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애니맥스

  • 라프텔에 관해

    언젠가였습니다만, 라프텔이라는 사이트에서 멘션을 걸어왔습니다. 분명히 애니플러스였나 애니맥스플러스였나에 대해 불평을 늘어놓은 트윗에 대한 리플라이였을 겁니다. 

    이 트윗을 쓴게 거의 일년 전의 일입니다. 지금 현재 상황을 말씀드리면, 

    지난 수년간 애니플러스와 애니맥스에 내던 연간 이용권 구독은 끊었습니다. 대신 월정액으로 바꾼 상황입니다. 금전적으로 말하자면 손해지만 말이죠. 그와 동시에 라프텔에 월정액을 같이 끊은 상황입니다. 중복이 발생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아깝지는 않습니다. 

    그동안 애니플러스나 애니맥스에는 사용성 개선을 여러차례 유선 등을 통해서 요구했었고 그러다가 이런 경우도 당했죠. 

    몇년 전에 ‘인류는 쇠퇴했습니다’의 후속권이 나오지 않고 기간旣刊이 절판된 문제로 출판사에 유선으로 상의한 적이 있습니다. 직원이 그러기를 ‘아시다시피 학생들이 많이 보다보니’ 학생들 방학이 되면 쇄를 다시 찍을 수 있다고 했습니다만 이게 애니플러스나 애니맥스 등을 비롯한 서브컬쳐 업계 전반이 고객층을 보는 시각 아닌가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코푼 돈 챙기는거죠. 그러다보니 기초적인 메일 사용법 조차 실수하는 것 아니겠습니까? 사회인인 친구들 누구를 붙들어도 이런 실수가 실제로 벌어졌다는걸 믿지를 않더군요. 

    라프텔로 돌아와서, 여러모로 왓챠와 왓챠플레이 혹은 넷플릭스를 떠올리는 구조입니다. 서브컬쳐의 왓챠/왓챠플레이 같은 사이트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앱은 물론 웹사이트도 사용성이 (최소한 애니플러스나 애니맥스에 비해서)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돈 값’을 한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화살표키로 스킵을 하거나 버튼 하나로 스샷을 찍거나 오프닝이나 엔딩을 건너 뛰거나 다음화로 자동으로 넘어가는 등. 돈을 내고 사용하는데 사용성이 불법 다운로드보다 떨어져서야 되겠습니까?

    한가지 안타까운 점은 라프텔은 독자적인 판권을 보유하고 서비스하는게 아니라 2차 제공을 하는 회사라는 점이다보니 최신작품의 경우에는 월정액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마치 IPTV VOD 마냥 개별 결제가 필요하다는 점 정도일지도 모르겠네요. 

    추후 어떻게 나갈지 모르겠습니다. 계속 3군데에 ‘세금’을 낼지, 아니면 라프텔 한 군데로 정리를 할지 말이죠. 

    라프텔을 포스팅 하나를 할애해서 추천하는 이유는 하나 더 있는데 크롬캐스트 지원입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크롬캐스트 지원은 약속대로 이미 지원 중입니다. 아직 좀 모자란 부분이 있으나(다음화로 자동으로 넘어가질 않습니다, 개선을 약속한 상태입니다만) 몇년을 해달라고 지랄을 부려도 쇠귀의 경읽기던 애니플러스나 애니맥스보다는 훨씬 낫지 싶어요.

  • 넷플릭스 사태를 보면서 든 생각

    넷플릭스에 오렌지 이즈 뉴 블랙이란 프로그램의 성적인 장면 일부가 블러처리 된 걸로 세간이 시끄럽습니다. 많이들 돈 내고 성인인증하고 보는 매체에 겨우 섹스 토이를 가지고 심의를 걸고 넘어지는 것에 기가 막혀 했습니다. 제가 보건데 심의 당국은 ’방송통신위원회’나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그리고 ’영상물등급심의위원회’와 같이 명명됨으로써 확고해진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확고하게 지키는 느낌입니다. 융통성 없고 고집불통인 영혼 없는 로봇같네요. 방송이란 매체에 대한 생각은 매우 낡은(old-fashioned) 느낌입니다. 생각해보세요. 올해로 케이블 방송이 생긴지 21년입니다, 제 방의 텔레비전으로 볼 수 있는 채널이 200개가 넘습니다. 늘 보는 채널은 10개 안팍이고 나머지는 채널재핑이거나 아니면 종교 채널이나 바둑 채널, 낚시 채널 같이 전혀 안보는 채널도 있습니다. 아마 이 글을 읽는 분 중 상당수는 애니플러스나 애니맥스라는 채널에서 무얼하는지 무슨 채널인지 아시는 분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혹시 모르실까봐, 애니메이션 채널입니다. 특히 애니플러스는 비교적 고연령의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본 애니메이션이 중심입니다.

    아마 베이비붐 세대인 우리 부모님이 애니플러스를 보실리는 없을 겁니다. 대신 저는 전혀 안보는 바둑 채널을 보실거고 어머니는 드라마 채널을 보실겁니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걸까요. 네, 20년이 넘은 지금은 방송은 KBS와 MBC, EBS와 지역 민방만 있던 시대처럼 모든 세대 모든 연령 모든 성별의 모든 취미를 가진 사람이 한군데에 모이는 세상이 아니라는 겁니다. 애니메이션을 들었는데 아마 ’저연령’이라면 주로 투니버스를 볼것입니다. 같은 애니메이션인데도 연령에 따라 채널이 달라집니다. 다시 말해서 초등학생인 어린이가 ‘어쩌다가’ 채널에서 방송되는 성인용 애니메이션을 볼 가능성은 그다지 높지 않습니다. 기껏해야 투니버스에서 볼 수 있는건 자정 가까이 하는 심슨 정도일까요?

    그러나 심의 당국은 방송은 모두가 보는 공개적인 영역으로 생각합니다. 마치 애니플러스나 애니맥스에서 하는 심야에 하는 애니메이션을 아이들도 볼 가능성이 있다는 전제로 생각합니다. 채널이 다르고 시간대가 다른데 말입니다.

    사실 요즈음에는 OTT(Over the Top) 서비스, 혹은 온디맨드 서비스가 많습니다. 예전에는 드라마 채널의 시간표를 살피던 어머니는 이젠 푹(pooq)으로 당신이 좋아하는 시간대에 좋아하는 드라마를 보십니다. 저는 큰 화면이라는 이점을 살려서 본방을 보기도 하지만 애니플러스와 애니맥스의 웹사이트 정액제에 가입해서 휴대폰이나 태블릿, 컴퓨터로 봅니다. 언제나 어디서나 좋아하는 시간대에 보는건 정말 좋습니다.

    미국에서는 케이블 커터(cable-cutter)족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셋톱박스를 치워버리고 OTT 서비스로 때우는거죠. 그 중심에 넷플릭스, 훌루, 아마존이 있고, 기존 방송사들도 뛰어 들고 있습니다. 우습지만 우리나라는 케이블은 자른 대신 IPTV가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고 케이블 회사가 ISP가 됐다 뿐이지 다를게 없습니다. IPTV는 급행차선을 타고 대역폭 제한에서도 자유로운(1Gbps 인터넷의 100GB 쿼터에서 차감안함) 특혜를 누립니다. OTT든 IPTV든 이걸 방송물로 봐야할지 저는 알 수가 없습니다.

    요 몇달 전부터 애니플러스나 애니맥스에서 방송한 TV 애니메이션, 그리고 구글 플레이 등에서 다운로드한 극장판 애니메이션에 재미있는 변화가 생겼습니다. 심의 등급(극장판의 경우 선정성 폭력성 등 상세 분류가 나옵니다)과 본래 방송일이나 개봉일이 영상물 시작 전에 나오더군요. 왜 그런걸까요? 심심해서? 일단 연락을 취해서 이유를 문의해 볼 생각입니다만, 왠지 이번 ’넷플릭스 쇼크’와 비슷한 이유가 아닐지 생각합니다.

    솔직히 불특정 다수가 특정 채널과 특정 VOD를 모두 보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제 슬슬 방송을 포함한 영상물이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만 높으신 분은 그걸 모르겠지요.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서브컬처, 특히 애니메이션을 보는 심의 규제 당국의 이중 잣대에 대해 얘기해 볼 생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