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도시 트위터 전 CEO는 TED 스피치에서 트위터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는데 사실 정말 그러하다. 트위터가 드디어 당당히 자신이 팔로우 하지 않은 내용을 보여주게 됐는데 이게 정말 정식으로 롤 아웃될 것인지 궁금하다. 내 생각은 예전에 트위터 IPO 당시에 썼던 글로 갈음한다.
삼성의 우울한 규모의 경제
삼성 스마트폰 불안한 1위라는 기사가 있다. 솔직히 애플 때를 생각하면 기사 하나하나에 일희일비를 하면 끝이 없긴 하지만 화무십일홍이라. 그렇게 한없이 성장할 것만 같던 삼성의 위기가 언론에서 다뤄지는 것을 보면1 경종이 울리긴 울리는 모양이다.
안타까운 것은 이것이다. 애플이 전세계 시장에서 2위를 하고 있고 만약 여타 업체가 더 치고 와 2등의 위치를 빼앗더라도 그것은 좀 더 가치가 있는 2등 혹은 3등이다. 왜냐하면 애플은 애플만의 생태계가 있기 때문이다. 애플만의 경제가 있기 때문이다. 애플에서 전화기를 사서 에플에서 앱을 사고 애플에서 음악을 사고 애플에서 영화를 사며 애플에서 책을 사고(물론 서드파티가 존재한다) 모든 것이 가능하다. 애플 만의 경제가 존재하고 애플 만의 기능이 존재하고 애플만의 에코시스템으로 애플 기기와 연동되어 아이패드, 맥 등으로 연동되며 그로 인해 락인 효과는 점점 강해지고 있다. 스티브 잡스 사후 디지털 허브 전략에서 점차 클라우드를 통한 기기 연동을 시도하고 있으며 올해 WWDC에서는 그를 한층 더 강화시켰다2.
샤오미를 중국의 애플이라고 하는 이유를 들어 자체의 에코시스템이라고 하는데 삼성은 어떤가? 구글의 에코시스템에 편승한 것에 지나지 않은 것 아닐까, 개인적으로 갤럭시S3를 쓰다가 넥서스5로 옮겨서 불편한건 한국 특유의 기능을 못쓴다 정도였다. 그 외에는 그냥 앱을 옮기니 끝이었다. 메이커 간에 아무런 락인 효과가 없다. 만약 내가 아이폰에서 안드로이드 이를테면 삼성으로 옮겨서 생기는 메리트던 디메리트던 그것은 안드로이드라서 생기는 것이지 않은가.
애플은 매년 WWDC에서 얼마의 금액을 개발자에게 지급했다고 자랑해왔고 그 전철을 구글도 따라하고 있는데, 그것은 삼성에게는 불가능 한 일이다. 구글은 삼성을 비롯한 벤더에게 자신의 서비스를 최선으로 노출시켰고 삼성 자신의 컨텐츠 서비스에 대해서는 노골적인 반대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안드로이드 진영의 최대 벤더였더였던 삼성이 구글의 최대 후원자가 된 셈이다. 갤럭시 기어가 타이젠 기반이 되었을때도 은근한 압박이 있었다니 이쯤 되면 갤럭시 시리즈를 띄워준 것이 구글인지 구글을 띄워준 갤럭시인지 분간이 되지 않는 지경이다.
좌우간 샤오미와 마이크로맥스가 각자의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한것 이상으로 더 커다란 의미는 삼성이 규모의 경제 이상을 만들어 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확실히 한계를 보이고 있음이 이번에 드러난것이 아닐까. 임원에게 비즈니스석을 타는걸 금하는 것도 좋지만 이런 고민을 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다.
고양이 천국 타임라인과 여론의 함정
트위터나 SNS를 하다보면 흔히 하는 오해가 '내 주위의 여론은 다 이래'라는 것이다. 그런데 의외로 폐쇄성과 편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생각하게 되는 일례가 있다.
2010년 조사('국립수의과학검역원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반려동물중 개가 94.2%를 차지하지만 나의 타임라인의 경우 거의 반대의 비율로 고양이를 키우거나 고양이 사진을 업로드하거나 고양이를 닉네임으로 하거나 고양이를 프로필 사진으로 하거나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이 나온다. 개의 경우는 거의 없다.
트위터를 하는 사람이 유달리 고양이를 좋아하는것이 아니라면(반대로 개를 키우는 사람이 트위터를 안하는게 아니라면) 내가 고양이(와 고양이와 얽힌 사람들)를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쫓아'간것이 아닐까(실제로 프로필에 고양이를 좋아한다고 쓰여져 있기도 하고). 만약 이런것이 정치적인 취향, 기술적인 취향, 취미에 대한 취향에서도 의식, 무의식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고 생각해보라. 내가 타임라인에서 보고 있는 내용은 내가 만든 필터에 의해 걸러진 여론이란 얘기다. 개와 고양이의 왜곡장처럼.
따라서 SNS에서 읽은 내용을 보고 여론을 판단하는 것은 '봐, 트위터 사람들은 고양이를 이렇게나 사랑하잖아? 세상은 고양이를 사랑하고 있다고!'라고 외치는 것 만큼이나 어리석은 행동이라고 밖에 볼 수 있다. SNS는 자신이 원하는 사람만 팔로우 할 수 있고 언팔로우도 가능하며 블록도 가능하다. 따라서 뭔가 제대로 여론을 읽기 위해서는 SNS이외의 수단으로 이차 검증하는, 보다 폭넓은 시야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