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지마라 너만 슬프냐…

사는것이 눈물겨울때가 있다. (손풍금)

울지 마라.
서러운 것은 너뿐이 아니다.
지는 꽃은 비명도 없이 고요하지 않더냐.

울지 마라.
생각이 젖으면 마음도 젖고 눈도 젖는다.
젖은 눈을 바라보는 내 마음을 생각해 보아라.

울지 마라.
춥고 아픈 것은 나 하나로도 족하다.
내 마음이 너를 가려줄 우산이었으면 좋겠다.

‘나는 자꾸만 살고싶다’, ‘구리무댁은 복두 많지’, ‘울지마라 너만 슬프냐’
이 책은 모두 ‘안효숙’씨가 쓰신 수필입니다.

책에는 문외한이지만 울적한 기분으로 가득했던 시기에 서점을 갔다가 문득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지요.
안효숙씨는 글쟁이(속된말로 ^^;;)는 아닙니다.

남편과 이혼하고 홀로 아들딸을 시골 장터에 화장품을 팔며 키워내신 한 여성입니다.
역에서 아이 둘 셋은 있을것 같아 보이는 여자가 어린아이처럼 주저앉아서 ‘엄마, 엄마아 나 이제 어떻게해’라고 우는것을 보며 자신의 옛날 모습이 떠올라 그 자리에서 울컥하신 이 아줌마.

보통 사람들이 봐도 절대로 행복할 수 없을것만 같은 굴곡 많은 인생을 살아오신 안효숙씨는 그래도 살고싶다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우는 나에게 ‘춥고 아픈것은 나 하나로도 족하다. 내 마음이 너를 가려줄 우산이었으면 좋겠다.’라며 토닥토닥 위로해주는것 같아서 참 힘이되었던 책입니다.

책을 읽기 전엔 저 글귀를 봐도 마지막 문단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근데 책을 읽고 나니 ‘춥고 아픈것은 나 하다로도 족하다’라는 말이 왜이렇게 서글프게 들렸던지요 T-T

지금은 괜찮습니다.
아래 글을 보니깐 문득 저 글귀를 소개해 드리고 싶었드랬죠.
지금 이 글을 보고계시는 누군가가 저 글귀로 위로 받을 수 있다면 좋겠다 – 라는 마음에서 포스팅합니다.

위 글귀는 안효숙씨의 세번째 수필 ‘울지마라 너만 슬프냐’에도 실려있고,
블로그에도 올라와있는 글귀입니다~
(참고로 ‘손풍금’은 안효숙씨의 블로그 필명입니다)

안효숙씨의 블로그 – http://blog.chosun.com/thsvndrma1
글귀 – http://blog.chosun.com/blog.log.view.screen?blogId=21957&logId=452444

(출처 : KMUG 자유게시판 12036번 Skyscraper님의 글 ‘우울해져서 울고싶을때마다’)

[소니 T100] 얼굴 검출 기능이 잘 되지 않을 경우.

피사체가 되는 사람이 이하와 같은 경우에서는, 얼굴의 검출을 잘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 선글래스등에 의해 얼굴이 숨어 있는 경우
  • 옆등을 향하고 있는 경우
  • 강한 역광 상태의 경우
  • 어두운 장소의 경우
  • 얼굴에 강한 빛이 맞고 있는 경우
  • EV보정을 강하게 걸쳤을 경우
  • 얼굴안에 그림자가 되어 있는 경우
  • 액정화면에 비쳐 있는 얼굴이 작은 경우
  • 액정화면에 비쳐 있는 얼굴이 너무 큰 경우

T100의 특징

주된 특징으로서


  • 하이비젼 정지화면 출력 대응(수평 1920 화소×수직 1080 화소)
    별 매의 사이버 쇼트 스테이션 「CSS-HD1」나 HD출력 아답터 케이블 「VMC-MHC1」 「VMC-MHD1」등을 사용하고, “BRAVIA”등의 하이비젼 TV(D단자(※1) 또는 컴퍼넌트 입력 단자)에 접속하면, 사이버 쇼트로 촬영한 아름다운 사진을 고정밀 한편 박력 있는 하이비젼 화질(※2)로 즐길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사이버 쇼트로 촬영한 옛 사진(※3)도,메모리 스틱 듀오에 보존해 DSC-T100로 재생하면, 하이비젼 화질(※2)로 감상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PC의 디스플레이나 프린트로 보고 있던 사진을, 지금부터는 대화면의 하이비젼 TV로, 고정밀 한편 박력 있는 사진을 가족이나 친구 모두 즐길 수 있습니다.





    ※1) D3·D4·D5의 어느 쪽인가에 대응





    ※2) HD정지화면을 보는 경우는 HD입력(D3·D4·D5단자, 컴퍼넌트 단자) 대응의 텔레비전과 별매액세서리(CSS-HD1/VMC-MHC1/VMC-MHD1의 어느쪽이든)가 필요합니다.





    ※3) 촬영시의 획사이즈가 2 메가 이상의 경우, 또 하이비젼 정지화면 출력 대응의 사이버 쇼트로 촬영 가능한 최대화 사이즈 이하의 경우

  • 「소리 포토」도 하이비젼에 대응
    촬영한 사진을 음악이나 효과에 맞추어 자동 재생할 수 있는 「소리 포토」(음악 다해 슬라이드 쇼 기능)(※4)도, 대화면 TV와 조합해 고정밀 하이비젼 화질(※1)로 즐길 수 있습니다.
    음악은 카메라 본체에 4곡이 pre-set 되고 있는 것 외에 부속의 음악 전송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4곡까지 좋아하는 곡을 PC 경유(※5)로 바꿔 넣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의 성장 기록에 추억의 곡을, 친구와의 여행으로 찍어 모아 둔 사진에는 유행곡을, 그리고 결혼식의 사진에는 웨딩 송을, 하이비젼의 고화질의 사진에 음악을 붙이고, 가정의 리빙으로 친구끼리나 가족 모두 즐긴다고 하는 새로운 사진 감상 스타일을 제안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없는 감동을 체험하실 수 있습니다.





    ※4) BGM/효과 첨부의 슬라이드 쇼는 정지화면만.
    동영상은 SD출력시, 노멀(효과) BGM 없이 슬라이드 쇼가 가능.





    ※5) 부속 소프트 「Music Transfer」를 사용

  • 소니 독자적인 얼굴 검출 기능 「얼굴 살결」탑재
    신개발의 얼굴 검출 엔진을 채용했습니다.
    얼굴 검출 엔진과 신화상 처리 엔진 「BIONZ」의 편성에 의해, 사이버 쇼트로서는 글자째라고 고속이고 고정밀의 얼굴 검출 기능을 실현했습니다.

    인물의 얼굴 사진을 촬영할 때, 핀트나 노출 보정, 플래시조광 뿐만이 아니라, 화이트 밸런스의 조정이나 색조정에 의해 안색까지 자동으로 최적화하는 것으로 미스 쇼트를 막아, 얼굴을 예쁘게 찍습니다.

















    1. AF(핀트)·AE(노출)·화이트 밸런스 조정·고운 피부 컨트롤:
    배경이나 얼굴 이외의 피사체에 핀트가 있어 버려, 얼굴이 핀보케가 되거나 자연광과 실내빛이 혼재해, 얼굴이 어두워지기 십상인 씬에서도, 얼굴에 확실히 핀트를 맞추어 밝기도 화이트 밸런스도 조정.
    한층 더 안색까지도 컨트롤 해 얼굴을 선명하게 예쁘게 찍습니다.
    2. 추적:
    한 번 파악한 얼굴은 확실히 검출해, 한편 얼굴이 움직여도 포커스범위가 고속으로 추적 하므로, 돌아다니는 아드님의 사진을 찍을 때에 편리합니다.
    또, 동시에 최대 8명까지 검출합니다.중심에 있는 얼굴·포커스 시간등을 가미해, 자동적으로 최우선 피사체를 판단해, 게다가 맞추어 적정한 보정을 행합니다.
    3. 플래시의 자동조광:
    야경·어두운 실내·역광등의 명암차이가 큰 씬으로의 인물 촬영에서도, 얼굴이 예쁘게 비치도록(듯이) 자동으로 노출을 보정해 플래시의 광량을 조정.
    얼굴도 배경도 아름답게 촬영할 수 있어 한층 더 아카매의 경감까지 동시에 행합니다.

  • 고화질·고속 처리의 신화상 처리 엔진 「BIONZ(비온즈)」탑재
    디지털 일안 리프 카메라“α100”에 탑재되고 있는 화상 처리 엔진 「BIONZ」를 사이버 쇼트용으로 신개발 했습니다.
    고화질·고속 처리를 한층 더 강화해, 얼굴 검출 기능 「얼굴 살결」이나 노이즈 저감을 큰폭으로 개선해, 보다 고감도로의 촬영을 실현하는 등, 아름답게 찍기 위한 다양한 신기능을 실현했습니다.

















    1. 고감도:
    고감도는 ISO3200(※6)까지 대응.
    어두운 씬에서도 자리등 다해가 적고, 해상감이 있는 화질로 촬영할 수 있습니다.

    또, 고속 셔터로,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발생하는 「피사체 흔들려」를 억제하는 것과 동시에, 어두운 곳에서의 치우침 보정도 한층 더 강화.
    흔들리기 쉽게 촬영이 어려웠던 황혼이나 야경을, 플래시 없이 깨끗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7)





    ※6) 통상 오토 촬영으로의 최고 감도는 ISO800





    ※7) 촬영 환경에 의해 치우침 보정의 효과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D레인지 옵티마이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순간에 분석해, 촬영 씬에 따라 적절한 노출·콘트라스트에 자동 보정합니다.
    예를 들어 배경과 피사체의 명암차이가 큰 역광 씬에서도, 감마 커브나 노출 레벨, 색, 샤프니스등의 파라미터까지도 자동 보정해, 눈으로 보았을 때의 인상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화상을 실현합니다.(※8)





    ※8) 촬영 환경에 의해 보정의 효과에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진화한 플래시:







    · 오토 데이 라이트 싱크로:
    플래시의 성능이 향상.
    인물이 어두워지기 십상인 역광 씬으로 플래시를 자동 발광시켜, 인물을 밝게 입체적으로 촬영.







    · 내츄럴 플래시:
    어두운 곳에서도 주위의 밝기에 맞추고, 플래시의 광량을 조절해, 배경의 흑 부서져나 인물의 흰색를 방지.







    · 매크로 플래시:
    플래시를 사용한 매크로 촬영시에는 피사체의 흰색를 억제.


  • 「광학식손치우침 보정」기능과 「고감도 ISO3200」를 더블로 탑재
    자신의 손의 흔들림으로 일어나는 「손 흔들려」를 억제하기 위해서, 「광학식손치우침 보정」기능을 탑재했습니다.

    셔터 버튼을 반 누른 순간에 시프트 렌즈가 움직이기 시작하는 「촬영시 모드」에 가세해 항상 시프트 렌즈가 움직이고 있는 「상시 모드」의 2개의 모드를 준비했습니다.
    씬에 응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9)

    고감도는 ISO3200(※6)까지 대응.
    어두운 씬에서도 자리등 다해가 적고, 해상감이 있는 화질로 촬영할 수 있습니다.

    또, 고속 셔터로 피사체가 움직이는 것으로 발생하는 「피사체 흔들려」를 억제하는 것과 동시에, 어두운 곳에서의 치우침 보정도 한층 더 강화했습니다.
    흔들리기 쉽게 촬영이 어려웠던 황혼이나 야경을, 플래시 없이 깨끗하게 촬영할 수 있습니다.(※7)





    ※9) 출하시는 「촬영시 모드」로 설정되어 있습니다.동영상 촬영시는 항상 「상시 모드」가 됩니다.

  • 촬영한 화상을 카메라 본체로 가공해 즐길 수 있는 「카메라내 수정」기능 탑재
    촬영한 화상의 가공이나 보정이 카메라 본체로 완성되는 「카메라내 수정」기능을 탑재했습니다.
    PC를 사용하지 않고 , 「소프트 포커스 필터」 「파트 칼라 필터」 「크로스 필터」 「어안 필터」의 4 종류의 가공을 즐길 수 있습니다.

    또, 화상의 트리밍이나 아카매 보정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 보다 사용하기 쉽게 된 신 「GUI(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채용
    보다 직감적으로 조작이 하기 쉬운 신GUI를 채용했습니다.
    커서를 세로 방향과 횡방향에 이동시키는 것으로, 필요한 기능을 경쾌하게 호출합니다.

    또, 모든 메뉴 아이콘에 설명(가이드)을 표시하는 「기능 가이드」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처음 디지탈카메라를 사용되는 고객에게도 간단하게 조작하실 수 있습니다.

되고 있습니다.

Sony DSC-T100 을 받았습니다. ( 간략한 Look & Feel )

소니가 지난 2일 발표한 T 시리즈 디카의 최신 모델,  DSC-T100을 받았습니다. 독특한 패키지속에 안내 브로슈어와 퀵 가이드, 그리고 각종 연결 케이블이 있었습니다. 연결 케이블은 USB와 컴퍼짓(composite)단자가 통합된 통합단자를 제공하고 있어, 만일 분실시 연결이 곤란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또한 요약 매뉴얼만 종이로 제공되고 정식 매뉴얼은 PDF 형식으로 제공된 CD-ROM 디스크안에 있어 카메라와 함께 휴대하면서 볼수 없는 점이 아쉽습니다. 기본메모리카드가 제공되지 않고, 카메라 본체에 31MB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외관은 기존의 T 시리즈가 그렇듯 크레딧카드 정도의 크기에 1인치 정도 되는 두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헤어핀 공법으로 만들어진 금속제 몸체가 무척 고급스러워서 정면만 보면 고급 파우더 컴팩트 케이스 같습니다.

액정이 3인치나되는데, 덕분에 2.5인치 액정을 채택한 루믹스 FX01이 아담스러워 보일 정도. 그래서 전원을 켜면 밝고 커다란 화면에 화면이 가득차서 시원시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립감은 슬림한편에 비해서 괜찮은 편이었습니다. 우선 쥐었을때 엄지손가락이 닿는 부분이 줌 스위치이고 전원과, 재생버튼을 제외한 모든 조작계가 엄지손가락으로 쥔채 작동할수 있어 매우 편리했습니다. 검지는 셔터와 전원/재생버튼을 중지는 사이버샷 로고가 있는 부분에 돌출된 부분에 걸칠수 있게 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액정크기를 늘리고 크기를 유지하는 과정에서 쥘수 있는 공간이 너무 희생이 되어서 한손으로 쥐자면 조금 불안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군요.

한편으로 모드 다이얼이 없는데. T100에서는 모드 다이얼 대신 홈 버튼을 이용하여, 촬영 모드와 재생모드 및 기타 인쇄/환경설정 등을 해결하도록 되어 있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매우 간편하며, 모든 메뉴 구성요소마다 한글로 설명이 붙어 있었습니다.

커버를 내리면 바로 촬영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포인트 앤 슛 형의 휴대성과 디자인을 중시한 카메라이다보니, 카메라를 많이 접한 분 보다는 초보나 여성이 많이 사용하리라 생각되는데,
그런면에서 T100의 자동모드는 정말 경탄할만합니다. 초점 노출 ISO 등을 자동으로 결정해줄 뿐만 아니라, 흔들림 방지 기능과 ISO 높임이 자동으로 이뤄져 그냥 포인트 하고 찍으면, 최대한 흔들리거나 노출부족이 되지 않을 정도로 카메라를 조절하게 되어 있었습니다. ‘베스트-에포트(best-effort)’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거기에 덧붙여 옵션으로 요즘 디카에 많이 채용되고 있는 얼굴인식 기능이 있어 얼굴에 맞춰 노출과 촛점, 화이트밸런스이 맞춰져 매우 편리했습니다. 이 기능으로 그 외에도 얼굴색 보정, 화이트밸런스 수정, 적목 수정, 플래시 정정 등의 기능이 지원된다고 합니다.

얼굴이 인식되면 얼굴을 가두는 초록색의 네모 프레임이 나오고 얼굴이 움직일때마다 따라서 움직이고 커졌다 줄어듭니다. 또 플래시를 터뜨려도 얼굴에 노출이 맞도록 적당하게 터지는 점도 좋았습니다. 슬로우셔터 플래시를 터뜨리자 실내에서 조화로운 플래시 사진(balanced flash photography)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DSLR을 비롯한 기존의 컴팩트 카메라가 수동으로 일일히 조절해야했던 점이 전자동으로 이뤄져서 매우 편리했습니다.

다만 얼굴인식 기능은 말그대로 얼굴 전체가 파인더(아니 LCD)안에 들어와야만 가능했지만 사진속의 얼굴도 인식할정도로 성능 자체는 어느정도 다듬어 져 있는 것 같습니다. 소니의 스펙대로라면 8명의 얼굴을 동시에 추적할 수 있다고 합니다.

AF 속도나 셔터랙은 DSLR을 같이 사용하고 있음에도 크게 느리다라고 생각되지 않을 만큼 신속했습니다.

촬영모드는 완전자동, 촬영모드(Scene), 프로그램 촬영과 동영상 촬영으로, 프로그램 촬영으로 할경우 모든 촬영 옵션을 선택해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소니는 ‘DSLR 알파’에서 채용했던 비욘즈(BIONZ) 프로세서를 채택했다는 것을 이 제품의 셀링 포인트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그로 인해서 고감도(ISO 3200까지)와 적은 노이즈,  내추럴한 플래시, 빠른 AF와 정확한 노출과 화이트 밸런스를 보여준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DRO(D Range Optimizer) 기능으로, 배경과 전경의 극단적인 밝기차이가 있을때나 역광에서 인물을 찍을때 등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AF나 노출은 괜찮은 편이었고, 노이즈도 같은 컴팩트 디카로는 꽤 괜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T100은 ISO감도와 렌즈의 자이로를 이용한 두가지 손떨림 방지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우선 반셔터를 누르면 렌즈가 손떨림방지를 하게 되고, 셔터가 느려질 것으로 보이면, ISO가 올라가는 것으로 보조를 하는 식입니다. 그렇게 하여 손떨림 방지가 손떨림으로 인한 흔들림을, IS O가 고속의 움직임의 흔들림을 막아줍니다.

촬영모드는 별로 특기할 것이 없이, 고감도나 야경 야간 인물 등 평이한 씬 모드들입니다.

한편 일본에서는 이 제품이 HD텔레비전으로 영상을 볼 수 있는 제품으로 선전되고 있지만. 이부분에 관해서는 크게 언급하지 않겠습니다. 우선 그러려면 액세서리로 HD용 어댑터가 필요하기 때문인데 현재 소니스타일 한국에는 없으므로….

그외에 특기할만한 기능은 리터칭 기능으로 적안수정이나 소프트포커스 어안 효과, 크로스필터 효과를 내주는 것입니다. 오리지널 이미지를 그대로 둔채 새 파일을 레코드 하더군요.

몇장 찍다보니 장단점이 드러나는데, 우선 소니의 선전에 비해서 노이즈 절감과 얼굴인식이 잘 안된다는 점, 설명서가 접근하기 어렵다는점, 조금 아쉬운 그립감, 배터리 넣고 최초 부팅시간이 긴점 정도가 현재까지 느낀 단점입니다. 그리고 액정이 큰데 비해 화소가 작아서 액정에서 최대배율로 확대해서 보았을때 안흔들린 듯 한 사진도 컴퓨터에서 보면 흔들린다는 등의 문제는 있었습니다.

이상으로 봤을때, 이 제품은 사진을 처음 사용하는 분이나 여성, 어린이의 메인디카로도, 다른 하이엔드급이나 SLR을 가지신 분의 서브 디카로 손색이 없을 듯 합니다.

이상으로 간단한 룩앤필 리뷰를 마칩니다. 추후에 사진이나 동영상을 첨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