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lvad VPN을 사용해보고 있긴 한데…

뉴욕타임즈 와이어커터(Wirecutter)가 꼽아서 Mullvad VPN을 사용은 해보고 있고 나름 만족은 하는데… 일단 재미있는건 ID 패스워드가 없다는것이다. 무작위로 생성된 십 수자리 번호가 어카운트에 접근하고 앱을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단서가 된다. 잃어버리거나 잊어버리지 않도록 하자. 게다가 자동결제 같은것도 없이 그냥 5유로 선불이다. 한 달은 5유로, 두 달은 10유로, 열 두 달은 60유로. 깔끔하게 선불로만 받는다. 40일 지나면 결제 자료도 폐기한다고 한다. 만약 그 조차 믿기지 않는다면 암호화폐나 현금으로 지불할 수도 있다고 한다. 

VPN으로써 본분은 충분히 다하고 있고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나 앱이 솔직히 좀 ‘후졌고’ (물론 Wireguard를 일찌감치 도입하는 등, 앱의 겉이 중요한건 아니지만), 무엇보다 치명적인건 동시 접속이 아니라 활성화 댓수가 최대 5대 까지라는 점이다. 그외의 장점은 홈페이지 가보면 될거 같고… 한국 노드는 없다. 어차피 있어도 큰 쓸모 없겠지만(타사의 경우 접속료 비싸서 싱가포르에 서버 놓고 가상으로 굴리는게 대부분) 말이다. NYT 쪽 실험에서 일본쪽 노드 속도가 꽤 빠르게 나왔더라. 그외에 일본쪽 지오블록 해제할 용도로는 못쓴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냥 프라이버시를 위해 사용한다고 생각하자… 그리고 맥에서는 iCloud Private Relay와 상극이다. 깔기만 해도 iCloud 비공개 릴레이는 쓸 수가 없다. 

Wirecutter를 비교적 신뢰하는 편이지만… VPN에 있어서는 너무 자의적이고 엄격한 잣대를 들이민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긴 하다.  

푸른곰
푸른곰

푸른곰은 2000년 MS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Pocket PC 커뮤니티인 투포팁과 2001년 투데이스PPC의 운영진으로 출발해서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2005년 이후로 푸른곰의 모노로그를 운영하고 있으며 지금은 주로 애플과 맥, iOS와 업계 위주로 글을 쓰고 있습니다.

기사 : 2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