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에게 있어 한국은?

구글에게 있어서 한국은 어떤 국가일까요? 네이버에게 돈이 되는 검색 시장을 내다준 시장일까요? 아니면 포크가 아닌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세계에서 가장 많이 침투한 국가 중 하나로 보고 있을까요? 무엇이 되었든 간에 구글이 한국을 제대로 대우해주지 않는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크롬캐스트 울트라는 여전히 출시되지 않고 있고, 오늘 열린 Google I/O 2019에서 발표된 Pixel 3a 시리즈를 비롯해서 Nest Hub도 일본에서는 출시되었지만 우리는 아마 기약도 없을 겁니다. 아래는 방금 일본 구글 스토어에서 찍은 스크린 샷입니다. (VPN으로 접속해야 합니다)

반면, 우리나라 구글 스토어는 이 모양입니다.

보통 애플에서 이런식으로 한국을 차별하면 소위 IT 기자들은 애플이 한국을 업신여긴다는 둥 잘 휘갈기던데 구글의 차별에 대해서는 이렇다할 기사를 못본 것 같습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애플은 프라이버시를 위해 좀 더 노력해야 합니다

애플은 여러가지 광고를 통해서 자사 제품의 프라이버시에 대해 강조해 오곤 했습니다. 라스베가스 CES 행사장에 붙였던 빌보드 어그로… 아니 광고는 화제를 일으켰었죠.

물론 사람들은 애플이 아이클라우드에 대해서는 광고처럼 공고한 태세를 취하고 있지 않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고, Siri에 관해서는 얼마전 워싱턴포스트의 제프리 파울러는 음성을 (비록 익명화 하더라도) 보내는게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었습니다.

SNI 감청이 이뤄지는 한국의 상황에서 DNS over TLS와 ESNI(Encrypted SNI)는 매우 중요한 툴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이 둘 다 애플의 주요 두 운영체제와 브라우저가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DNS over TLS는 안드로이드가 9.0에서 작년부터, ESNI는 파이어폭스가 역시 최근부터 정식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프라이버시를 생각한다고 광고를 한다면 애플도 이번 WWDC를 기점으로 이 둘을 지원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2010년대의 네이버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2010년대의 네이버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아니 어쩌면 그보다 더 할 수도 있습니다. 카카오가 대화 목록에 광고를 넣는다는 내용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런 강수를 둔 바탕에는 카카오톡을 사람들이 벗어나지 못할 것이란 자신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얼마전에 국민연금을 조회하려고 들어가보니 전혀 생각지 못한 것을 만났습니다. 카카오 페이 인증이라는게 있는 거죠(유감스럽게도 “보안정책상” 캡쳐는 할 수 없었습니다). 잠시 생각에 빠집니다. 사람들에게 고지서며 각종 알림을 카카오톡으로 보내는것도 이제는 자연스러워졌고, 카카오는 거기에 안주하지 않고 법적인 효력이 있는 문서, 이를테면 예비군 통지서 같은 것도 보낸다고 하죠?

뭐 여기까지라면 모르겠습니다만, 카카오는 결제 사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카카오 페이죠, 그리고 카카오T를 가지고 있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카카오T로 택시를 잡고 스마트 호출 요금과 택시 요금을 내기 위해서 카카오 페이를 쓰고 있습니다. 그럼 카카오는 제 이동 동선과 제 소비 경향까지 알 수가 있습니다. 게다가 카카오뱅크은행은 카카오 계정의 내용을 여신 심사에 반영한다고 동의서를 받는 마당입니다. 빅데이터 어쩌고 할 레벨을 이미 떠났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에서 위챗의 영향력은 이미 단순한 메신저의 궤를 벗어나고 있습니다. 상거래 플랫폼이고 생활의 근간이 되고 있습니다. 악명 높은 사회신용 제도의 눈과 수족이 되어 열일하고 있죠. 페이스북과 구글이 중국에 없다고 하지만 사람들은 아마 그 모두를 크게 반기지도 필요로 하지도 않을겁니다.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카카오는 점점 생활 플랫폼이 되어가고 있고 이건 점점 공고화되고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종종 인용하는 저희 어머니도 결국 안쓴다 안쓴다 하더니 결국은 오늘 카카오톡을 까시고 말았답니다(?).

2000년대는 네이버가 인터넷과 삶을 장악한다고 우려했다면 2010년대, 그리고 더 나아가서 2020년대에는 카카오가 더 위험한 존재가 될지 모르는 노릇입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