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의 블로깅을 도와주는 두가지 툴

곰의 블로깅을 도와주는 두가지 툴

요즘 포스팅이 늘어났다고 생각하지 않으세요? 제가 컨디션이 좀 좋아지면서기도 하지만서도 두가지 툴을 발견하면서 입니다. 이걸 사용하니까 효율이 업! 되었습니다. 저는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맥을 사용하는데요. 이 두가지 툴을 사용하면서 많은 도움을 얻게 되었습니다. 첫번째 보시죠.

 

MarsEdit

 

MarsEdit 1

 

MarsEdit는 한마디로 맥용 외부 블로그 편집기입니다. MetaWeblog를 비롯해서 벼라별 타입을 다 지원하고 Tumblr도 지원하기 때문에 저는 이걸로 운영하는 모든 블로그에 글을 다 발행할 수  있습니다 ^^ 이걸 쓰면 가장 커다란 장점은 이미지를 첨부하기 쉽고 서식 효과를 넣기 편하다 라는 점이 아닐까 싶네요. 그 외에도 오프라인으로 차분히 뼈대가 되는 draft를 써갈겼다가, 이후에 블로그 포스트로 완성하는 방식으로 글을 완성하고 있습니다.

 

Skitch

 

Skitch

 

이 녀석은 맥용 캡처 프로그램입니다. 캡처도 되고 캡처한 것을 웹이나 FTP 등으로 올려서 공유도 할 수 있는데 저는 그냥 캡처해서 간단하게 편집해서 올리는 용도로 쓰고 있습니다. 바로 위의 사진도 Skitch로 캡처한 것입니다. 뭐 수정도 되고 워터마크도 넣고 할 수 있다 하네요. 수정한 다음에는 그냥 아래의 Drag Me를 눌러 아무 폴더나 바탕화면으로 드래그 하면 저장됩니다. 그런 다음 MarsEdit로 끌어 넣으면 포스트에 붙여집니다. 그러니까 뭐 여러가지 포스트에 글 쓸때 아주 편리합니다~ 정말 좋죠.

 

번외편 : Dropbox

 

사실 좀 블로그에 사진 올리기가 귀찮을때가 있습니다. 이럴때 아이폰으로 사진을 찍어서 이메일로 첨부해서 메일 프로그램으로 받곤했는데… 아이폰 사진 프로그램으로 찍은 뒤 드롭박스 어플로 올려서 드롭박스 폴더에 저장된 사진을 MarsEdit로 드래그해서 포스트 하곤 한답니다. 🙂

 

해서 이런 툴을 사용함으로써 여러분에게 최근 포스팅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마음에 드시나요?

옴니아 사태, 그리고 내가 사용기에서 유지하는 태도에 대해서

리뷰 및 사용기에 대해(지금은 잠시 사정상 사라져 볼 수 없음)와 왜 제 리뷰와 사용기를 믿을..에서 내가 밝힌 바는 두 가지이다. 내가 구매한 제품에 대해 솔직한 감상을 적겠다. 특정 기업에 매수되지 않는 공정공평한 솔직한 사용기를 적겠다. 라는 것이었다. 내가 이 두가지 공지를 적었던 것은 내가 아이러니하게도 옴니아 사태에서 뼈저리게 느낀 것이 있기 때문이다.

유명 블로거들이 햅틱2의 장점들을 설명했다. 이런 저런 장점들이 있다. 라고 설명해서 솔깃했다. 그래서 당시 학생이던 나는 아버지를 설득해서 햅틱 2를 구입했다. 그리고 내가 스스로 휴대폰을 구입할 능력이 되었을 때, 옴니아(옴니아1)가 출시되었는데, 나는 PDA에 관심이 많았으므로 옴니아를 어렵사리 구입하게 된다. 물론 설득하느라 어려움이 있었던걸로 안다.

근데 한가지 여기서 재미난 현상을 발견한다. 불과 두세달 전까지만 해도 햅틱2가 좋아요~ 하던 블로거가 이번에는 옴니아의 장점에 대해서 설파를 하는 에반젤리스트가 되어 복음을 설파하고 있었던 것이다. 믿을 수 없었다. 내가 이 두가지를 구입하기 위해 들인 돈이 180만원이 넘었다. 뭐 그래 관심이 많은가 싶었다. 그런데 옴니아의 실망감이 쌓일 즈음 그들은 경쟁사의 다른 제품의 칭찬을 올리기 시작했다. 믿을 수 없었다. 상식상…

그리고 나중에 그것이 업체의 ‘협찬’이라는 명목으로 제공되어 이뤄진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공식적인 정책으로 일체의 광고와 협찬, 제휴, 체험단 프로그램을 거절하겠다. 오로지 내 돈으로 구입한 것에 한해서만 포스트하겠다 라는 정책을 걸게 되었다.

물론 그렇게 함으로써 화려함은 떨어질지 모른다. 최신기기가 몇대씩 오르내리는 블로그는 아닐지 모르겠으나… 적어도 누군가 검색을 해서 들어 왔을때, 구독을 해서 찾아 왔을때 내 리뷰를 신뢰할 수 있도록 남을 수 있는 그런 블로그로써 남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수많은 원성을 하는 옴니아 유저들을 보면서, 수많은 그 옴니아를 칭찬하던 소위 파워블로거들에게 책임이 아예 없지 않다고 생각한다. 나는 내 길이 옳다라고 감히 자신한다. 앞으로도 이 길을 유지할 생각이다.

뉴욕 타임스 유료화 유감

뉴욕타임스 유료화 유감

 

뉴욕타임즈가 지난달 27일자로 유료화를 했습니다. 사실 전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종이 신문 가입자로써, 사전 안내된 바로는 ‘무제한 디지털 액세스(Unlimited Digital Access)’를 받을 수 있다고 해서 안도하고 있었습니다만.. 일단 사실 비싼 가격(무제한 액세스를 하려면 35 USD)은 참 대단했죠… 덕분에 유료화 이후 트래픽이 30% 이상 줄었다고 합니다. 뭐 트위터나 검색을 통한 액세스는 부분적으로 막지 않고 20개의 기사를 볼 수 있다고 합니다만 뉴욕 타임스 사이트에서 보니까 제가 지난달에 몇개의 기사를 봤는지 카운트 해주던데 35개인가를 봤더군요. 그니까 쉽게 말하면 돈 내지 않으면 곤란하다… 라는 얘긴데…

 

IHT 가입자 신청 어려움

 

일단 IHT 가입자의 신청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미리 유료화 전에 등록을 하려고 했었는데 Subscriber 번호를 따려고 했는데 IHT Joong Ang Daily 측에 전화해서 받아 적은 번호로는 찾을 수가 없답니다. 그래서 물어보니까 3/31일이나 되야 한답니다. 근데 3월 27일(미국시간)에 유료화 한다는데! 뭐 그래서 홍콩에 전화하고 메일하고 난리가 났습니다. 그래도 몇시간 동안 안되어서 안되겠다 안되는 동안 0.99달러라도 내고 미리 봐야지 하고 1달러 내고 보자. 하고 결제하고 보는데, 홍콩에서 잘되네요? 라고 몇시간 뒤에 편지가 왔습니다. 해서 등록하니 에러가 납니다. 혹시나 싶어 결제를 취소하고 등록하니 ‘되더군요’  쩝. 아무튼 별로 미덥지 않긴 마찬가지였습니다. 아무튼 그런데 들어가보니까, 휴대폰하고 웹사이트는 되는데 타블릿이 잠겨져 버렸습니다. 이런 세상에 그래서 들어가보니까.

 

태블릿 포함 안됨

 

태블릿이 포함되지 않았던 것입니다. 헐. 그래서 잘 봤더니 말이 싹 바뀌었습니다. Full Access to NYTimes.com 이랩니다. 그런데 기본적으로 가장 낮은 레벨이 NYTimes.com과 휴대폰이라 웹과 휴대폰은 언락되었는데 태블릿은 안된겁니다. 쩝. 아아….. 나는 태블릿을 원했단 말이다. 그래서 태블릿을 신청하려고 했더니 전 번에 0.99달러짜리 Full Access 신청한 상태에서 IHT 등록할 때와 똑같은 상황에 처했습니다. 오류가 납니다.

 

고객 서비스가 개판임. 웹 서비스는 거의 없어서 미국으로 전화해야 함

 

그래서 어쩌겠습니까? 메일로는 사나흘 뒤에나 메일을 주니 전화를 해야죠. 근데 얘네 대기시간이 기본이 10분 20분이네요… 다행히 스카이프로 걸면 Toll Free라 느긋이 기다렸습니다. 해서 얘기를 했는데 한국의 경우라서 처음이라고 수퍼바이저랑 얘기해보고 메일 주겠다고 해놓고 감감 무소식이었습니다. (….) 모든 서비스를 받으려면 미국에 전화해야 합니다(서비스 플랜 변경 등). 다행히 유료서비스 취소는 웹으로 할 수 있습니다(…)


IHT앱은 허울 뿐임

 

그런데 아마도 뉴욕 타임스의 심산은 아마도 IHT 구독자는 IHT앱을 통해서 보라 이건가 본데 IHT앱은 NYT랑 달리 업데이트 주기도 느리고 기사도 별로 없어요… 한마디로 별로입디다…

 

따로 신청 안됨 – 결국 따로 35달러 내야 했음.

 

결국. 계정을 하나 새로 만들고, 그냥 35달러 짜리 플랜을 신청했습니다. 아, 신문보니 이제 무료로 보겠구나. 라는 기대는 산산조각 나버렸죠. 덕분에 4000엔짜리 닛케이에 이어 제일로 비싼 신문을 보게 되었습니다. 물론 NYT의 기사는 뭐 크게 나쁘지 않습니다만… 쩝. 아무튼 비싼 교훈입니다. 비싸요! 비싸!!!!

 

에버노트에서 한국어 OCR이 안되는 경우

에버노트에서 한국어 이미지 문자인식(OCR)이 안되는 경우?

에버노트에서 한국어 OCR이 지원된다고 이전 포스트(Evernote(에버노트) – 당신의 모든것을 기억해 주는 두번째 뇌)에서 말씀드렸습니다만, 한국어 글씨가 인식이 안된다면 다음 설정을 체크해 보시기 바랍니다.

  1. http://www.evernote.com에 들어가서 로그인 합니다. Settings 혹은 설정(언어에 따라 다름) 을 누릅니다.Evernote Web 1
  2. Personal Settings를 누르고 Recognition Language를 아래와 같이 변경합니다. 기존 이미지는 인식하는데 24시간 이상 걸린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확인을 누릅니다. 앞으로 올리는 이미지는 한국어와 영어를 같이 인식하게 됩니다.Account Settings 2

앞으로는 한국어를 포함하여 에버노트의 OCR 기능의 편리함을 누리세요! 물론 한국어는 그닥 강력하지 않아요 ^^; 그래도 없는것 보다는 낫죠 ㅎㅎ 아 참, 프리미엄 유저의 가장 큰 특권 중 하나가 이미지 월간 업로드 용량 증가와 함께 바로 올린 이미지에 대한 검색 인덱스의 우선 처리랍니다. ^^;

요 근래 투니버스를 이해하기 어렵다.

요 근래 투니버스를 이해하기 어렵다. 간단하게 말해서… 뉴타입 3월호의 애니메이션 채널 특집에서 투니버스 채널 인터뷰 중 일부를 발췌하자면,

문 : 올해의 목표가 있다면? 투니버스의 변신에 대해 애니메이션을 사랑해주셨던 고연령층 시청자들에게는 죄송한 마음을 갖고 있지만, 어린이 시청자들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채널로 꾸려갈 예정이다. (하략)

 

한마디로, 이 사람 누군지 이름이 안나와서 모르겠는데 아무튼, 나라면 시말서 좀 쓰라고 하고 싶은데. 실명제가 아니라 대단히 아쉽다. 한마디로 하겠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만화 산업의 근간은 데자키 오사무 등을 비롯한 1세대 장인들이 세우고 린 타로 등을 잇고 그 사람들이 안노 히데아키를 이어나가며 오늘날 까지 이어져왔다. 그것을 봐온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가면서 어린이 취향에서 소년취향으로 소년취향에서 청년 취향으로 점차 눈높이를 올려왔다. 물론 우리나라에서 만화, 애니메이션이 좀 니치 적인 성향을 두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그리고 소년이나 청년 취향의 애니메이션으로는 시청률을 만족 시킬수 없다는 것 또한 이해한다. 하, 그렇다고 해서 완전히 어린이 시청자를 위한 채널로 전향한다는 것은 앞으로 소자녀화 사회에서 한마디로 빙신짓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라고 나는 생각한다. 키덜트족도 있고, 소녀 취향, 매니아도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편성을 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보는데… 내가 말하는건 애니메이션 오타쿠를 만족시켜달라는게 아니다. 투니버스를 보고 컸던 사람을 만족시켜 달라는 것이다. 올해가 2011년, 4년 뒤면 투니버스도 20년이다. 투니버스를 개국한 때부터 봤다면 성인이고 24시간 방송을 시작한 때부터 봤다면 고등학생이다. 어쩌면 이들을 떠나게 한건 투니버스 자신이 아닌지 생각해 볼 일 아닌가?

%d bloggers lik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