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이메일

  • 이메일을 잘못 쓰면

    이메일을 잘못써서 엿먹은건 힐러리 뿐만이 아닙니다. 사실 저는 무슨 문제가 있거나 문의가 있으면 온라인 게시판보다는 채팅을, 채팅보다는 전화를 선호합니다. 대개 경우 이쪽의 문의에 몇시간 걸려 달린 저쪽이 답변이 부족한 경우도 있고 그러면 또 다시 몇시간을 기다려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전화로 담당자와 통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메일을 써야 하는 경우가 있지요. 전화로는 참고 자료를 보낼 수가 없으니까요.

    때는 그러니까 두어달 전인것 같습니다. 모 애니메이션 채널의 안드로이드 앱의 이름이 이상하게 표기가 되었습니다. 처음에 전화를 했을때는 ‘그럴리가 없다, 자사 앱을 다운로드 받은 것이 맞는가?’라고 묻기에 맞다고 했습니다. 스크린샷을 요구하기에 메일로 보내주었지요. 자. 여기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그럼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메일을 받은 담당자가 내부 개발자에게 메일을 전달하려고 했던 모양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서 발생합니다. 전달이나 답신이 아니라 모두에게 회신(Reply All)을 눌러버린거지요. 덕분에 제가 클레임을 걸고 있다는 내부 문안이 그대로 저한테 발송되고 맙니다.

    지난달인가, 뉴욕타임즈 내에서 누군가가 전직원을 수신자에 넣고 단체 메일을 보내버립니다. 그만으로도 카오스인데 서로 자신을 리스트에서 빼달라고 모두에게 회신을 해버렸습니다. 모두의 메일통이 터져나가버렸죠.

    그러니까,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건… 이메일의 사용법을 잘 알아야 한다는 겁니다. 앞서 말한 애니메이션 채널의 담당자가 뒤에서 저를 어떻게 생각하던지 크게 신경쓰지 않습니다만(저는 돈을 내고 서비스를 받고, 그는 돈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하죠), 저에 대해 생각하는 내용은 자기 혼자 혹은 회사 내에서만 오가야 하는 겁니다.

    흔히 SNS를 인생의 낭비라고 하면서 조심해야한다고 하지만, 지극히 전파규모가 적은 이메일도 잘못하면 큰코를 다치게 됩니다. 사회 생활을 시작했다면 메일 사용법을 반드시 알아둬야 한다고 봐요.

  • 개인 이메일을 소셜 네트워크(SNS)에서 지키는 방법

    https://twitter.com/ERU_SO2/status/658911788763754496

    https://twitter.com/ERU_SO2/status/658912033358811136

    개인 이메일을 소셜네트워크(SNS)에서 지키는 방법.

    메일을 사적인 용도와 공적인 용도로 나누는 것은 좋은 아이디어다.

    당신의 메일 사용자 이름를 살펴보라

    다행히 나의 경우 닉네임과 실명 모두 어지간한 서비스에 선점 당하지 않았지만, 당신도 그러리라고 장담할 수 없다. 그러면 crazylove8 같은 아이디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이걸 명함에 박고 상사나 비즈니스 상대에게 자연스럽게 보여주거나, 전화 건너 파트너에게 불러 준다고 생각해보라. 뭐 KBS 박대기 기자(waiting)처럼 재치있게 만들 수도 있으나 솔직히 머리좋네 라고 생각은 들지만, 미국인은 ‘이게 뭡니까?’ 할게 뻔하다. 공적인 메일 주소의 사용자 이름은 되도록이면 당신의 풀네임 혹은 이름이나 성의 이니셜을 포함해야한다.

    당신의 메일 주소도 생각할 필요가 있다.

    나는 트위터에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간단하게 말해서 메일 주소의 도메인 부분은 당신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느냐를 드러내는 툴이다. ‘나는 이런 소속입니다’ 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example@microsoft.com이면 우리는 이 사람이 마이크로소프트 직원임을 알 수 있다. example@apple.com 이면 이 사람이 애플 직원임을 알 수 있다. 회사 메일로 보내는 것은 어느 하나 허투로 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사람의 메일 주소는 실로 엄청난 신빙성과 구속력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애슐리 매디슨에 왜 공무원이 회사 메일을 썼을까? 자신이 직원임을 드러내 신분을 나타내기 위해서다, 회사 평판 사이트인 Glassdoor는 회사 메일로 인증을 했다. 그런데 공적으로 사용되는 메일이 naver.com이나 gmail.com으로 끝나는 웹 메일 주소라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자기 도메인을 사서 자기 이메일 주소를 갖는데 들어가는 비용은 생각보다 비싸지 않다.

    2. 당신의 개인정보 설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서 이메일 등으로 당신을 검색할 수 있다는 것을 ‘그들도’ 알고 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는 여러분의 이메일 주소등으로 쉽게 여러분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것을 피하는 방법은 보안 설정을 철통같이 하는 것이다.

    트위터의 경우는 메일 주소와 전화번호로 찾을 수 있게 되어 있는 옵션이 켜져 있는 경우가 많다. 당장 끄는걸 추천한다. 뭐 ID가 메일하고 같다고? 지금이라도 바꾸는게 어떨까 싶다. 어차피 늦은거 안하는것 보단 낫다.

    페이스북도 그렇다. 페이스북 처음 쓰는 사람들은 자신의 모든 일거수 일투족을 전체공개를 하는데 절대 그러지 않길 바란다. 친구 신청 등을 할 수 있거나 검색을 할 수 있는 대상도 한정시키기 바란다.

    마지막으로, OTP나 로그인 인증을 반드시 사용하기 바란다.

    이제는 암호만으로 부족한 시대다 OTP나 로그인 인증 기능을 켜서 (귀찮지만) 2단계 인증을 사용해야 한다.

  • Gmail의 신기능 자동 분류, 재미있네요

    Gmail을 참 오래도 썼지요. 2004년 7월부터입니다. Gmail이 2004년 만우절 발표된 서비스니까요. 비교적 빠르게 초대장을 입수해서 가입한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HTML도 지원 안하고 한글 지원도 개판이었지만… 뭐 그래도 나름대로 Gmail을 쓴다는 것은 인터넷의 선구자(?)라는 인식을 주는 그런것이 있었던것 같습니다. 뭐 어린마음에 그런 건지도 모르지만요… 아무튼 당시에는 초대로만 가입만 되는 희소가치도 있었고… 

    아무튼, 그렇게 해서 이때까지 정말 지운 메일이 손에 꼽을 정도인데(테스트 메일이거나 향후 검색할 가치가 전혀 없는 메일들), 아무튼 6년 넘게 쓰다보니까 각종 홍보메일들이 수도 없이 쌓이더군요. 스팸은 잘 차단해주기 때문에 걱정이 없습니다만, 그 망할놈의 뉴스레터들이 문제죠. 이걸 다 일일히 끊을수도 없고… 그렇다고 이 뉴스레터땜에 제 실명으로 된 귀한 계정을 바꿀 수도 없는 노릇이구요. 이젠 이런 좋은 ID는 더 이상 가입도 안되니. 
    그런데 Gmail이 이제는 자동 분류함이라는 기능을 선보였군요. 흐음. 점점 외계인들을 고문하는 소리가 들립니다 허허허허. 아직은 그렇게 메일을 많이 받아보지 않았던지라 잘은 모르겠는데, 몇몇 메일은 잘 걸러주고 몇몇 메일은 잘 안 걸러지긴 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학습을 하도록 되어 있다니 한번 지켜보도록 합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