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h: March 2017

  • 아이패드는 새로운 PC인가?

    아이패드가 처음 나왔을때 스티브 잡스가 했던 유명한 말이 있습니다. “PC는 트럭과 같아질 것이다. 점점 적은 사람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라는 거죠. 음, 결론부터 말하면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트럭을 몰고 다닙니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주된 인터넷 접속 장치로 휴대폰을 택하는 경우가 많고 이건 저소득, 중소득 국가에 가면 더욱더 명확해집니다. 사실 정말로 많은 일을 모바일로 할 수 있습니다. 예전에는 반드시 PC를 켜야만 가능했던 일이 PC 없이도 가능하지요. 대표적으로 각종 플러그인으로 덕지덕지 바른 인터넷뱅킹이나 쇼핑은 모바일로 하는게 훨씬 편리합니다. 모바일로 등기부 등본까지 열람이 되죠.

    최근 애플에서 재미있는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INs_bnk4yJQ

    사실 지금 꽤 빠른 수준의 싱크패드 노트북을 사용하고 있고 지금 글을 쓰는 것도 노트북입니다만, 굳이 노트북이 아니라 아이패드여도 큰 문제는 없었을 겁니다. 블로그에 글을 쓰거나 운영하는 웹호스트를 관리하거나 SSH 쉘이나 SFTP를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고 말이죠. MS 오피스가 있고 제가 쓰는 프린터는 AirPrint를 지원하기 때문에 인쇄도 무선으로 가능합니다. 예전에 어디에 서류에 서명을 해서 보냈어야 하는데 프린터가 작동하지 않아서 PC방까지 가서 프린트 한 뒤에 스캐너로 스캔해서 보냈던 기억이 납니다. 하지만 이제는 애플 펜슬로 서명을 해서 저장한 뒤 메일로 전송하면 되죠. 그러기 위한 툴이 여럿 있습니다.

    이전에 말했듯이 가격이 거의 PC 한 대 값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완전한’ PC 경험을 제공하지 않는데 문제가 있습니다만. 재미있지만 MS가 오피스를 내놓고 여러가지 클라우드 저장 솔루션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자체적인 파일 구조가 없는 아이패드의 약점이 많이 나아졌습니다. 아이패드 프로가 처음 나왔을때 지적받았던 사파리 탭을 여러개 동시에 못연다던지 하는 단점도 해결이 되었고(그럼에도 역시 PC쪽 브라우저가 좀 더 강력하긴 하죠), 동시에 여러가지 앱을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됐습니다.

    해서 애플에서 주장하는 것처럼 PC를 대체할 수 있을까요. 글쎄요. 아이패드는 트럭이 아닙니다. 서피스 같이 애매~한 트럭도 있습니다만 아이패드는 아이패드지요. 굳이 비유하자면 널찍한 짐칸이 있는 대형 SUV 쯤 될까요. 휴대폰이 세단이나 컴팩트 SUV고 말이죠. 많은 일을 할 수 있지만 트럭이 필요할 때는 트럭을 써야 할 겁니다.

    실제로 저는 수년전 맥이 고장이 나서 작동이 안되는 동안 아이패드와 아이폰만으로 살았고, 트위터를 비롯해서 소셜네트워크를 끊고 지냈을때도 아이패드와 아이폰 만으로 살았습니다. 아이패드가 있으니 PC는 필요없다는 얘기는 아닙니다만, 아이패드가 있으니 PC를 꺼낼 일이 줄어들었다면 과장은 아닐겁니다.

  • 태블릿의 우울

    애플의 아이패드 출하량이 계속 저조하면서 사람들의 태블릿에 대한 회의가 늘어가고 있습니다. 태블릿이 저조하다는 징조는 사실 여럿 있었죠. 한 통계에 따르면 전체 태블릿 출하는 정점이었던 2013년에 비하면 한 때 반토막이 날 정도였죠. 다행히 지금은 조금씩 회복하고 있는 추세입니다만 아이패드가 부진한건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만듭니다.

    일단 전화기가 커졌죠. 특히 아이폰이 커졌습니다. 아이패드 프로 9.7″ 을 사기 전에까지 아이패드 4세대를 사용했는데 굳이 태블릿을 써야하는 상황이 매우 적었고 나중에 가서는 애물단지가 됐습니다. 물론 지금은 전화기로 할 수 없는 일이 있어서(멀티태스킹이라던가 펜이나 키보드라던가) 다시 자리를 잡았습니다.

    아이패드 프로 9.7″은 키보드와 애플 펜슬까지 포함해서 거의 170만원했습니다. PC를 대체한다는 목표는 최소한 가격으로는 달성한 셈입니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조만간 아이패드의 새로운 버전이 나온다고 하는데 작년 5월에 구입한 아이패드를 새걸로 갈 용기가 나지 않네요.

    이게 한가지 문제입니다. 저는 아이패드 4세대를 아이패드 프로로 갈았고 만족했습니다만 아이패드 에어나 에어2 사용자가 아이패드 프로 9.7을 살 이유는 크지 않습니다. 12만원짜리 애플 펜슬이 필요하지 않다면 말이죠(키보드는 시중에 좋은 블루투스 키보드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니 상당수가 매년 2년주기로 교체를 하는 아이폰과는 달리 이걸 1~2년 주기로 교체하는 수요는 많지 않습니다. 통신사를 거쳐 사지 않으면 100만원을 훌쩍 넘는 아이패드를 현찰로 사야하니까요.

    태블릿으로 무엇을 하는지는 모르지만 대개는 웹서핑과 동영상, 전자서적이나 뉴스 관람을 꼽을 수 있는데 사실 이건 대단히 고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아이패드 에어나 아이패드 에어2 정도면 쾌적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겁니다. 특히 에어2의 경우 두개의 앱을 동시에 돌릴 수도 있지요.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어떤가 싶지만 안드로이드 태블릿의 존재도 잊어서는 안됩니다. 물론 삼성에서 나오는 갤럭시 탭 S 시리즈 같은 녀석도 있지만 주로 커다란 문제가 되는것은 중국 제조사, 이를테면 화웨이나 아수스 같은데, 혹은 이름도 알 수 없는 회사에서 나오는 저가/중가 제품입니다. 말씀 드렸다시피 커다란 고성능을 필요로 하지 않다보니 고성능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 편이고 덕분에 가격도 매우 저렴하죠. 아마존에서는 8만원에 킨들 파이어 태블릿을 살 수 있습니다(여러가지 이유가 있어서겠지만요).

    아까도 말씀드린 통계를 보면 태블릿 출하 자체는 15년 4분기와 16년 1분기에 바닥을 찍고 다시 반등하고 있는 추세입니다만 이 시장도 휴대폰이 그렇듯 고급 세그먼트를 차지하는 애플과 나머지로 나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삼성에서 요번 MWC에서 2년만에 갤럭시 탭 S3을 내놨는데요. 삼성이 오랜만에 드문 고성능 안드로이드 태블릿을 내놓은 점은 반갑지만 프로세서 등을 보면 최신인가? 하는 의문이 드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작년도 그렇고 올해도 그렇고 삼성은 슬슬 윈도우 태블릿으로 발을 옮기는거 아닌가 싶은 느낌도 있고 말이죠(윈도우 태블릿도 MS와 인텔의 노력으로 예전보다 많이 보급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