가 바꾸니 되려 불편함
    • 한손에 착 들어오긴 하나, 절대로 한손으로 쓰기는 부적절함.
    • 당분간 케이스를 끼우지 않고 쓰고 싶다.
      • 그러다가 S7 엣지를 아작 냈었지만…
        • 그 트라우마가 한동안 오래가서 원래 케이스 없이 살던 내가 케이스를 몇개씩 사들여서 시도하는 계기가 된다.
  • 인상적인 디스플레이
    • Univisium 을 채택한 두번째 모바일 기기.
      • HD의 1.78:1 와 극장의 2.20:1의 평균을 딴 크기
        • 이 해상도로 제작된 예
          • 하우스 오브 더 카드, 기묘한 이야기, 레모니 스니캣의 위험한 대결 (넷플릭스)
          • Transparent (아마존)
    • 압도적으로 큰 디스플레이 영역
      • 너무 커!
        • 너무 길어!
          • 위를 보다가 아래에 떠오르는 버블을 못보고 놓칠때가 있다.
            • 그래서 그런가 사용중에 메시지가 오면 화면 테두리가 밝게 빛난다.
              • 매우 매력적이다.
              • 메시지 계열 서드파티 앱은 지원
            • 오래 쓰니 적응한다 무서운 동물 사람.
          • 18.5:9라 많은 앱에 블랙바가 있다. 영상도 그렇고.
            • OLED라 블랙바는 불이 전혀 들어오지 않아서 크게 거슬리진 않는다.
            • 그런데다가 검정 몸체가 화면보다 어두워서 약간 눈에 띄나 의식하지 않으면 거슬리지 않음
            • 마치 옛날 HDTV마냥 꽉차게 볼것인지 원본으로 볼것인지 등을 고를 수 있도록 되어 있음.
              • 블랙바가 있는 16:9 영상은 블랙바를 자르고 거의 화면에 꽉차게 재생가능. 자동으로 해줌.
                • 설정은 영상이 재생될때, 가령 유튜브에서 재생 중인 화면을 탭하면 버튼이 바로 나옴.
              • 앱의 경우 앱 스위처에서 선택 혹은 설정앱에서 설정이 가능.
          • 스크롤 안해도 많이 들어옴!
            • 트위터나 인스타그램, 페북, 인터넷을 해보라!
              • 근데 앱에도 블랙바가 있으면 유명무실
                • 앞으로 이 비율이 추세가 되면 금방금방 적용되지 않을까?
                • 뭐 텍스트 위주의 앱은 늘리면 문제없이 꽉참(애당초 저절로 꽉차는 앱도 있음)
    • 변함없이 높은 콘트라스트로 쨍.
    • 다행히 붉지 않음
      • 러시안 룰렛을 하는 기분이었음!
        • 뜯기 전에 모르고, 뜯으면 교체가 안되고!
      • 갤럭시S7의 카메라 이슈도 그렇고 왜 좋은 기기를 만들면서 QC에 손을 놓을까?(노트 7은 제외하더라도)
      • 근데 화면 윗부분이 마치 번인 당한거 마냥 푸르스름하다.
        • 업데이트 하면서 교정하는 옵션이 생겨서 거의 해결된 느낌?
        • 단말기 교체하니 문제 없다. 초기불량!
      • 삼성에서는 일단 문제에 대해서 부인으로 밀어 부치는 느낌이다.
        • 현 시점에서는 이 스크린 이슈 때문에 구매를 추천하기 어렵다.
        • 베타테스터냐!
      • 결국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됐다.
        • 붉은 화면을 가지지 않아서 모르나 푸른 테두리는 해결됐다.
    • S7 엣지만큼 커브가 심하지 않아서 손에 쥐기에도 편하고 오동작도 줄었다.
      • 동영상 볼때 위에 불이 반사되지 않음
      • 전자책 볼때나 웹사이트가 좀 더 자연스러움.
      • 키보드의 오타도 좀 줄어든 느낌
      • 일부 화면 옆 끝까지 사용하는 앱도 확실히 나아짐.
    •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라고 하는데 2009년의 레티나 디스플레이 이래로 가장 인상적인 변화 아닐까?
    • 긁히기 쉽더라. 2주일도 안됐는데 화면이 긁혀버렸다.
      • 21만원(…)
  • 생체 인증
    • 아직 은행들이 지원을 안하는 것 같다.
      • 홍채는 처음 글쓰는 시점에서 한군데도 안되다가 하나 둘 시작했다.
        • 갤노트7 때 부랴부랴 준비했다가 펑펑 터져나가서 단종되니 손놓고 있었던거 아닐까?
        • 리뷰를 준비하는 시점에 사용하는 주요 은행이 지원을 시작했다.
          • 신한은행은 인증서와 OTP를 완전히 대체한다.
      • 지문은 거의다 된다.
        • 케이뱅크 빼고, 기기 자체를 지원하지 않는다.
          • 기기 정식 출시(4/21일) 후를 기다리라고.
    • 언락 편하다!
      • 홍채인식 의외로 빠르고 편하다
        • 가끔은 바라보기만 해도 바로 딸깍!
        • 설정을 하면 화면을 켜면 바로 홍채를 인식할 수 있어서 슬립 버튼 누르고 바라만 보면 딸깍
        • 땀에 젖은 손으로 쩔쩔 맬던 날들이어 안녕
        • 햇빛 밑 등 밝은 바깥에서는 상당히 인식이 안된다.
        • 그래도 삼성페이 사용성이 매우 올라갔다. 카드 켜고 바라보고 건네면 끝.
      • 지문 빼고! 지문인식을 여기다 만든 사람은 가학주의자다.
        • 위치를 몇번 더듬어야 하고 그러다 카메라 만질 수 있다.
          • 두손을 쓰는걸 전제로 한거 아닐까?
          • 다행히 왼손 사용이 메인이라 조금은 낫다.
            • 익숙해지면 빠르고 정확한 언락
              • 닿기만 하면 언락
              • 정들면 고향이라고 처음보다는 나아졌다. 나는 왼손에 폰을 쥠
              • 오른손에 쥐면 정말 불편할듯.
          • 케이스를 쓰면 더듬는건 좀 줄어든다.
        • 그래도 세로로 길쭉한 모양 자체는 괜찮다
          • S7처럼 가로로 얇고 길쭉한것 보다야…
            • S7 시절에는 손가락을 가로로 놓고 등록했다. (어차피 에리어 방식이라 같다)
            • 차라리 동그란게 가장 낫지만.
            • 인식영역이 넓어서 등록이나 사용이 편리해졌다.
            • 버튼을 누르지 않고 대기만 하면 되도록 바뀐 점도 편리한 요소.
              • 뭐 다른 메이커에서는 많이들 벌써 도입했지만.
        • 익숙해지면 언락 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 배터리
    • 크기는 줄었지만 생각보다는 급격히 줄지는 않는다.
      • 그래도 아이폰이 여전히 나은 느낌인데…
      • 갤S7(배터리가 일년 소모된거 감안하고) 보다는 낫다.
    • 이른 새벽에 뽑아서 좀 쓰니 오전 8시에 60%대까지 떨어져서 다시 꽂아야 했다.
    • 헤비하게 사용하지 않는다면 하루 종일 사용하는데 지장은 없을 것 같다.
  • 카메라
    • 전반적으로 S7의 옆그레이드 수준이라 크게 기대는 되지 않음. 물론 S7 자체가 워낙 출중하긴 했으나..
      • 덕분에 아이폰7와 8(가칭)이 한숨을 돌렸다.
      • 노트8에 듀얼 카메라가 늘어난다는데, 망원은 아이폰, 광각은 G6, 흑백으로 화웨이… 무슨 타개책이 있을까?
    • 쨍한 날의 실내외 사진이야 당연히 잘 나온다. 쨍한 느낌.
      • 컬러기조?
    • 어두운 곳에서는 밝게 찍히는 느낌이다.
      • 당연히 거친 픽셀은 감수해야겠지만.
        • 아이폰과 비교해서는 좀 더 밝다. ISO 감도도 높은데도 불구하고 윤곽이 무너짐이 덜하다.
    • HDR 기능은 음? 싶음 심지어 합성할때 에러가 나서 피사체 흔들림과 이중윤곽이 생김.
    • 10분 UHD 촬영 제한도 음? 싶음
    • 아이폰과 비교해서 한 곳에 카메라 관련한 설정이 모여있는건 편하긴 함.
    • 카메라 화면이 광활한데 좀 더 모아둘 수 없었을까?
  • 스펙
    • 성능
      • 램 6GB!
        • 근데 램이 많으면 많은 대로 많이 써서 남는게 별로 없더라.
          • 리프레시는 정말 적음.
      • 용량
        • 128GB! 넉넉해서 앱을 많이 깔아도 OK
          • 아무리 SD카드로 확장한다 하더라도 S7로 쓰던 32GB로는 한계가…
        • 256GB microSDXC 카드를 꽂아서 사용중
          • 지원가능한 최대 용량
          • 어마무시한 용량!
          • 동영상이나 사진 촬영 등에 마음껏 사용가능 할듯.
    • 블루투스
      • 5.0! 세계 최초!
        • 뭐 지원하는 기기가 거의 없지만요.
        • 덕분에 기기 두개 연결 동시에 지원
      • aptX
        • 지원하는 헤드폰에게는 좋은 소식일듯.
    • 와이파이
      • 1Gbps를 넘어서는 속도를 우리집에서 지원하는 첫번째 기기
  • USB-C
    • 으악. 케이블 다시 사야한다니!
      • 서드파티 젠더를 인식안한다는 소문이 나무위키에 있었으나 앵커 젠더는 잘 작동함.
      • 젠더가 많이 필요함…
      • 충전 어댑터는 기존 삼성 Adaptive Fast Charge 충전기나 QuickCharge 2.0 충전기면 됨.
        • 왜 QC 2.0까지만 지원하는지는 매우 미스테리이다.
          • 배터리 터지는 트라우마인가?
    • 그럼에도 충전 속도가 빠르다.
    • 고속무선충전 대응. 속도가 유선에 비해 느린거야 예전과 마찬가지지만 짧은 USB-C 케이블을 대체하는 좋은 수단이 될 수도.
  • 오디오
    • 동봉된 헤드폰은 꽤 괜찮음.
      • AKG 브랜드지만 아마 삼성(하청업체)이 만들었겠지
      • 단가가 많이 올라가고 AKG가 상당히 까다롭게 굴었다는 지인발 통신.
      • 인이어식, 팁 사이즈가 세개. 골라 끼워보자
      • 적당한 베이스와 고음, 중음이 약간 모자람
      • 착용감에 익숙해져야 했음, 어정쩡~ 벗겨질 것 같은 느낌
    • 스피커는 여전히 모노럴이지만 S7에 비하면 소리가 커짐. 좀 덜 깡통 소리가 남.
      • 여전히 깡통이야!
    • 드디어 보스 QC35에서 원격 볼륨 조절에 대응! 갤7에서 안됐었음. (미안 QC35!)
      • 블루투스 및 이어폰 음 끊김 현상, 특히 블루투스의 끊김 현상이 거의 없어졌다.
        • 만족!
  • 빅스비
    • 빅스비 비전은 애매하다.
      • 번역이나 텍스트 인식은 기대 이하.
        • 문자 자체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인식률이 구글번역에 훨씬 못미쳤다.
          • 이게 비 구글의 한계인가까지 생각함.
          • 아이러니하게도 번역은 구글 번역을 사용함.
      • 물건을 인식하는건 공산품이나 책 같은 경우 어느정도.
        • 물건을 살 수 있는 페이지로도 갈수 있으나 죄다 11번가와 지마켓
        • 책의 경우 다음 도서나 리디북스로 표시가 된다.
          • 표지를 찍는 것도 방법이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책 뒤의 바코드를 찍는것.
            • 일본책은 바코드가 두개라 고생좀 해야할 것.
      • QR코드도 인식한다는데 몇번 시도해야
        • 좀 큼지막하게 잡히도록 하면 어느정도 인식하는데 조막만한 경우 애로점이 꽃이 핌.
        • 요령이 생기니 처음보다는 나아짐.
      • 이미지 검색은 전혀 엄한게 나옴
    • 빅스비 보이스 상세는 나중에 따로 포스트하고 싶다.
    • 빅스비 오디오는 상당히 똑똑한 편
      • 최고의 한국어 어시스턴트라고 생각
      • 휴대폰 기능 설정이나 삼성 앱과의 연동은 매우 탁월하다. 쉭쉭하면서 나 대신 조작하는 장면은 백미
      • 서드파티 앱이 일부 지원되는데 좀 더 늘어날 필요가 있음.
      • 질문에 답을 한다기보다는 콘트롤에 집중된 느낌. 계산은 계산기를 띄워서 입력해주고 세계시간은 세계 시계를 띄워서 보여주는 식.
      •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음성기술에 안드로이드 접근성 서비스를 합친것 같은 느낌. 접근성 서비스를 쓰면 화면의 내용을 읽거나 조작하거나 현재 화면에 따라 정보 화면을 표시하는게 가능.
    • 빅스비 홈은 필요성을 못느낀다. 좀 지켜보자. 
      • 근데 구글 나우와 큰 차이가 있을까?
      • 왜 띄울때마다 빅스비 로고를 띄우며 뜸을 들일까? 그렇게 로딩이 필요한 작업인가?
    • 구글 어시스턴트와 구글 나우와의 차별점이 필요하다. 이미지 검색도 번역도 구글이 이미 이뤄놓은 상당한 기술이 서비스에 접목되고 있다.
    • 빅스비 버튼을 만들어 놓았으면서 초기에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약이 있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 이건 이전 기종이 펑펑 터져나간 것과 함께 해외 갤럭시 S8 비평의 상당수를 점유하는 내용이다. 우리나라보다도 늦을 예정이라 더 클 것이다.
    • 빅스비 버튼이 잠금 버튼 누르다 실수로 눌리기 쉽다. 케이스 끼우면 더더욱.
  • 총평
    • 오랜만에 흥분되는 전화기를 만들었다.
      • 몇년전의 플라스틱 덩어리의 조잡한 삼성은 이제 없다는걸 느꼈다.
        • 유튜브에서 옴니아 동영상을 봤는데 그녀석도 100만원 안팍이라 가격이 거의 같다.
          • 그런데 이 차이는!
      • 삼성페이와 삼성패스 등 삼성 독자 기능에 많은 사람들이 락인 될 것이다.
        • 우리나라에서 삼성 전화기를 사는 것은 안전한 투자이다.
          • 대개의 서비스가 삼성 전화기를 기준으로 설계되고 시작된다.
      • 다시 말하지만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는 2009년 레티나 디스플레이 이후로 가장 인상적인 디스플레이 중 하나가 될 것이다 .
    • 하지만 삼성이 어지간히 좋은게 아니면 잠시 보류하는 것도 방법이다.
      • 아직 터질지 안터질지 모르겠고
      • 빅스비는 현재 미지수고
        • 제공되는 수준은 아직은 5단계 평가에서 3점 정도(5점 만점). 빅스비 보이스가 많이 벌었다. 그거 빼면 2점도 아깝다.
      • 삼성패스도 다 지원하지 않고.
      • 무엇보다도 특히 디스플레이는 (비록 나는 어느 정도 괜찮은것 같지만) 러시안 룰렛하는 느낌이다.
        • 이건 100만원이 넘는 러시안 룰렛임을 생각해야한다.
        • 색감 문제는 업데이트로 상당수 나아지긴 했지만 이걸 바로 잡지 못하는건 어떤가 싶다.
    • 지난번 S7 카메라 왜곡 이슈도 그렇고 이번 디스플레이 이슈도 그렇고 어느 하나 지적하는 해외 언론이 없었다.
      • 물론 우리나라가 제일 먼저 대규모 판매/개통이 되었다는 점은 인정한다.
      • 리뷰 유닛은 비교적 소수일 테니 그것도 인정한다.
        • 아마 나라도 가장 상태가 좋은걸 하나 골라서 리뷰 유닛으로 보냈을지 모른다.
      • 하지만 이런 점을 제대로 다루지 않는 것은 실망스럽다.
        • 아이폰이 이랬더라도 조용했을까?
    • 뉴욕타임즈는 실험쥐가 되지 않기 위해서 좀 더 보류하라고 했는데 내 생각도 그렇다. 삼성이 노력했다고는 하지만 벌써 몇가지 문제가 드러나고 있고 굳이 필요하거나 새 기기라면 환장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혹은 IT geek이 아니라면 굳이 업그레이드할 필요는 없을지도.
    • 디스플레이 문제에 대처하는 삼성의 모습을 보면 실망이다.
      •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좀 더 지켜 볼 일이다.
      • 배터리때도 그렇게 소극적으로 대처하다가 아픈 맛을 봤으면서…

Bose 보스 QuietComfort 35(QC35) 블루투스 무선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사용기(리뷰)

1.5m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용기

필 실러가 말했다. 익숙해진 아날로그 플러그를 버리고 디지털로, 그리고 무선으로 가는 것에 대해 ‘용기’가 필요한 행동이었다고. 사실 그가 용기를 내야했다고 말하기 전에 나는 보스(Bose;사실 정확한 발음은 ‘보즈’지만 많이들, 심지어 정식수입사인 세기HE 조차 보스라고 하기 때문에 보스로 하기로 했다)사의 신제품인 QuietComfort 35를 알아보기로 했다. 한국에서도 나오긴 했지만 재고가 그야말로 순간삭제 당했다. 마침 내 지갑도 달랑달랑했고. 어찌됐든 지갑에 여유가 생길 무렵, 재고도 딱 시기를 맞춰서 돌아왔다.

유선에서 무선으로 변한다는 점

지금까지 보스의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써본 입장에서 보스의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QuietComfort 35 일명 QC35는 어떤 점이 차이가 있을까?

일단 거리의 속박에서 벗어난다.

일단 1.5m짜리 선이 없다는 것은 생각보다 커다란 변화이다. 전화기나 아이패드, 컴퓨터 같은 소스 기기를 몇 미터(보스에서는 10미터 정도라고 하지만 사실상 우리집 끝에서 끝까지도 된다) 떨어뜨려놓고도 음악을 듣거나 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화장실을 쓰거나 손을 씻을때도 (아직은 방수가 아닌) 아이폰 등 기기를 주머니나 물에서 멀찍이 떨어진 안전한 곳에 플러그를 뽑지 않고도 편하게 두고 일을 보고 손을 씻고 나올 수 있다.

선의 속박에서 벗어났다.

Bose Quiet Comfort 35
Bose Quiet Comfort 35

선이 없어지면서 요리와 가사가 편해졌다. 전화기를 부엌에 한켠에 놓고 음악을 들으며 싱크대와 조리대와 냉장고와 정수기를 왔다갔다 하면서 휴대폰과 연결된 1.5미터 선을 신경쓰지 않고 이런 저런 일을 할 수 있다. 그냥 편하게 쉬거나 양손을 사용하는 작업도 여유롭다.

 

음악을 듣기 위해서 한손에 휴대폰을 들고 있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집을 청소할때도 거실 한 켠에 전화기를 놓고 선이 걸리적 거리는 일 없이 양 손 작업을 할 수 있다.

전화기를 한손에 들고 덜렁덜렁 거리는 선을 신경쓰지 않으며 조리나 가사에 임할 수 있다. 적당히 부엌 한켠에 두고서 음악을 듣거나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다.

음악을 들으면서 머리를 신나게 흔들며 움직여도 걸리적 거리거나 기기가 딸려 나올 염려가 없다는 점은 역시 처음에는 신기하다. 하지만 이젠 선이 따라서 움직이는 것을 상상하기 괴롭다.

꽤나 넓은 무선 범위

나는 택시를 탈 때 의도적으로 이어폰을 낀다. 기사분과 대화가 싫다는게 아니라 이어폰을 끼고 음악을 듣고 있으면 내리면서도 전화기가 주머니에 안전히 있다는 확신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보스 QC35는 몇 미터는 가볍게 전송해주기 때문에 집이 좁으면 전화기를 놓은 장소를 찾기 위해 집안을 뒤져야 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택시에서 내릴때 전화기는 저만치 멀어져가고 연결이 끊어졌다는 경고만 들을지도 모르겠다. 보스의 뛰어난 노이즈 캔슬링으로 전원을 켜고 음악을 켜면 달리는 차의 소음은 깨끗하게 사라진다.

페어링과 연결

일단 나는 블루투스 장치에 대해 약간의 편견이 있다. 사실 이건 2010년대 이전부터 기인한 건데 블루투스 장치는 페어링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중복으로 페어링 되고 연결이 쉽게 끊긴다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나는 무선 마우스도 전용 수신기가 있는 녀석-애니웨어 마우스 MX(M905)-을 선택 했었다.

하지만 최근의 블루투스 장치는 많이 발전했다. 아이패드에 사용되는 애플 펜슬이 그렇고, 새로 바꾼 마우스-애니웨어 마우스 MX2-도 그랬다. 거의 확실하게 페어링되며 연결되고 원할 때 연결이 끊어졌다.

보스 QC35의 페어링도 마찬가지라서 그냥 전원을 켜고(슬라이더 스위치를 딸깍 걸리게 민다)나서 스위치를 끝까지 계속 밀고 1초 정도 있다 놓으면 음성으로 장치와 페어링할 준비가 되었다고 나오고, 장치의 블루투스 메뉴에서 페어링을 하면 된다. 게다가 보너스가 더 있다. 안드로이드 기기는 NFC를 거의다 갖추고 있는데 전화기의 잠금을 풀고 NFC수신부를 헤드폰 오른쪽에 갖다대면 소리를 내며 블루투스가 켜지고 장비를 추가하겠냐는 말이 나오고 바로 연결 끝이다. 메뉴 조작 조차 필요 없다. 연결을 해제할 때도 다시 갖다대면 바로 해제된다.

요즘 블루투스 기기들이 다 그렇듯 보스 QC35도 여러대의 페어링을 기억하는데, 8대까지 기억하고 2대를 동시에 연결 할 수 있다(멀티포인트). 전화기든 PC든 태블릿이든. 거의 모든 기기에서 대부분 부드럽게 작동하고 한 기기에서 음악을 듣다가 전화가 오더라도, 혹은 다른 기기에서 전화가 오더라도 문제 없이 음악 재생과 통화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경우 한 번 페어링 했던 경우, Bose Connect 앱을 사용하면 다른 기기에 접속된 헤드폰을 이쪽으로 끌어다 연결 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앱에 표시된 헤드폰을 아래로 슬라이드 하면 된다) 이런저런 설정을 변경하거나 페어링이나 연결을 관리할 수가 있다(앱 자체는 매우 기능이 조촐한 단순한 앱이다). 물론 헤드폰 자체로도 페어링을 전환할 수가 있다. 페어링할때처럼 전원 스위치를 슬라이드 하면 지금 접속된 기기를 음성으로 읽어주고 원하는 기기의 이름을 들려줄때까지 슬라이드하면 접속이 된다.

가끔 말썽이 있어서 짜증이 날 때도 있지만 대체로 잘 작동하고, 잘 작동하면 유선이 왜 필요한거야? 싶을 정도로 매끄럽게 사용이 가능하다. 굳이 말하자면 이게 몇 안되는 옥의 티 중 하나 일 것이다(아마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애플이 W1 칩을 만들었겠지).

아이폰/아이패드와 궁합은 그럴싸해서 말했듯이 볼륨 조절을 하면 시스템 볼륨(마스터 볼륨)이 따라 오르내리고 가운데 버튼의 기능 또한 MFI 이어폰과 다를 것 없이 사용 가능하다. 안드로이드 기기는 삼성 갤럭시 S7 엣지에서 시험해봤는데 애플 제품만큼 궁합이 좋지는 못하다. 가령 마스터 볼륨을 조절할 수 없다(따라서 마스터 볼륨을 최대로 하고 헤드폰에서 볼륨을 조절한다). 다만 재미있게도 아이폰에서는 전화가 왔을때 한국어 이름을 읽어주지 못하는데 안드로이드에서는 읽어준다. “~에게서 전화가 왔습니다”라는 안내 후에 벨소리가 들리는데 안드로이드와는 달리 아이폰에서는 한국어 이름이 포함될 경우 읽어주질 못한다. 영어나 숫자는 잘 읽는다. (2017/7/13 추가 6월 말 업데이트로 아이폰에서 한국어 이름이 정상적으로 읽히게 됐다)

그리고 이건 좀 더 테스트를 해봐야 할 문제인데, 아이패드에서 아이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도록 설정하고 아이패드와 아이폰을 동시에 연결을 하면 전화를 받는데 약간 문제가 있는 듯 하다. 몇번 시도후에 껐는데 나중에 다시 켜보고 시험해보고 그 결과를 갱신하고 싶다.

음질이란 민감한 문제

블루투스에 대한 편견

블루투스에 대한 편견이 있었다. 역시 유선에 비해서 음질이 떨어지거나 끊어지지 않나? 같은. 하지만 적어도 내 귀로는 유선이 어쩌고 무선이 어쩌고 할 계제는 못되는 것 같다.

듣기전에는…

사실 aptX등을 지원하지 않는 점 등을 우려하기도 했다. 게다가 일부에서 부는 ‘고해상도 오디오’에 대해서도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이미 시대가 바뀐다 아닌가 싶기도 하고 나도 몇 점의 앨범을 고해상도 오디오 파일 형태로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코덱이 CD급 소스에는 충분하겠지만 고해상도 오디오에서 적합하지 않다. 그래서 소니는 독자 코덱을 만들었고 퀄컴이 미는 aptX도 그 중 하나다. QC35는 SBC와 AAC만을 지원한다.

어쨌든 듣고나서는…

기술적으로는 어떤지 모르지만 지금까지 알고 있던 유선이든 무선이든 상관 없이 변함없는 보스의 사운드를 즐길 수 있다. 보스를 창업한 아마르 보스 교수가 보스를 창업한 계기 자체가 스펙을 보고 이것재고 저것 재고나서 질렀더니 형편이 없었던 연주에 질렸기 때문이라고 한다(그는 어릴때 바이올린을 배웠었다). 그런 여파인지 제품의 스펙에 재생 주파수 등 오디오 기기적인 스펙이라기보다는 가전제품 같은 스펙을 볼 수 있다. 사실 그것도 그럴것이 이것저것 따지지 않고 편하게 생각없이 준수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것이 보스의 철학이기 때문에 깊게 생각할 필요 없이 즐기면 된다. 아마 대부분의 사람이라면 보스 사운드에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싫어하는 사람들은 매우 싫어하겠지만(모든 음의 밸런스가 잘 잡힌 평탄한 제품을 선호하는 분들이 특히 싫어한다). 부드럽고 묵직하지만 과하지 않은 고급스러운 저음과 여기에 묻히지 않는 깔끔한 고음을 제공하기 때문에 팝이나 가요, 재즈 등이 특히 좋지만 클래식도 나쁘지는 않다.  ‘고해상도 오디오’에 대해서는 할 말이 별로 없다. 사실 유선으로 된 헤드폰을 쓸때에도 애매한 문제였기 때문이다(나는 ER-4P로 고해상도 오디오 블라인드 테스트에서 참패했었다). QuietComfort 시리즈가 늘 그랬듯이, 준수한 음질을 제공하지만 ‘최고의 음질’, 특히 ‘가격대 성능비’가 뛰어난 음질을 즐기기 위해서는 다른 제품을 알아보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무선이든 유선이든. 다만 그럴 경우 보스의 업계 최강의 노이즈 캔슬링과 거짓말 조금 더 보태서 쓴 듯 안 쓴 듯한 안락한 착용감은 포기해야 한다.

소리가 끊기는 문제는 처음에 잠시 겪었지만(갤럭시S7에서 주로 겪었다, 알고부터 유선 헤드폰을 끼워도 틈틈이 끊겼다) 대부분의 경우 (특히 소스가 가까이 있다면) 겪을 일이 거의 없었다. 많이들 말하는 와이파이 넘치는 시내에는 나가보지 않아서 2.4GHz 대역이 붐비는 상황에서 어떤지는 모르겠다. 재미있는 경험을 하나 얘기해주자면 갤럭시S7 엣지에서 음악을 재생하면서 같은 주머니에 있는 아이폰에서 아이패드로 블루투스를 통해 테더링을 하니 어마어마한 끊김이 발생했다. ‘아, 이게 블루투스의 간섭이구나’라고 깨달았지만 이런 극단적인 경우는 이 경우 외에는 없었다.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는 거리만 가까우면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2베이의 20평 정도 되는 집인데 장치를 놓는 위치에 따라서는 집의 끝에서 끝까지 소스 기기를 놓아두고 음악을 들을 수 있었다. 연결 자체는 안정적인 편이다. 대개 끊어져도 가능해지는 것과 동시에 바로 연결되는 편이고 시간 자체도 오래 걸리지 않는다.

노이즈 캔슬링

wavelength

노이즈 캔슬링의 경우 QC15 때보다 나아진 기분이다. 그도 그럴게 더욱 더 발전한 QC25를 무선으로 만든게 QC35니까. QC15를 쓸 때 들렸던 음악을 틀지 않았을때 들리던 잡음이 조금 덜 들리게 되었다. 헤드쿠션을 쓰자마자 소리가 줄어들기 시작해서 전원을 켜면 바깥 소리가 한결 조용해지는것을 알 수 있다. 텔레비전 소리가 적게 들리고 에어컨이나 냉장고, 정수기 등의 소리는 완전히 사라진다 여기서 음악을 켜면 그렇게 큰 소리로 올리지 않아도 텔레비전 소리마저 들리지 않고 음악만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은 아무런 음악을 틀지 않으면 특유의 ‘쉬이-‘하는 소리가 나는데 이 소리도 훨씬 줄어들었다.

하지만 월스트리트 저널의 제프리 파울러가 그랬듯이 모든 소리를 차단하는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개발했다면 누구든 억만장자가 되었을 것이다. 차를 타고 우웅하는 엔진음과 바퀴의 주행음, 모터음, 와글와글 거리는 음이 대상으로 전원을 켜자마자 줄어드는걸 느낄 수 있고, 음악을 켜면 거의 신경을 쓰지 않게 된다. 하지만 옆에서 말을 걸어오는 소리라던가 초인종 소리같은 경우 소리가 작지 않을 경우 음악을 들으면서도 들린다. 이 점이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이 패시브 노이즈 캔슬링(커널형 이어폰이 패시브 노이즈 캔슬링의 대표적 사례이다) 보다 나은 점이기도 하지만 약점이라고 생각한다.

여하튼 이러한 소음이 사라지는 것만으로도 음악이나 동영상의 몰입도가 달라지고 뭔가 일을 한다면 집중도가 달라진다. 가벼운 무게와 편안한 헤드컵과 부드러운 재질의 헤드밴드, 그리고 귀를 누르는 압박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 구조 덕택에 오랜 시간 들어도 편하다. 조용한 공간에서 음악과 나만 있는 느낌을 몇 시간이고 체감할 수 있다. 물론 인이어 이어폰도 오래 쓸 수 있지만 아무리 편안한 기종이라 할지라도 귀가 아프므로 이렇게 하긴 힘들고 또한 상대적으로 인이어 이어폰보다 헤드폰이 오래 들어도 청력에 덜 무리가 간다.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사용자들은 공통적으로 볼륨을 노이즈 캔슬링이 되지 않은 것 보다 적게 하고 듣는다고들 한다. 이 점 또한 특기해야할 부분이다.

→대중교통에서 노이즈 캔슬링을 사용해보니. 

통화

통화를 할때는 깔끔하고 선명한 음질을 제공한다. 사용하면서 시끄러운 병원에서 주변에 폐가 될까봐 말소리를 죽여가며 말했을때 빼고 말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다는 말을 들어보지 않았다. 통화를 하거나 시리 등을 사용할때, VoIP등을 사용할때는 살짝 바깥 소리가 들리도록 셋팅되어 있어서(그럼에도 잡음은 컷트된다) 통화하기에 수월하다. 아이폰/아이패드에서 시리도 잘 작동한다(다만 버튼을 누르고 조금 기다려야 한다는 것을 말해두고 싶다). 보스의 설명에 따르면 두군데의 마이크를 이용해서 잡음 없는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는데 최소한 나는 만족하는 편이다.

부가기능/기타

일단 iOS와 안드로이드용으로 그럴싸한 앱이 있고,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있으며 크게 어색함이 없다. 잘은 모르나 보통 이런 제품에는 이런 앱이 따라오는게 요즘 유행이고, 기기에 따라서는 EQ를 조절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모양이지만 이 녀석은 연결해주고 연결을 관리하고, 페어링을 관리하고 펌웨어를 업데이트하고 몇가지 설정을 변경하는 정도만 가능하다. 그 외에 배터리 상태를 보거나 어떤 기기에서 음악이 재생되는지를 보여주어서 앱에서 컨트롤이 가능하다. (2017/7/13 추가 앱에서 이제 QC30만큼은 아니더라도 3단계-높음, 낮음, 끄기-로 노이즈 캔슬링이 조절 가능해졌다)

This slideshow requires JavaScript.

앱에서도 그렇지만 장치내에서도 한국어 음성을 지원한다. 배터리 잔량(“배터리가 ~% 남았습니다.”), 연결된 장치명(“~에 연결되었습니다.”,”~및 ~에 연결되었습니다.”)을 알려주고, 연결해제시에도 알려준다. 편리하지만 한가지 장치에서 음악을 재생하는 도중에 들리면 흥이 깨서 짜증이 나기도 하고 기기에 따라서 안내 메시지가 나오는 동안 재생이 멎지 않기도 한다(재미있게도 iOS 기기들은 다 잘 작동한다).

여튼 페어링과 함께 이 부분의 작동이 애매한게 옥의 티라 하겠다.

무선이 되면서 성가신 점 – 역시 배터리

역시 밤에 충전해야할 기기가 늘어난 것은 마냥 기쁘지는 않다. QC15처럼 건전지를 쓸 필요 없이 그냥 남는 microUSB 케이블을 가져다 USB 충전기에 꽂으면 되지만 어디서나 굴러다니는 건전지를 넣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한 점은 여전히 그립다. 물론 아무런 전원이 필요 없는 보통 헤드폰/이어폰에는 비할 것도 없고… 아무튼 유사시 보조 배터리에 물릴 기계가 하나 더 늘었다.

하지만 배터리 자체는 스펙상 20시간이고 정말 질릴도록 음악을 들어야 배터리가 떨어진다. 한번도 배터리가 0%에 가까이 가서 충전을 해본 적이 없다. 이 제품에는 유선 케이블이 하나 부속되고(2.5mm-3.5mm 케이블) 이 케이블을 끼우면 무선 회로가 차단되고 배터리로 작동되는 유선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 되어 버린다. 그리고 이 경우 제원상 배터리 시간은 40시간이 된다. 게다가 배터리가 다 떨어진 상태에서도 유선으로는 음악을 들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노이즈 캔슬링을 비롯해 전자적으로 작동하는 이퀄라이저 등등도 작동을 멈춰서 보스가 이 헤드폰의 음질 향상을 위해서 노이즈 캔슬링을 비롯해서 전자적으로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가를 여실히 알게 된다(그렇다고 못들어 줄 수준이라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마음껏 들어도 하루 이틀 정도로는 일과를 다할때까지 배터리가 떨어져서 걱정할 필요는 없다. 좀 쉬엄쉬엄 들었으나 하루종일 듣고 자려고 보니 70% 정도 배터리가 남아있어서 오히려 휴대폰이 먼저 배터리가 녹 다운 당했다. 물론 유선 헤드폰이 아니라 블루투스를 사용하다보면 에너지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될지 모르지만 이미 애플워치다 애플 펜슬이다 해서 블루투스는 계속 켜놓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다. 아무튼 모두가 생각하는 것 만큼 전력 소모가 막무가내 수준은 아니다.

어찌됐든 다시 말하지만 충전할 기계가 는 건 그다지 기쁜일은 아니다. 다만 그 빈도가 잦지 않아 다행일 뿐이다.

착용감 및 음 유출

헤드폰이든 이어폰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착용감이다. 몇 시간을 들어도 큰 부담이 없다. 헤드밴드를 넉넉하게 당겨서 뒤집어 쓰면 쓴 듯 안 쓴 듯, 정말 이 정도로 해도 떨어지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머리에 압력이 오지 않는다. 아침부터 낮까지 몇 시간을 음악을 듣거나 팟캐스트를 듣거나 동영상을 보는 등 해도 귀가 약간 더워진다와 오랫동안 뒤집어 써서 근지럽다 정도지 아픈 느낌은 없다. 오히려 귀에 오랫동안 뭘 뒤집어 씌워서 음악 감상도 그렇고 잠시 쉬기 위해서 벗었다가 다시 쓰곤 한다.

물론 이어컵은 패시브 노이즈 차단을 위한 재질로 되어 있다고 하나 이어컵 자체로 커다란 차폐를 하는건 아니다.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에 대한 자신인걸까? 따라서 거의 누르는듯 안누르는듯 써도 되고 그 말은 돌려서 말하면 일정 볼륨 이상이 되면 외부로 소리가 샌다는걸 의미한다. 여기에는 두가지 얘기해 둘 점이 있는데, 이 헤드폰에서 새어나오는 소리를 옆에서 들어서 폐가 될 정도로 조용한 환경이라면 노이즈 캔슬링이 크게 필요 없다는 점과(돌려 말하면 노이즈 캔슬링이 필요한 장소에서는 이 정도 소리가 새어나오는 정도는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그 정도로 큰 소리로 오랫동안 들으면 본인의 청각에 좋지 않다는 점이다.

디자인

This slideshow requires JavaScript.

QC15를 쓰다가 느낀 것은 디자인이 훨씬 세련되어졌다는 것이고 그리고 밴드를 넉넉하게 넓혀도 모양이 이상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점은 오랫동안 편하게 듣는데 있어서 고마운 점이다.

이 녀석은 왼쪽 이어컵에 유선 헤드폰 포트가 있고 충전용 마이크로USB 포트를 비롯한 전원/페어링 스위치와 통화/재생 및 볼륨 위/아래 조작부, 그리고 NFC 태그는 오른쪽 이어컵에 있다.

 

마무리

겨우 몇주가 지났을 뿐인데 이제는 선을 주렁주렁 매달고 다니는 것이 상상하기 힘들 정도이고 가끔 QC35를 유선으로 연결하거나 ER-4P등 기존 이어폰을 끼울때 너무 불편하다. 무선은 너무 편리하다. 가끔 소스 기기(대개는 휴대폰)을 다른 방에 놓고 나와서 ‘어 어디에 뒀지?’ 하는 경우가 있지만 말이다. 게다가 통화 기능도 편리해서 왜 택배 기사 분들이나 운전을 하시는 분들이 모노 블루투스 헤드셋을 사용하시는지 알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수화기를 드는게 귀찮다. 그리고 통화 품질도 끊김없이 괜찮다. 보통 오래 통화할때 스피커폰을 쓰거나 이어셋을 사용하는데 그런 기분으로 사용하면 오랫동안 통화해도 귀도 편하고 팔도 안아프고(전화기를 어디다 놓고 돌아다녀도 되니까) 너무 편리하다.

나는 확신했다. 이것이 미래이다. 물론 앞으로 발전의 여지는 아직 얼마든지 있고, 사실 블루투스의 페어링 경험과 궁합은 많이 좋아졌다고는 하나 아직도 모자람이 있다(애플은 이 부분을 해결하고 싶어했나보다). 하지만 그것이 선을 자르는 용기를 막을 정도는 아니다. 그래서 페어링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고 주장하는 에어팟과 비츠 제품을 기대해본다. 이미 여기에 반백만원을 들였기 때문에 또 살 돈이 있을지 의문이지만. 어찌됐든 지금 이 녀석만으로도 흡족스러운 제품을 만나 돈을 잘 썼다는 기분이 든다. 이런건 언제나 환영이다.

덧. 사실 나는 보스의 무선 헤드폰만 생각하고 앞뒤 재지 않고 QC35를 했지만 소니에서 MDR-1000X라는 걸출한 녀석이 나왔다는 모양이다. 만약 구입을 생각하고 있다면 그쪽도 한번 살펴보시기 바란다. 만약에 내가 이 녀석을 좀 더 일찍 발견했다면 필견 좀 고민을 해보고 선택 했을 것이다.

 

2017년 7월 13일 일부 수정. 유청희님께 감사드린다.

애플 워치(Apple Watch)와 처음 며칠 감상

사용해본 물건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은 나의 원칙 중 하나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물건은 내가 구입한 것들이다. 그걸로 실패를 하던 아니면 만족을 하던 내 돈으로 한 것이니 그 무게가 있다고 주장한 적도 있다. 10년을 넘긴 이 블로그를 하면서 쓴 대부분의 사용기는 따라서 그렇기에 무게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나는 애플 제품을 특히, iDevice를 나오면 나오는 대로 최대한 빨리 사려고 노력해왔고 심지어는 아이패드가 9.7″와 7.9″대로 나뉘는 과정에서도 두대를 다 최고 트림으로 사는 기염(?)을 토한 적도 있다. 그렇지만 사람이라는게 언제까지고 그렇게 정열 넘치는건 불가능 하더라. 개인적으로 변명을 해보자면 편의점에서 한통에 만 원 가까이하는 하겐다즈 바닐라 파인트를 참지 못하고 너무 많이 먹어서 일수도 있고, 분기별로 쏟아지는 애니메이션 블루레이에 돈을 너무 많이 써서일지도 모른다. 서점의 회원등급을 나누는 분기 매출이 150만원을 넘기는 상황을 보면 틀림없이 내가 사지 못할 처지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람은 살면서 각종 자원, 즉 리소스를 항상 분배하면서 산다. 내가 수중에 한푼이 없든 아니면 이건희처럼 돈이 많든 틀림없이 어딘가에 돈을 더 우선적으로 쓸지 더 많이 쓸지는 고려하게 될 것이다.

애플 워치를 생각해보면 “아, 이제 좀 형편이 좋아졌군” 싶어서 뒤늦게 산 감이 있다. 트위터의 아는 분이 말씀하시기를 “다음 세대를 기다리시는걸 추천한다”라고 하는 말을 듣고도, 다른 아는 분이 작동되는 모습(결코 긍정적인 인상을 주는 영상은 아니었다)을 동영상으로 보내주신것을 보고 “최악의 경우에는 환불하죠” 하고 구입했다(이게 다른곳의 할인이든 뭐 이것저것 다 떼놓고 애플 온라인 스토어에서 구입하는 것을 추천하는 이유이다, 만족스럽지 않으면 도로 가져간다). 아닌게 아니라 그분들과 말씀하기 전에도 새 모델이 언젠가 멀지 않은 장래에 나올 것을 계산하고 있었지만, 좀 더 꾸물댈수록 신모델까지의 시간도 줄어들 것 같았기 때문이고, 시계라는 장치야 말로 한 두해에 바꿀만한 장치가 아니라는 걸 알고 있다. 내가 종종 비유로 쓰던 카시오 시계는 애플워치에 밀리기 전까지 근 십년을 문제 없이 썼다. 여튼 애플 워치 사용자는 생각만큼 많지는 않은 듯 하다. 트위터에서도 안드로이드보다 애플 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더 적고(설령 내 주위에 애플 사용자가 많이 있다 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그 경향은 변함이 없다), 아이폰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애플워치를 구입하거나 사용하는 사용자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일단 나 자신도 이제야 구입했으니까. 그래서 이 글도 이렇게 느지막히 올라왔고.

사용 사진을 올리고 나서, 역시 트위터의 지인께서 여쭤보셨다. “안 좋습니까?” 라고. 나는 간단하게 대답했다. “어느 쪽을 고르라면 만족합니다.” 

글쎄, 애플 워치는 가장 성공한 스마트 시계 중 하나이고, 초기의 (주로 애플 매니아들의) 반응도 나쁘지 않았다. 이제 와서는 그들의 말들이 다 이해가 간다. 왜 이러니 저러니 하면서도 착용을 멈추지 않는지도 알겠다. 부드럽게 톡톡 두드리며 울리는 트위터의 알림을 받고, 인스타그램의 알림을 받고. 전화를 걸고 받고, 메시지를 주고 받고. 장난을 치는게 아니라면 ‘슬쩍 보고’ 한두번 조작하고 손을 내릴 수 있는 일에 집중하게 된다. 현재 세대의 애플워치에서 내가 아쉽게 여기는건 아직 ‘슬쩍’하고 볼 만큼 빠릿하지 못한 서드파티 앱의 실행이다. 아마 다음 세대가 나온다면 반드시 이 점은 고쳐지겠지. 그리고 실제 그렇게 실행하더라도 팔뚝을 들고 이리저리 누르는건 의외로 힘들고 비효율적이다. 팔 아퍼. 이 내용을 트윗하자 안 좋냐? 는 질문이 왔다. 사실 기계나 속도보다는 ‘시계에 걸맞는 앱이 어떤 것인가’ 에 대한 궁리가 아직 개발자들에게도 완전히 끝난게 아닌 듯 하다. 그게 더 문제다.

의외로 디지털 크라운 다이얼과 또 하나의 버튼의 존재와 터치패널에 대한 것은 손에 차고 나니 금새 적응이 됐다. 전시된 물건을 만졌을땐 도대체 이게 어떻게 작동되는 것인지 알 수 없는 괴상한 장치였는데 손목에 차고 나니 작동하는 방법이 이해가 되고 필요할 때 반사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니까, 간단하게 말하자면 이게 문제인 것이다. 나는 아까 말한 지인의 물음에 이렇게 덧붙였다. 나는 이 제품에 대해서 이렇게 평가하고 싶다.

“아예 않써볼 수는 있지만, 한번 써보면 계속 쓰게 됩니다.”

아이패드를 파는데는 소파가 필요했지만, 애플 워치를 파는건 좀 더 어려운 일일 것 같다. 그건 단순히 수 많은 밴드와 본체의 배리에이션 때문만은 아니다. 스마트폰 이상으로 개인적인 취향을 타고 사적인 교류를 하는 기계기 때문이다. 반드시 손목에 차고 자신의 일상에 어떻게 녹아드는지 자기 자신이 납득하지 않으면 가치를 느끼기 힘들다. 손목에 차고 자신의 앱을 깔고 자신의 알림을 받아볼 필요가 있으니.

여담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케이스에 42mm 브라운 클래식 버클을 선택했다. 결과적으로도 그랬고 경험칙적으로도 그렇지만 애플에서 내놓는 가죽 액세서리는 가성비는 의문시 되도 질이 의심받는 경우가 없었다. 이번에도 그렇다.  배터리에 대해서 나올때 말이 많았는데, 가볍게 운동을 하고 일상적인 일을 하면. 피곤해서 잘때 같이 충전하면 된다. 배터리는 사실 더 여유가 있다. 더 가겠지만 내가 자야할 때가 되는 거고. 충전을 해두는게 필요하니 충전한다. 평소에는 크게 신경 쓸 것 없지만, 당일치기 이상의 여행을 할때는 충전기가 하나 더 필요하다는 얘기다. 만약 그게 도저히 라이프 스타일에 스며들지 못한다면 페블(Pebble)이나  액티비테(Activité)를 생각 해 보는게 좋을지도.

애플 워치를 착용한 사진을 올리니 역시 잘 알고 지내는 팔로워로부터 “앱등이!”라고 장난찬 조롱을 들었다. 나름 안드로이드도 사랑해주고 있지만 아마 다른 사람이 보면 변명의 여지 없이 그럴 것 같다고 대답했다. 농담같지만 애플워치를 사용하면서 갤럭시 노트를 사용하는게 편해졌다. 간단하다. 아이폰을 충전하거나 다른데 두는 동안, 갤럭시 노트를 사용하는데 전화가 오든가 메시지가 오거나 알람이 오면 워치로 대응할 수 있다. 뭐 5″가 넘는 기기 두개를 동시에 들고 사용하는 재주를 부리거나 그냥 전화가 울리면 하나를 집어넣고 다른걸 꺼낸다거나 하면 되지 않아? 라고 물어 볼 수 있다.

사실 그게 이런 디바이스의 문제이다. 있으면 편리하지만 없어서 곤란하진 않거든.

서드파티 앱은 아이폰 앱을 많이 쓰는 사람이라면 시계를 연결하자마자 질리도록 많은 앱을 바로 쓸 수 있을테지만 가장 치명적인건 종종 꽤 느려진다는것과 입력이 Siri 기반이라 한국어 시리 환경에서 Fantastical은 캘린더 입력이 안되고 Angstrom 은 단위를 알아 먹지 못하며 번역앱은 한국어에서 외국어로 번역만 된다. 언어 선택이 자유로우면 좋을텐데. 아 그리고 시리의 인식 성능은 메시지를 부담없이 구술해 보낼 정도지만 수정하려면 통째로 다시 써야한다.

스마트워치에서 바라는 것은 여러가지가 있을 것이고, 할 수 있는 것도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원하는 정보를 순식간에 보고 순식간에 대처한다. 그게 하다못해 지금 바깥의 날씨든 이런저런 일로 연락하는 해외 회사의 근무시간이든. 메일이든, 좋아하는 사진을 올리는 인스타그램의 새로운 사진이든(그리고 제일 먼저 하트를 박자!), 중요한 트윗이나 멘션, DM이든, 중요한 뉴스 속보라든가, 주문한 상품의 배달 상황이라든가. 즉시 원하는 것을 확인하는것 그게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아까 시계에 걸맞는 앱에 대한 궁리가 다 끝나지 않았다고 했는데  잘 만들어진 앱은 이점이 빠르고 편하다. 그리고 틀림없이 그 앱은 많이 쓴다.

가죽 벨트로 시작했다고 하지만, 금속 벨트나 러버 밴드를 추가로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평소에는 참 편안한데(손에 땀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운동을 할때거나 손을 씻을때는 쥐약이거든. 시계는 생활 방수인데 밴드가… 여담으로 애플워치의 잔소리 대로 움직였더니 3일만에 500g의 체중이 줄어서 놀랐다.  의외로 이거 중요한 기능일지도.

이 시계에 여기에 최소 40에서 80여만원 이상을 들일 생각이 있는지는 사람마다 다르고 강제할 수도 없는 문제이긴 하다. 다시 말하지만, 아예 안 써볼 수는 있어도 쓰게 되면 계속 쓰게 된다. 그게 딜레마다. 필요성을 인식 시켜야 한다.

그래서 어떻냐고? 애플의 새로운 주요 카테고리를 차지할 만한 가치가 있다.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처음 만졌을때 만큼이나 새로운 경험이었다.

애플이 언젠가 새 워치를 내놓을 거고(심지어 그게 다음 달이 될지도 모르고) 그렇지만 지금 애플워치는 단순히 ‘시계’로써 참 맘에 든다. 늘 정확하게 맞는 시계와 기분이나 필요에 따라 커스터마이즈해서 필요한 시각과 정보를 보여주는 시계 화면은 이제 더 이상 그것만으로도 카시오 시계로 돌아가기 힘들게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떠난 해외 여행때는 전파로 시각을 맞추는 카시오 시계를 썼지만 이번엔 충전기를 들고 가더라도 애플 워치를 쓰겠지. 애플 워치가 명품 시계를 포함한 모든 시계를 대체할 거라고는 당장 얘기할 수 없지만 수많은 일반 손목 시계는 ‘손목 시계가 점점 필요 없어지는 지금’에 나타난 새로운 경쟁자에  머리가 복잡할지 모르겠다. 물론 이 녀석을 G-SHOCK 마냥 여기저기 부딛히는걸 두려움 없이 쓰긴 어려울 것 같지만.

아까 잠시 언급했는데 환불할 각오로 샀지만 좀 더 지켜 보아야겠다만 아직은 환불할 생각이 없다.

WSJ의 아이패드 프로 리뷰

월스트리트저널의 Joanna Stern이 iPad Pro에 대한 리뷰를 썼다. 모두가 궁금해 할, 아이패드가 과연 컴퓨터를 대체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파고 들었다.

Some people will be able to replace their laptop with the Pro. I’m not one of those people—yet. For nearly $1,000, there are too many limitations in storage (32GB is the base), ports and software.

Despite iOS 9’s improved multitasking, there are still shortcomings. You can’t customize the home screen’s comically large icons with files or other shortcuts. You can’t place the same app—say two Safari windows—side by side. And iOS’s lack of real file management can be maddening. Microsoft saddles its Surface Pro with full-blown desktop Windows while the iPad Pro is still too closely related to an iPhone. Apple has to keep working to find the happy middle.

아마 일부 사람들은 그들의 노트북을 아이패드 프로로 대체 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난 아니다. 아직은. 거진 1천 달러임에도 불구하고 저장공간의 제약(32G가 기본이다)과, 입출력 포트, 그리고 소프트웨어의 제약이 너무 많다.

iOS 9의 멀티태스킹 향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부족한 점이 있다. 홈 스크린의 우스울 정도로 커다란 아이콘을 파일이나 여타 단축 아이콘으로 변경할 수 없다. 동시에 같은 앱(예를 들면 사파리 창 두개라던가)을 띄울 수 없다. 그리고 iOS의 제대로 된 파일 관리 기능 부재는 매우 짜증이 난다. 마이크로소프트가 Surface Pro에 본격적인 데스크톱용 Windows를 얹어 놓은 반면 iPad Pro는 여전히 너무 iPhone과 더 흡사하다. 애플은 적당한 절충점을 찾을 필요가 있었다.

반면, Apple Pencil(애플 펜슬)에 관해서는 꽤 좋은 평가를 내렸다.

Leave it to Apple to poke fun at styluses for years and then go create the new stylus gold standard. The $100 Apple Pencil enables the best digital writing and sketching experience I’ve ever had on a tablet.

Similar to the Surface Pen, I loved using it to brainstorm and take notes at meetings. But I found it kept up with my fast, small hand better than Microsoft’s solution. I even filled out the fields in an insurance claim form, signed my name using the pen in Adobe Fill & Sign and then printed it out. (I used AirPrint on my home network. I couldn’t get the Pro to print on my office’s network.)

The Pencil will appeal most to artists and designers. But seeing as I can barely draw a stick figure, I lent it, and the Pro, to Mike Sudal, a Journal illustrator and visual editor. Four hours later, Mike handed back his digital canvas with an intricate illustration inspired by M. C. Escher’s “Drawing Hands.”

애플이 수년동안 스타일러스를 조롱해 놓고 애플 펜슬을 빼어나다고 치켜드는건 그냥 잊어버리자, 100달러짜리 애플 펜슬은 내가 태블릿에서 써본 것 중에서는 최고의 디지털 필기 및 스케치 경험을 제공한다.

서피스 펜과 유사하게 나는 브레인스토밍을 하거나 회의에서 필기를 할 때 애플 펜슬을 아주 만족스럽게 사용했다. 하지만 서피스 펜보다 나의 빠르고 작은 손을 더 잘 따라왔다. 나는 Adobe Fill & Sign을 이용해서 보험 청구 서류의 항목을 채운 뒤 이름을 서명한 다음 출력하는 것도 가능했다(집에 있는 AirPrint를 사용했는데, 직장의 네트워크에 아이패드 프로를 연결 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애플 펜슬은 아마 대부분의 아티스트나 디자이너들에게 매력적일 것이다. 하지만 내가 겨우 작대기로 된 사람 정도 밖에 못 그리기 때문에 월스트리트저널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비주얼 편집자인 Mike Sudal에게 아이패드 프로를 빌려주었다. 4시간 후 마이크는 M. C. Escher의 "Drawing Hands"에서 영감을 받은 아주 세밀한 일러스트가 담긴 디지털 캔버스를 내게 돌려 주었다.

특히 다음 구절은 흥미롭다. 처음 애플의 발표를 봤을 때 트위터 상에서 와콤을 언급했었는데 바로 그 부분을 지적하고 있다.

We were both surprised just how quickly he picked it up. In fact, Mike says it was “more natural to sketch and shade” on the iPad Pro than on his Mac’s Wacom tablet. He was impressed most by how the glass-and-pen combo could imitate his art-paper experience: the gentlest tilts of his watercolor brush, light shading with his pencil and deep presses with a flat marker all were lag free.

His only complaints: The pen slid a little too smoothly on the glass and made faint tapping sounds when in use. The Surface Pro 4’s pen was quieter and had more resistance but Mike said he far preferred Apple’s for speed and sensitivity.

우리 둘 다 그가 그렇게 빨리 익숙해졌다는데 놀랐다. 사실 마이크는 그의 맥에 연결한 와콤 태블릿 보다 아이패드 프로가 "스케치를 하거나 그림자를 넣는게 좀 더 자연스럽다" 라고 말했다. 그는 종이에 그린 경험을 어떻게 유리와 펜으로 모방해냈는지를 가장 인상적으로 보았다. 수채화 붓을 살짝 기울이고 연필로 가볍게 그림자를 주고, 납작한 마커로 깊숙히 누르는 모든 과정이 지연이 없었다.

그의 유일한 불만점이라면 펜이 유리위에서 유리위에서 아주 약간 많이 미끄러웠다는 점과, 그가 사용할 때 희미하게 두드리는 소리가 난다는 점이었다. 서피스 프로 4의 펜은 좀 더 조용하고 좀 덜 미끄러웠지만 전반적으로 마이크는 아이패드 프로가 속도와 감도가 좋아 훨씬 더 선호한다고 말했다.

자, 이제 그녀의 정리를 들어보자.

There’s one thing the iPad has over all other laptops and competing tablets though: incredible apps. The Pro helped me realize that I’ve been living in the past, using legacy desktop programs to accomplish things. (중략) That’s why answering “So… what is it?” is so hard. The Pro may seem wedged between iPads and MacBooks, but it will be your main computer in the future. As our phablets push smaller tablets into retirement, the big tablet and its accessories will do the same for our traditional computers. For now, however, it may be easiest to step back and see the Pro as a… really good, really big iPad.

아마 아이패드 프로가 다른 모든 노트북과 경쟁 태블릿보다 뛰어난 한 가지를 들자면 놀라운 앱들일 것이다. 아이패드 프로는 내가 구시대적인 데스크톱 프로그램을 사용해 무언가를 해내는 구시대를 살아왔다는 느낌을 들게 해주었다. (중략) 그것이 아이패드 프로가 어떤 물건인지 대답하는 것이 아주 어려운 이유이다. 아이패드 프로는 기존 아이패드와 맥북들의 중간 사이에 끼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패블릿들이 작은 태블릿들을 없애듯이 커다란 태블릿과 액세서리는 전통적인 컴퓨터를 없앨 것이다. 하지만 일단 지금은 한발 물러서서 그냥 정말 뛰어나고, 정말 커다란 아이패드로 보는게 가장 쉬울지 모르겠다.

팀 쿡(Tim Cook)의 희망은 아직은 조금 더 있어야 이뤄질 듯 하다. (서피스던 아이패드던) 판때기로 내 맥북 프로를 대체할 생각은 (적어도 아직은) 없지만, 어쨌든 아이패드를 새로 살 때가 되긴 했다. 고려해 볼 생각이다.

원본 기사를 보면 리뷰 동영상과 마이크가 그린 완성된 그림, 그리고 여러 사물을 옆에 놓고 크기를 비교한 사진을 볼 수 있으니 한 번 둘러보길 바란다.

갤럭시 노트 4 리뷰/사용기

판때기를 귀에 대고 전화를 한단 말야? 첫 출시된 갤럭시 노트를 본 첫 반응은 그것이었다. 실제로 그 커다란 전화기를 케이스까지 끼워서 쓰는것은 조그마한 문화 충격이었다.

그런데 세상이 변하긴 변하나보다. 갤럭시 노트는 조소에도 불구하고 한국을 비롯하여 여러나라(특히 아시아)에서 간판 상품이 되어 잘 팔려나갔고 애플이 삼성을 따라(그렇다 애플이 삼성을 따라서) 5.5“ 의 거대한 전화기를 내놨다. 물론 주력 모델은 4.7” 아이폰이 되겠지만. 물론 4"를 내놓으며 ’최적의 사이즈’를 주장하던 것은 무안하게 됐지만 애플은 이제 완벽하게 화면 사이즈 컴플렉스는 극복하게 됐다. 결과, 그리고 두 기종은 열광적인 반응을 얻었다. 아이폰 6 플러스는 글을 쓰는 시점에서 애플스토어에서 주문하면 3–4주가 걸려야 도착하고 11월 초에 아이폰 6 플러스를 주문한 나는 한달을 기다려 12월 초에 물건을 받는다. 어찌됐던 아마 이제 더 큰 기종을 볼 일은 없을 것 같다. 현실적으로. 정말로 판대기-태블릿-를 들고 다니게 할 생각이 아니라면. 실제로 갤럭시 노트4는 3와 화면 크기는 달라지지 않았고 해상도만 시원하게 늘렸다.

시장의 패자이나 전년보다 저조한 실적으로 고심하고 있는 삼성전자가 양공을 걸어오는 애플의 공격에 어떻게 대항해야 했다. 갤럭시 노트 4는 이에 대한 지극히 정석적인 그리고 훌륭한 대응이다.

지금까지 만져본 삼성 폰 중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느낌의 전화기

삼성 전화기에 대한 비평은 대체적으로 늘 똑같다. 플라스틱의 느낌을 지울수 없다. 라는 것이다. 실제로 삼성의 제품은 제일 잘 팔리는 제품일지언정 제일 잘 만들어진 제품과는 거리가 있었다. 차로 비유하자면 도요타 캠리 같은 것이다. 지극히 실용적이다. 성능도 좋다. 고장도 적다. 거기까지다. 프리미엄으로 승부하는 독일차와는 추구하는 벡터부터가 다르기 때문에 재질감이나 마무리부터가 다를 수밖에 없다.

갤럭시 노트 4를 다시 차에 비유하자면 토요타의 렉서스인 셈이다. 갤럭시 알파로 우리도 프리미엄을 만들 수 있다고 선언한 삼성은 그 유산을 대량 생산 모델인 갤럭시 노트 라인에 적용했다. 금속 테두리와 아이폰에서 볼 수 있었던 컷팅 솀퍼는 쥐는 느낌부터 재질감을 부여하며 갤럭시 노트의 무게에 더해 무게감을 준다. 끝이 라운드 처리된 유리화면은 고급스런 감촉을 주지만 안타깝게도 초기의 유격의 원인이 되기도 했고 쓰다보면 먼지가 낄지도 모르겠다(아직까지 문제가 되진 않았다). 들리는 바에는 끝이 라운딩 처리된 액정에 액정보호지가 완벽하게 맞지 않는다는 소리도 있다(나는 붙이고 쓰지 않는다). 뒷쪽의 인조 가죽 플라스틱 판은 단순히 고급감을 주는 것 뿐만이 아니라 지문이 묻어나지 않을 뿐 않고 땀이 많이 나는 손에도 끈적임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해주어서 만족스러웠다. 지극히 실용적이며 약간의 지혜로 꽤 좋은 결과를 얻었다. 물론 맘에 들지 않는 사람도 있겠지만 땀때문에 끈적이고 굳어버린 뒷판을 젖은천으로 닦아내는 나로써는 훨씬 낫다. 결국 플라스틱이지만 현명하게 궁리해냈다.

디스플레이는 밝고 화사하며 선명하지만 내가 마지막으로 본 AMOLED 디스플레이인 갤럭시S3의 과장된 발색으로 망가져버린 AMOLED의 인상을 확실히 바꿔놓았다. 고화질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견줄 뿐 아니라 또 어떤 부분에서는 앞서나간다. 명암비라던지. 높은 해상도라던지. 확실히 멋진 화면이다. 크기가 커진 만큼 이 녀석 때문에 태블릿의 입지가 애매해진 것을 인정해야할것이다. 고해상도의 대화면이다보니 태블릿의 사용 빈도가 많이 줄었다. 확실히 해상도가 커지고 화면이 커지다보니 데스크톱 웹사이트도 열 수 있지만 본격적인 데스크톱 웹서핑은 아이패드 미니로도 걱정거리인데… 역시 모바일에 충실한게 정답이다. 적어도 웹 컨텐츠에서는 태블릿을 완전히 대체하기엔 무리가 있다. 패블릿이지만 역시 전화는 전화인 것이다. 하지만 넓고 시원하다. 동영상이나 전자책(특히 만화) 같은 비 웹 컨텐츠에서는 얘기가 좀 다를지도 모르겠다. 같은 모바일 웹컨텐츠도 보기가 좋다. 아무튼 화면은 우수하다.

카메라도 칭찬할 구석이 있다. OIS(너무 맹신하지는 말지어니)와 빠른 포커스, 그리고 인카메라의 넓은 화각과 비교적 높은 화소수가 그러하다. 아이폰과 달리 안드로이드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두고 늘 이것저것 설정해야 한다. 그 설정이 복잡하고 깊숙히 들어가야 한다고 불평했는데 갤럭시 노트4는 옵션을 제공하면서도 복잡함을 어느정도 억제한 UI를 가지고 있다. 뭐 신경끄고 그냥 찍어도 대체로 OK다. 다만 실내에서 화이트밸런스가 대단히 기계적으로 흰색을 쫓아 눈으로 보는 색과 약간 다른 경우가 약간있다. 베이지 색의 종이를 삼파장 형광등 하에서 찍었는데 종이를 백색으로 맞춰버린 것이다. 그리고 OIS는 당연한 말이지만 전화를 세로로든 가로로든 세워 들었을때 효과가 있다.

한편 데이터 통신의 경우 LTE Cat.6을 지원해서 광대역 LTE-A를 지원한다는데 선전이나 홍보만큼 속도가 나오지 않아서(60Mbps 중후반 정도;SKT) 고객센터에 커버리지가 맞나 물어보기까지 했다(커버리지 안이 맞았고 실내라 그런가 싶어 옥외로 나가봐도 마찬가지였다). 처음 써보는거라 기계와는 전혀 상관없는 것이지만 실망스러웠다(12/3추가: 다시 바깥에서 재어보니 89Mbps가 나왔다. 뭐 세 배 타령까진 아녀도 꽤 잘나오는듯 하다). 802.11ac 라우터가 없어 ac 무선랜은 시험해 보지 못했다.

전화 통화의 경우 선명하고 크게 들린다. 워낙 전화가 커서 수화기(이어피스)에 귀를 올바르게 갖다댔는지 확인하게 된다. 그러지 않으면 소리가 잘 안들리니까. 상대방에게 확인을 해보지는 않았지만 크게 불만은 없었던 듯 싶다. VoLTE(HD Voice)통화도 만족스럽게 했다.

배터리의 경우 대체로 일어나서 사용을 시작하면 하루나절을 정도가 사용할 수 있을 정도(혹은 그 이상) 혹은 좀 더 혹사하면 역으로 반나절에 토막날 수준이다. 전화기를 하루종일 만지작 거릴 때 얘기니 뭐 그다지 귀담을 필요는 없다. 이 정도로 커다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가진 기계 치고는 오래 버틴다 싶다. 기계가 충전이 빠른게 정말 괜찮다. 삼십분에 오십퍼센트 충전은 세어보지 않았지만 정말 빠르다 이렇게 닳고 충전하고를 반복해서 배터리 사이클이 남아날까 염려 될정도로. 배터리 용량이 상당한데… 그래서 충전기와 배터리 하나만 준 모양인데 아이폰 사용자를 콘센트 찾아 묶여 있는걸 놀린 주제에 이건 아니지 싶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서 거대함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특징이 있다면 펜이다. 갤럭시 노트 4에서도 강조를 하는데 아이폰을 발표하면서 스티브 잡스는 스타일러스를 내팽겨치며 최상의 스타일러스는 사람의 손이라고 했는데 실제로 iOS에서는 그래서 극력 손으로만 모든것이 잘 되고 잘 되도록 노력하도록 개발자들을 장려하고 있다. 반면 안드로이드에서는 또 그렇지가 못한 것같다(경험에 따르면) 잘라내기 오려내기와 선택이 잘 안된다. 그런데 그게 이 펜 하나로 신박하게 해결된다. 선택과 각종 조작(심지어 어디서는 드래그 앤 드롭도 된다)이 될 뿐 아니라 화면의 내용 일부를 선택해 잘라서 스크랩을 해서 저장을 하거나 공유를 하거나. 본래 목적엔 메모나 노트 보다 이런 기능으로 더 많이 이용하는 듯 하다. 이렇게 채택된 부분의 스크랩에 글자가 있을경우 글자도 인식한다. 펜으로 노트를 할 기회는 드물고 또 생각만큼 종이로 하는 감각은 들지 않는 듯하다. 노트앱에서 써봤는데 필압을 인식하는 노트는 손글씨 메모보다는 그림에 적절해보였다. 펜으로 이것저것 하도록 기능이 참 많은데 기능을 다 외울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굳이 뽑자면 펜으로 원하는 부분을 잘라내서 캡처해서 스크랩해 보관하고 공유하는 기능은 유용하게 애용하고 있는 몇 안되는 펜 기능이다. 굳이 펜으로 뭔가 쓰는 기능을 찾자면 액션 메모 기능이 있다. 펜을 뽑자 마자 나오는 팝업 메뉴에서 누르면 포스트잇 처럼 메모지가 나와서 메모가 가능하다. 빠르게 메모할때 사용할 수 있어 간간히 사용한다. 적을때 잘 적으면 전화번호나 주소는 자동으로 인식해 다이얼해 주거나 지도를 보여주거나 해주는 모양인데 전화번호를 시도 해봤는데 두번 중 한번 제대로 인식했다.

이래저래 장점이 많고 기능이 참 많은 기계인데 소프트웨어적으로 와서는 직관적이지 못하다. 웹사이트의 설명서나 설정메뉴의 안내등을 참고해야 겨우 기능을 숙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월트 모스버그(re/code)는 삼성 제품을 칭찬하면서도 늘 ’두개의 브라우저, 두개의 재생기’를 지적하는데 실제로 보면 크롬을 사용하려고 보면 갤럭시 고유의 기능들, 이를테면 사전이나 번역등을 이용할 수가 없다. 그외에도 운영체제와 앱들의 수정으로 특별한 기능을 쓸 수 있는 사례가 많은데 대표적인게 창을 별도로 띄울수 있는 멀티윈도우 기능인데 잘작동하면 큰 화면을 십분 살리는 아주 좋은 기능인데 삼성이 제작한 앱이나 몇몇 시스템 앱 그리고 소수의 서드파티 앱이 지원한다. 삼성의 안드로이드 영향력 탓에 의외로 자주 쓰는 앱이 지원하는 것을 발견했는데 아주 재미있게도 삼성이 개발한 계산기가 지원을 안한다는것이 이 기능의 불완전성을 자조적으로 보여준다(12/3 추가: 리뷰를 작성하고 이부분에 관해서 삼성에 전화를 해보니 지원을 하긴 하더라. 다만 별도로 수동으로 추가를 해줘야 했다). 지원상황은 앱마다 가지각색이라 페이스북이 지원하는데 트위터는 지원하지 않고 뭐 그런 상황이다. 그리고 이 멀티 윈도우를 부르는 키가 뒤로키를 길게 누르는것인데 앱에 따라 뒤로를 누르자마자 바로 인식해 전 화면으로 가버리는 경우가 있다. 난감.

한손모드의 해프닝도 짚고 넘어가야하겠다. 한손모드라는것은 그 큰 갤럭시 노트의 화면을 축소해서 한손으로 조작가능한 크기로 표시하는것을 말하는데 큰 단말기 특성상 있으면 편리한 기능이다. 조작법은 화면의 테두리에서 엄지를 빠르게 샥하고 중앙으로 움직였다 빠른 모션으로 돌아오면된다. 라고 설명은 하는데 그게 잘 안되더라고. 화면은 죽어라 문질러대지 안되지. 덕분에 전화까지 했고. 잘된다라는 소리를 듣고 화면을 죽어라 문지른 끝에 ‘가끔씩’ 성공하는 수준까지 이르렀다. 아직도 실패율이 높다.

지문 스캔은 갤럭시S5에서 그렇게 해외 리뷰에서 악평을 들어서 걱정했으나 그 정도는 아녔는데 다만 360도 어느 각도로 인식하는 Touch ID와는 달리 각도를 잘 지켜야 한다는 것과 역시 땀에는 쥐약이라는 점에 결국 그냥 꺼버렸다.

갤럭시노트4는 여느 안드로이드와 마찬가지로 블로트웨어로 상당한 공간을 차지하고 있다. 가용공간이 그만큼 줄었다는 얘기. 그만큼 기능이 많다는 얘기도 되고 이동통신사의 갑질도 문제란 얘기지만. 그나마 갤럭시 기프트 등 번들앱을 선택해서 깔 수 있도록 한것은 잘한것이 아닐까. 개중에는 유용해 보이는 앱도 있기도 하고.

탑재되어 있고 사용하도록 되어 있는 기능은 참 많은데 다 따라하지 못하겠다. 끈기와 체력과 정열이 넘치던 십대도 아니고 160페이지나 되는 설명서를 다 읽어 기능을 외울 끈기가 이젠 없다(나중에 천천히 읽어 볼 생각이다, 손바닥 만한 큰 화면으로 천천히 읽는것은 어쩐지 문고본을 읽는 느낌이다). 따라서 더 소개하는것은 무리다.

정리하며

노트기능이나 스크랩 기능을 쓰며 처음엔 펜의 편리함을 느꼈지만 펜의 사용 빈도가 줄었다. 노트관련한 각종 편의 기능이 준비되어 있고 가끔 빼서 쓸때가 있지만 결국 느끼는건 펜의 존재보다는 커다란 전화라는 생각이다. 들고 오래쓰다보면 손목이 뻐근할 정도로. 6 플러스도 비슷한 무게에 크기일텐데. 앞길이 걱정이다. 아이폰 6 플러스를 얘기하다보면 펜의 부재를 언급하는 분이 계실줄로 아는데. 음 그거 있으면 좋은데 없어도 그만이더라고… 쓰는 사람들이 쓰더라고. 라고 할 수 있는 물건이 되어 버렸다.

삼성의 엔지니어들은 영리한 기능들을 잔뜩 집어넣었고 높은 완성도의 전화를 만들었다. 다만 그만큼 복잡해졌다는 것을 인정할 수 밖에 없다. 뭐 전화를 뒤집거나 스윽 화면을 훔치면 묵음이 된다라거나 그런건 설명서를 봐야 아는데. 설명서가 내장되어 있고 그걸 따라서 대충 따라하게 되고 그것도 모잘라서 160 페이지 짜리 정식 설명서가 있건만 읽기 어렵고 귀찮고 그러다보면 그 기능들은 제쳐두고 결국 커다란 전화기가 된다(정식설명서는 둘째치고 간이 도움말을 읽는 사람의 비율은 얼마나 될까?).

만듬새는 내가 갤럭시S2나 S3를 쓸때에 비하면 놀라울정도로 정교해졌고 다부져졌다. 여전히 플라스틱이지만 확실히 좋아졌다. 만약 고급 안드로이드 전화기를 찾고 있고 몇 년간 쓸것이며 무지막지한 크기의 화면과 따라오는 무게, 비싼 할부금을 감수해갈 자신이 있다면. 이 전화기는 나쁘지 않은 선택이 될 것이다. 갤럭시 노트4는 삼성이 내놓은 렉서스다. 앞으로 좀 더 쉽게 정리된 소프트웨어를 갖춘다면 화룡점정일텐데.

Rev 1.1 20141203 19:54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