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한 것에 대한 고마움을 체감하다.

제가 처음 블로그를 (본격적으로) 시작한건 태터툴즈였습니다. 그전에 잠시 워드프레스를 굴렸는데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웹호스팅 위에서 굴러가서 포기하고 태터툴즈로 갈아탔죠, 아마 지금 살펴본다면 어쩌면 유니코드도 지원하지 않는 서버에서 용케 잘 썼구나 싶습니다. 그러다가 중간에 티스토리로 갔다가 이번엔 워드프레스로 갈아타서 다시 웹호스팅으로 돌아왔는데 티스토리를 쓸때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던 문제, 이를테면 트래픽이나 데이터 용량을 신경써야 한다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티스토리 시절에는 글이 엄청나게 팔려서 방문자가 많이 늘면 그저 반가운 문제지만 웹호스팅을 쓰는 입장에서는 사진 많은 글에 방문자가 많이 들어오면 트래픽을 불안하게 모니터하다가 추가결제를 해야하는 지경이죠. 지금은 훨씬 여유있는 상황이지만 그 여유를 위해서 훨씬 많은 비용을 들이고 있는게 사실입니다.

쉐어드 호스팅의 장점은 사실 간단한 리눅스 명령어와 SSH, FTP 사용법만 알면 크게 지식이 없이도 돌아간다는 점입니다. 그 간단한 사용법이 처음에 장벽이 됩니다만…

최근에 리노드(Linode)를 한번 사용해보고 있습니다. 고상한 말로 VPS, 가상 사설 서버 혹은 가상서버호스팅인데 실제 서버를 두는게 아니라 클라우드에 있는 컴퓨터들에 가상으로 실제 서버가 있는 척을 하는 겁니다. 그냥 단순하게 돈 주고 서버를 빌린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그 서버로 뭘 하든 자유인데. 그냥 프롬프트 띄워놓고 명령어 연습을 하든지 워드프레스나 이런저런걸 올려서 가지고 놀아도 좋습니다. 다 좋은데 처음 시작은 그냥 OS도 깔려있지 않은 서버에 OS를 설치하는 것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모든게 다 깔려져 있고 준비가 된 쉐어드 호스팅에 비해서 깝깝한게 사실입니다. 지금도 문서를 읽어가면서 뭘 하려는지도 모르는채 서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최종적으로는 워드프레스를 한번 돌려보는게 목표입니다.

이 블로그는 클라우드플레어를 거쳐서 접속이 되도록 되어 있는데… 지금도 딱히 느리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사실 서울 노드가 있었을땐 더 빨랐습니다. 다만 지금은 그게 막혀서 미국까지 트래픽이 가죠. 어차피 서버가 미국에 있으니 어찌보면 이점이 없어보입니다만 이런저런 그 외의 장점이 있어서 계속 쓰고 있죠. 리노드는 도쿄에 서버가 있고 핑이 30~50ms대라 꽤 괜찮습니다(이상하게 왜 클라우드플레어가 도쿄로 라우팅 안하는지는 의문입니다, 그네들 말로는 가장 최적의 노드를 알아서 찾아가게 되어 있다는데…).

좌우간 포털 블로그와 쉐어드 호스팅을 거쳐서 가상서버호스팅까지 점점 일이 커지고 있습니다만… 글쎄요 모르겠습니다. 어느날이 되면 이 블로그도 리노드로 이사할지 모르겠습니다만. 그 전에 좀 습작을 좀 해봐야 알겠습니다. 가상서버호스팅에서는 명령어 한줄 잘못쳤다가는 모든 내용이 확 하고 날아갈 수 있으니까요. 좌우간 당연히 제공되던 것에 대한 고마움을 절감하고 있습니다.

갤럭시S8+ 구입

갤럭시S8 플러스를 샀습니다. 분명히 애플 블로건데 아이폰 샀다는 글이 요즘 뜸하죠? 사실 저는 매년 아이폰을 언락으로 일시불로 사는데 이걸 저희 집에서는 ‘애플세(Apple tax)’라고 부릅니다. 나 오늘 세금 냈다를 블로그에 적지 않듯이(트위터라면 모르겠네요) 아이폰에 관해서 이래저래 적지는 않습니다. Workflowy를 이용해서 리뷰에 필요한 글감을 모아뒀는데 이것저것 다 말하려다보니 너무 많아져서 이걸 어쩌지 싶을 정도로 커져서 소화불량 걸릴 지경입니다. 뭔가 방안을 찾아서 곧 리뷰 올리지요. 

첫 갤럭시가 S2 였는데 지금 S8을 보면 삼전 엔지니어들은 (만약 줄곧 재직하고 있다면) 감개가 무량할 것 같습니다. 카피캣이라고 불리던 시절에서 이제는 카테고리를 이끄는 존재가 됐으니까요. 

다만 스마트폰 자체가 퀄컴 SoC에 소니 이미지 센서 달고 시냅틱스 지문 센서에 이것저것 해서 안드로이드 얹으면 되는거 아냐? 싶을정도로 상향평준화되서 갤럭시S2에서 S4나 S5 시절 만큼 엄청난 반향은 없는거 같습니다. 진짜 S2-S3 때 영상을 보면 안드로이드 경쟁사를 압도하는 스펙과 퍼포먼스를 보여줬는데 이제는 스냅드래곤 835 넣은 회사는 차고 넘치니까요. 게다가 중국회사는 값도 깡패입니다. 

뭐 이거저거 얹고 남는 부분에서 삼성이 삼성다움을 보여주고 있는데 인피니티 디스플레이라던지 빌딩 퀄리티(세상에나! S2시절에 저에게 삼성이 빌딩퀄리티로 압도하고 있다고 하면 약 했냐?라고 물었을듯)라던지… 대신 그만큼 값을 받아가고 있으니까요. 이번 갤럭시가 제가 처음으로 산 100만원 이상의 안드로이드입니다. 

한국에서도 도레이씨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제목 그대로 한국에도 도레이씨를 수입하는 회사가 생겼고 한국에서도 판매하고 있습니다. 사실 검색하시고 그 회사 분이 메일까지 주셨습니다. 아마 오픈마켓 등에 가시면 구하실 수 있을겁니다. 직구까지 하던거에 비하면야. 여기까지는 좋습니다만… 

가격이 살인적입니다. 세상에 장당 18,000원 가까이 한다니요. 가격의 헬조서나이즈입니까? 도레이새한 시절에 4-5000원 하고 현지 가격도 30×30 무지 한장에 5~600엔 하는데 절반 크기가… 

기쁜 마음에 찾아보았으나 결국 얼마전에 한번 더 일본에서 10개 쯤 들여왔습니다. 10개라지만 무게도 얼마 안해서 그리 비용도 안비쌉니다.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