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MVNO

  • 일본의 인터넷은 회선과 ISP가 따로따로

    일본에서 인터넷을 신청하면 대충 집안 공사와 집밖 공사로 나뉘어서 공사를 두 번하게 됩니다(FTTH의 경우, 주거 형태나 인터넷 회선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이 회선 작업은 NTT에서 해주게 되는데 NTT 등 회선 사업자와 계약하면서 ISP를 계약해야합니다. 혹은 반대가 됩니다.  “엥?” 싶으시죠? 네 그렇습니다. NTT는 단순히 광케이블을 빌려서 ISP에 연결해주는 일만 하고, 인터넷은 ISP, 즉 Internet Service Provider가 해줘야 합니다.

    따라서 인터넷 요금은 NTT 광 케이블 요금과 ISP 요금이 되겠습니다. ADSL 써보신분은 PPPoE 기억하실지 모릅니다. 주로 KT에서 했던 방법으로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서 접속을 하는 방식이었죠? 예. 일본의 인터넷을 가입하면 가입 서류를 보내주고 이 방법대로 설정하고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접속이 안됩니다.

    재미있는건 이 ISP에 따라 속도가 차이가 나는 경우가 꽤 있다는 겁니다. 같은 회선인데 말이죠. 심지어는 회사에 따라서 한국과 P2P 전송이나 음성/영상통화 품질이 차이가 난다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유선이라면 이해는 할 수 있는데… 무선도 그렇습니다. 말도 안돼! 라고 생각하시고 계시죠? 일본에서는 인터넷 접속 요금(대략 300엔, 도코모는 sp모드, au는 LTE-NET 요금 등)을 내지 않으면 인터넷 접속이 아예 안됩니다. 그냥 음성 전용 전화기입니다. 이렇게 돈을 받으니 한마디로 MNO가 ISP로써 작동하고 있는 셈이죠. MVNO 이용시에는 SIM을 끼워서 MNO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음성통화는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인터넷은 바로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자동으로 설정되는 MNO의 APN 등이 아니라 휴대폰의 설정을 만져서 수동으로 APN(Access Point Name) 주소(MVNO의 서버 주소)와 ID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합니다. 이 경우 ISP는 MVNO가 됩니다. 그리고 이게 딸리는게 MVNO가 속도가 느려지는 이유중 하나라고 말씀 드린바 있습니다.

    재미있지 않나요?

  • 베스트 에포트의 함정 – 일본의 통신 양극화 3

    베스트 에포트(best effort)라는 말을 들어 보신적이 있으신지요? 사실 우리나라에서도 ‘한때’는 썼던 말입니다. 근데 우리나라에서는 사실상 사어가 되어버렸죠. 뭐 다른 말로 바뀐 까닭도 있지만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베스트 에포트라는 말이 뭔 말인고 하니… 예를 들어 여러분이 100Mbps 급 회선을 계약했습니다. 통신사에서는 각종 제반 사정, 가령 동시 접속 부하라던가 이런저런 연유로 인해 속도가 떨어지더라도 문자 그대로 ‘최선’을 다했다는 것입니다.

    “베스트 에포트형 서비스ベストエフォート型サービス”는 그러니까 100Mbps로 계약을 해도 100Mbps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뭐 면책 나쁘게 말해 면피 같은 겁니다.

    사실 이게 어쩌다가 100Mbps가 나오지 않거나 우리나라처럼 현실적으로 80~90Mbps 정도 나오는 상황에서 100Mbps가 나오지 않았지만 ‘베스트 에포트’임으로 허는수가 없다. 라고 하면 어쩔 수 없지 하는 겁니다만 문제는 일본에서는 베스트 에포트라는 단어를 거의 매직워드로 남용하고 있다는 겁니다. 1000Mbps 급 서비스가 10Mbps가 안나와도 “베스트 에포트”고 150Mbps 급 MVNO의 LTE에서 1Mbps가 나오지 않아도 베스트 에포트인겁니다.

    업체에서는 그냥 베스트 에포트입니다. 한마디로 클레임을 방어할 수 있는거죠. 부글부글 끓는건 사용자일 뿐입니다. 사연을 접해보면 기가급 인터넷이 사용자 많이 몰리는 시간엔 느려지고 새벽에 빨라지는… 제가 FTTH를 설치한게 06년이고 00년 경에 케이블 모뎀을 설치했는데 케이블 모뎀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경우조차 있습니다.

    대문짝만하게 1Gbps 광 회선, 175Mbps ‘고속’ LTE라고 써놓고 자그마하게 베스트 에포트라고 적어놓고는 실제로는 느릴수 있다 깨알같이 써놓고나서 실제로는 그것에 턱도 안미치는건 둘째치고 실사용에 지장이 오는 수준이 종종 올라오는 현실입니다.

    MNO의 서비스는 그래도 2~30Mbps, 못해도 10Mbps 대가 나오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MVNO는 그 조차도 나오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요즘은 전문가들도 모두가 그냥 점심시간 때 등 피크 시간대에는 속도가 떨어진다는걸 감안하라고 조언할 정도거든요. 그게 1Mbps도 안될때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선의 경우에는 SLA(최저보장속도제)가 있기 때문에 계약서상의 속도(가령 저희집은 115Mbps입니다)를 보장해주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그런것도 없으니까요.

    우리나라를 보고 초고속 인터넷만 강국이냐. 라고 비아냥 대지만 초고속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이 멀쩡한 것만으로도 생각보다 대단한것이 사실입니다.

  • MVNO에 대항하는 일본 MNO의 자세? – 일본의 통신 양극화 2

    일본에서 통신의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말씀 드린 것 같습니다. MVNO 사용자가 과거 최대 수준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은 예전처럼 3사끼리 MNP 전입전출 경쟁을 빙글빙글 하던 시절과는 완전히 다른 상황입니다. 물론 혹자는 최소한 도코모 만큼은 MVNO도 도코모 망을 사용하는 만큼 완전히 손해는 아니지 않느냐… 라고 하지만 ARPU(사용자당 평균 매출)를 올려주는 보통 고객만큼은 절대로 아니겠죠.

    그렇다고 거절할 수 없도록 일본 정부가 법을 만들어 버렸고, 실제로 소프트뱅크는 끝까지, 정말로 끝까지 버티다가 일본통신에 망을 개방해야했습니다. 지지난달이었나.

    좌우간 완전히 남의 고객이 불어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하나. 요금을 낮춰야 하나? 가 정상인 것 같지만 정말 재미있는 친구들입니다. 그냥 무늬만 MVNO를 만들어 버린겁니다.

    응? 무늬가 MVNO라는건 뭐지? 라면, 간단하게 말씀드려서 기존에 자사 관련 계열사를 끌어들입니다. 망을 빌려줍니다. 그리고 팔게 합니다. 내부거래죠. 한마디로.

    이를 일컬어 서브 브랜드(サブブランド)라고 하는데이러한 예가 KDDI(au)의 서브 브랜드인 UQ 모바일, 그리고 이 서브 브랜드의 원조인 소프트뱅크 모바일의 Y! 모바일이 있습니다. 물론 UQ나 Y! 모바일이나 자체 망이 없지는 않지만 거의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모회사의 망을 ‘상호 이용’이라는 명목하에 사용하기 때문에 무늬만 MVNO인 MNO들입니다.

    가격이나 서비스나 보면 MVNO와 MNO의 중간입니다. 속도 좀 나오고, 통화료 적당히 받고, 점포 좀 있고. 대신 요금이 MVNO 보다는 조금 비싼 편입니다. 잘해도 10MB 나오기 힘든 MVNO 들의 속도 리스트에서 혼자서 수십Mbps를 찍는 UQ 모바일을 보면서 요금이 다르기에 망정이지 비슷한 요금 받고 저러면 욕 더럽게 쳐먹겠지 싶은겁니다. 자세한 사정은 취재라도 해보지 않으면 모르겠습니다만, 망을 상호 이용하기 때문에 MVNO하고 같은 조건으로 계약할 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Y!모바일과 소프트뱅크는 서로의 단말기에서 서로의 망과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회사 급… 이 아니라 정말로 같은 회사였군요 -_- 작년인가 재작년인가 합병했습니다. 그냥 서브 디비전이었어요. Y! 모바일은. 당연히 인프라와 자본력을 사용하는데 준(準) MNO 급 서비스가 나오는건 놀라울게 없죠.

    광고도 빵빵빵빵 합니다. 개를 통한 마케팅으로 재미 좀 봤던 소프트뱅크는 살찐 고양이를 사용해서 마케팅을 했고. UQ 모바일도 희안한 자매와 캐릭터를 등장시킨 광고를 뿌려서 재미를 봤습니다.

    여기에 매 분기마다 발표회까지 할 정도니 이건 MVNO인지 MNO인지 모를 정도라는 말이 있습니다. 작년 4분기 발표회때는 피코타로와 연예인들까지 불렀는데 기자들마다 소프트뱅크 발표회는 볼 것이 없었는데 Y! 모바일 발표회만큼은 최소한 나온 연예인 보는 맛이 있었다고 할 정도였고 연예 관련 기자까지 쏟아져서 바글바글했다고 전해집니다.

    한편으로 재작년 쯤까지는 흔히 MVNO나 서브 브랜드에서는 아이폰을 쓸 수 없다. 가 정설이었는데 지금은 취급합니다. 다만 최신 모델은 형님들 잡숫게 취급하지 않기 때문에 애플에게 있어 얘네들은 SE라던지 6s의 재고 처리를 도와주는 고마운 존재입니다.

    MVNO에 대해 말씀드리며 단말기가 저가 위주로 보급되고 있다고 말씀드렸는데 서브 브랜드도 거의 비슷한 단말기를 취급합니다. 최신의 고가 단말은 형님들이 쓰시겠다 라는 자세인걸까요. 아이폰, 갤럭시, 엑스페리아 등등 같은거 말이죠. 근데 재미있는건 소니 그룹에서도 MVNO인 nuro 모바일을 함에도 같은 소니 그룹의 소니 모바일은 절대 엑스페리아를 MVNO용으로 풀지 않고 있습니다. 저는 이걸 브랜드를 지키기 위한 자숙 내지는 MNO와의 사바사바의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이 아이러니에 대해 아마 상당수는 동의할 겁니다.

    뭐 그 외에 샤프라던가 후지쯔 같은 업체들은 MVNO용으로 찔끔찔끔 한 모델 정도씩은 내놓고 있습니다. 이 기종들은 중국 메이커에 비하면 문자 그대로 경악스러울 정도의 코스트 퍼포먼스를 자랑하지만(가격은 비슷하지만 성능이 비교가 안됩니다) 일본인들이 좋아하는 기능, 이를테면 NFC 결제(FeliCa)나 방수 등을 지원해서 MNO에서 뛰어드는 초심자(?)들에게 은근히 인기가 있습니다. 게다가 중국이라고 하면 이상하게 싫어하는 사람들도 꽤 되다보니. 중국? 응? 화웨이가 데이터를 바이두로 보낸다고? 그래도 싸고 코스트 퍼포먼스도 좋은데 쓰지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죽어도 일본 메이커만 쓰는 사람이 있는게 2017년의 일본입니다.

    아는분이 소프트뱅크에서 번호 이동을 하려고 하니 직원이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면서 Y! 모바일을 권했다고 합니다. 같은 회사니 뭐 한번 붙잡아보는건 좋은 전략입니다만 그럴거면 소위 말하는 ‘본가’의 요금을 좀 낮추지… 있을때 잘하지 그랬어? 이런 생각이 드는겁니다. 물론 그런 세상은 나이아가라에서 젖과 꿀이 흐르는 곳이겠지만요.

     

  • 통신 양극화 시대가 시작되는 일본

    사실 일본에 살지 않는 입장에서 일본의 상황을 전달하는데는 한계가 있지요. 오류의 가능성도 있고 뉘앙스의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되도록이면 여러가지 목소리와 기사를 접했지만 말이죠.

    일본에서 작년 화제가 된 단어 중 하나는 염가 스마트폰/SIM일겁니다(格安スマホ/格安SIM). 우리나라 말로 딱 정확한 뉘앙스로 1:1로 매치할 수 없지만 저는 트위터에서 이 둘 중 서비스를 MVNO로 기기를 저가격 스마트폰으로 번역을 해왔습니다. 실제로 우리 개념으로 보면 둘 다 이 정도가 무난한 번역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MVNO 서비스는 일본에서 2009년 쯤에 일본통신이란 곳에서 b-mobile이라는 것으로 3G MVNO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태동한걸로 압니다만 급격하게 확산을 한 것은 2014년 정도. 그리고 신문에서 格安スマホ를 적으면서 별도로 해설을 안해도 될 정도로 보급이 된 상태가 2016년 즈음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유튜브나 블로그 등을 돌아다니면서 본 사람들은 재미있어서 ‘캐리어キャリア’라고 불리우는 통신사 서비스와 아이폰이나 갤럭시, 엑스페리아 같은 최신 기종에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않고 MVNO 서비스와 MVNO 유통용 중저가격 스마트폰에만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사실 중저가격이 아닌 제품도 있습니다만-화웨이의 P나 메이트 시리즈 같이-아이폰이나 갤럭시가 10만엔을 넘어간 시점에서 본의 아니게 중저가가 되어버렸습니다).

    통신사를 거치지 않고 인터넷이나 양판점 판매만으로 판매 랭킹 상위에 화웨이 단말이 오른 것은 여러 인구에 올랐습니다. 아직은 일본에서 MVNO는 확실히 마이너이기는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상상하기 힘들지만 일본에서는 대리점(ショップ)에 대한 의존이 어마무시하게 큰 편입니다. 애플을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폰 메이커는 자체 A/S 센터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당일 수리는 어렵고 그래서 대리점에 가져가서 대체 기기를 받으면서 수리를 맡기고 하니까요. 이상이 생겨도 대리점으로 가고 요금 변경도 대리점으로 가고, 설정 문제도 대리점을 가고 신제품이나 신상품이 나와도 대리점으로 갑니다.

    그러다보니 통신사의 대리점은 도처에도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 시간이 길기로 악명이 높고 젊은 사람들은 그래서 인터넷 숍에서 사는 걸 선호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어차피 SIM 받아서 꽂는 거 정도야 본인이 할 수도 있고, 초기 세팅도 마찬가지기 때문이죠.

    그 연장에서 MVNO를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만, 일단 숍이 원칙적으로는 거의 없고, 서포트 체제는 전화와 메일입니다. 그냥 전화기와 SIM이 덜렁 도착하고 SIM만 신청하면 SIM 카드만 덜렁 도착하는 구조입니다. 원가 절감을 위해서 기사가 전달하는 택배로 전달하는게 아니라 우편함 투함하는 우편/택배 상품으로 보내는 경우도 있을 정도죠.

    이런 MVNO에서 주로 사용되는 스마트폰들은 1만엔 이하에서 비싸봐야 6만엔 정도의 소위 ‘SIM FREE’ 단말이 많습니다(일본에서는 원칙적으로 아직도 캐리어락이 걸려 나오고 나중에 요청을 해야 해제를 해줍니다) 그 이유는 일본에서는 단말기를 통신사가 사들여서 자사 제품製品 형태로 팔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MVNO용으로 따로 내놓는 귀중한 경우가 아니면 일단 일본 회사 제품은 보기 힘들고 외산이 주가 됩니다. 아수스 화웨이 ZTE 등등이 있고 특히 아수스하고 화웨이는 코스트 퍼포먼스가 높아서 MVNO 사용자들 사이에서 인기가 좋습니다.

    나중에 자세히 얘기를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아이폰도 애플에서 심 프리 단말을 판매는 하지만 그 가격이 한국도 그렇지만 일본 기준으로도 흉악스럽기 때문에 통신사의 보조금을 받지 않고 사면 무진장 비싸고, 그 돈 다주고 MVNO를 써봐야 그닥 차액이 크지 않으므로 차라리 통신사를 쓰는게 통신품질도 좋고 무제한 통화까지 쓸 수 있는 웃기지 않은 상황인지라 말이죠.

    아이폰의 상황에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고가 단말기는 MVNO 사용자들에게는 인기가 없습니다. 의무 사용기간이 없거나 길어야 1년이다보니 할부를 2년 하는 사용자가 많지 않고 그러다보니 일시불로 단말기를 사서 쓰는 경우가 많고 그러기 부담없는 1~3만엔 정도 하는 단말기가 압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일본의 MVNO 가격을 보면 대충 3GB 정도에 1천엔 중반 정도.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통화 기능 포함의 경우) 대다수 캐리어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5GB 요금제가 대략 7천엔 정도니까 상당히 저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MVNO로는 2천엔 초반이면 됩니다).

    이야, 싸네. 이러면 다 MVNO로 가는거 아녜요? 싶지만 제 신조가 비싼게 비싼데는 납득가는 이유가 없을 수 있지만 싼게 싼데는 반드시 납득할 수 있는 이유가 있다 입니다. MVNO 업자들은 1) MNO(캐리어)의 회선의 용량을 운용이 어렵지 않을 만큼만 빌린다 2) MNO는 통신망만 빌려주지 인터넷 인프라는 MVNO가 준비해야 합니다. 3) 대개는 영세하기 때문에 인터넷 인프라에 돈을 투자 많이 못합니다. 이것들이 합쳐져서 MVNO의 속도라는게 캐리어에 비할 수가 없을 정도로 느립니다.

    특히 점심시간에 쉬는 시간이나 출퇴근 피크 시간이 되면 ‘고속 요금제’에 들었는데 속도가 1Mbps 까지 떨어지는 경우도 흔합니다. 오죽하면 00년대 우리나라가 초고속 인터넷에서 그랬던 것처럼 어떤 MVNO가 저렴할까, 어떤 MVNO가 빠를까 정리하는 사이트가 있을 정도입니다.

    캐리어에서 얻을 수 있는 서포트의 부재와 이런 통신 서비스의 차이에 더해서 MVNO가 가까운 양판점이나 도심의 안테나샵에서 접할 수 있게 된 상황이 겹쳐져서 가입자 비율이 이동통신 가입자의 10%를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이 있는 와중입니다만…. 덕분에 불만이 치솟고 있죠. 소비자 민원이 폭증하고 있죠.

    일본의 MVNO는 ‘2년 속박2年縛り’라고 할 정도로 악명 높은 통신사식의 계약은 거의 없습니다. 데이터만 사용한다면 이번달 계약해서 다음달 끊어도 되고, 가입비도 경쟁이 너무 심해서 몇천원 안쪽으로 해결 볼 수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마당에 통신 품질이 들쑥날쑥하니 메뚜기처럼 푱푱 튀어 다니는 케이스가 늘었습니다. 휴대폰 업계의 저명한 저널리스트인 이시카와 츠츠무(石川温)는 MVNO의 갯수가 600개가 넘는다 라고 말합니다. 통신사의 부업부터 쇼핑몰, 인터넷 기업 케이블 방송사 등등. 벼라별 기업들이 다 참여하고 있습니다.

    지난달에 업계 상위에 들어가는 프리텔이라는 MVNO가 업계 1위인 라쿠텐에 MVNO 사업을 매각했습니다. 많이들 충격으로 받아들였는데 정말 MVNO의 현재가 지속성이 있는 것인가? 라는 의문을 모두에게 제시했기 때문입니다.

    통신사들은 이런 MVNO의 공세에 저가 요금제를 내고 고가 요금제의 용량을 늘려서 헤비유저를 잡는 등의 정책으로 가고 있습니다. 저는 이런 일련의 소동들을 물건너서 보면서 통신의 양극화 상태를 보고 있습니다. 돈에 곤란함이 없는 사람이라면 10만엔짜리 아이폰/갤럭시/엑스페리아 최신 기종을 2년 계약으로 사서 5기가든 그 이상이든 데이터 요금을 결제하고 무제한 통화를 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1~2만엔짜리 단말기를 일시불로 사서 1기가에서 3기가 짜리 요금제를 쓰고 1분에 우리돈으로 400원이 넘는 통화료를 내고 쓰는거죠. (최근 MVNO에서도 무제한 통화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지만 스카이프 등과 같이 별도 앱으로 전화를 해야 합니다)

    뭐 우리나라에서도 그렇지만 일본에서도 그렇듯이 통신사는 폭리를 취하는 이미지이고 MVNO는 그 폭리를 잠재워 주는 효과가 있다고 봅니다. 전화료가 종량제라 비싼건 라인 음성 통화로 떼우고 통신사 메일을 쓸 수 없는 것도 라인과 Gmail로 떼울 수 있다고들 생각합니다. 다들. (그래서 라인이 직접 MVNO를 한다고 했을때 올게 왔다고들 생각했었죠)

    주저리 주저리 썼습니다만 일본에서는 통신 서비스의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될까요?

    참고로 정부에서 통신비 인하 정책으로 그 뭐지…. 일부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사용량을 무료로 하는 정책을 제시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망중립성으로 금기시 되어 있는 이 정책이 일본에서는 대놓고 벌어집니다. 가령 아까 얘기한 라인모바일은 라인 뿐 아니라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의 데이터를 까지 않고 있고요, 앱스토어를 안까는 회사도 있고, 유튜브를 안 까는 회사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게 통신료 인하에 큰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는.

    요번에 라쿠텐에서 슈퍼 호다이 라는 요금제를 내면서 화제가 됐습니다. 통화 정액제와 고속 데이터가 패키지로 된 요금제인데 패키지는 어찌됐던 내 알바 아니고 너 알바도 아니고 다들 신경을 쓴건 데이터 제공량 다쓰고 나서도 1Mbps를 제공해주는 것이었습니다(우리나라에서도 저렴한 통신사 요금제의 속도 제한을 완화 하는게 요금 인하에 더 효과적이라고 주장하시는 분이 계십니다). 유튜브 정도는 적당히 볼 수 있게 해주겠다 이거죠.

    마지막으로 한가지만 얘기해 두려고 합니다. 일본에서는 통신사의 경우 기본 제공된 데이터를 다쓰면 거의 GB당 1000엔을 내거나 안그러면 128kbps로 짤없이 떨어져버립니다. 아마 다들 환장할 속도일겁니다. 일본쪽 MVNO 파는 동호인에게 우리나라 통신사가 얼마를 내면 기본 몇GB에 다 쓰면 하루에 2~3GB 고속통신이 되고, 그걸 넘어도 3~5Mbps 속도가 제공됩니다. 실질적인 무제한입니다 하니 어이 없어 하더군요. 왜냐면 일본에서는 하루에 추가로 더 주는게 아니라 3일동안 1GB를 쓰면 속도를 128kbps로 줄여버리는 통신사도 있거든요 -_-;

    여담으로 실질 128~256kbps 나오는 ‘무제한’ 요금제도 제공되는 회사가 있고 사용자가 있습니다. 슬럼가 주민을 보는 느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