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이 제시하는 밝은 청사진을 보면 누구나 잠시간은 흔들리게 된다. 설령 Ethernet 포트가 없고 USB가 두개인가 하나인가밖에 없는 MacBook Air나, MP3 이외에는 Apple이 미는 MPEG4 AAC와 Apple Lossless 이외에는 지원하지 않는 iPod 시리즈 등을 생각하더라도, 그 외양이나 수많은 ‘가능한 것들’, 특히 Steve Jobs Apple CEO가 청바지에 검정 셔츠를 입고 소개하는 현란하고 잘 짜여진 데모를 보노라면 나도 Apple 제품을 사용하면 저렇게 할수 있겠구나 싶게 된다. 실제로 그것은 사실이다. Apple의 지침에 따라 하다보면 정말 뚝딱 영화를 만들고 사진을 멋드러지게 앨범으로 만들고 공유할 수 있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Apple이 지정한 포맷과 방법을 지킬 경우에만 Apple이 주는 달콤한 열매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Cult 종교같은 문화를 두고 악감정이 생기다보니 애플을 Cult나 디자인에 목매는 줄 아는 사람들도 생겼지만, Apple은 역사적으로 볼 때 PC에 있어서 정말 많은 것을 기여한 회사중 하나이다. USB나 IEEE1394, PCI, AGP, 64비트, 멀티코어,Bluetooth,Wi-Fi, DVD-R 등 오늘날 주류기술이 된 표준들에 주도적으로 도입한 업체가 애플이다. 일부는 제정에 입김을 불어넣었고, 일부는 직접 만들었으며, 일부는 그냥 참여만 했지만, 중요한건 애플이 밀어부친 상당수의 기술들이 오늘날 주류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애플에 관한 가장 잘 알려진 오해를 불식시키는 사실이다. Apple은 결코 고립된 하드웨어를 쓰지 않는다. Mac이 Intel 프로세서로 바뀌면서 이제 Apple에서 Apple만을 위해서 만들어지는 주요 부품은 종식되었다해도 과언은 아니다, iPod만 하더라도 모든 다른 업체에서도 주문, 조립가능한 부품들로 제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하드웨어적인 개방성과 공로에도 불구하고 소프트웨어 팀은 전혀 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는 듯하다. 요컨데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는 Ogg Vorbis, FLAC 등 다양한 코덱에 대한 지원은 전무하고 비디오만 해도 마찬가지이다. iMovie로 영화를 편집하다보면 정말 그 간단한 편집에 감탄하게 된다. 하지만 그것을 Apple의 유료 서비스와 Youtube에 저해상도로 올리는것 밖에 방법이 없고, 꼼수를 쓰지 않는다면 DivX나 WMV, FLV, 하다못해 Blu-Ray로 구을수도 없다는 사실에 식겁하게 된다.
iPod touch는 그런 의미에서 당신이 애플의 헤게모니를 인정하느냐 안하느냐에 따라서 최고의 미디어 플레이어가 될 수 있고, 반대로 그렇지 않다면 최악의 플레이어가 될 것이다. 가령 당신이 CD를 리핑해서 듣거나 iTunes에서 음악이나, 텔레비전 프로그램, 뮤직비디오 등을 받아서 즐긴다면 이 기계의 100%를 즐길 수 있고 왜 수많은 미국인들이 Apple에 인질이라도 잡힌듯이 돈을 주고 철마다 iPod을 갈아대는지 알게될 것이다. 여기에 재기넘치는 게임과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되었다. iPhone과 iPod touch가 인기 있는것도 이유가 있다. iTunes Store가 없는 한국에서는 적어도 CD를 리핑해서 듣는 정도래도 절반의 효과는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제대로 즐기려면 동영상은 iPod에 맞게 transcoding(인코딩)해줘야 한다. 앨범 태그를 일관되게 정리하고(Gracenote CDDB 조차 엄한 태그를 입력해준다), 앨범아트를 구해서 넣고(TagGuru를 이용해보라 한결 편해질것이다) iTunes라는 프로그램에서 마치 정원 가꾸고, 앨범 콜렉션 관리하고 레코드 바늘 갈 듯이 라이브러리를 관리해줘야 iPod은 굴러간다.
Apple의 헤게모니까지 언급하면서 하려던 iPod touch의 소감은 이것이다. 만약 Apple의 지배를 믿고 그를 따른다면 편할것이다. 믿고 따르는자에게 복을 주나니. 꼭 종교 같지만 그게 애플이다. ★★★★★/★★★★★
iPod을 조금만 더 사랑해주세요 – Apple In-ear headphones with remote and mic
iPod의 음질을 논하는 글이 나오면 나는 일단 그 글을 읽을 가치가 있는지를 논하기 위해서 두가지를 따진다. 첫째는 자기 CD를 립(rip)한것인가, 둘째는 이어폰은 어떤것을 물려놓고 들었느냐이다. 이유는 우선 자신이 립한것이 가장 품질이 좋고, 또 비트레이트나 코덱 등을 제대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P2P에서 굴러다니는 MP3 받아다 쓴 리뷰를 읽을 여유는 별로 없다. 윤리적인 얘기 하기전에 P2P에서 굴러다니는 음악은 제대로 인코딩 안된게 수두룩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이어폰을 기본(stock) 이어폰을 쓴다면 이것도 제외다. 전세계 어느 사이트를 보아도 애플의 기본 이어폰이 좋다는 쪽은 오로지 애플 뿐이고, 그나마도 요즘은 자제하는 분위기다. 사진은 권력이다로 유명하신 썬도그님께서 아이팟의 음질에 대해서 컴플레인하시기에 한번 다른 이어폰을 시도해보시라고 했더니 훨씬 나아졌다고 하신다. 아마 좀 더 투자를 하신다면 더 만족하실 수 있으실 것이다. 따라서 다른 전문적인 리뷰어들도 대개 자기가 쓰던 이어폰을 쓰고 번들 좀 좋은걸로 바꿀수 없는지 불만을 늘어놓는게 일반적이다.
해서, 애플이 이번에 고급 이어폰을 내놨다. 미국에서는 $79불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9만원이 넘는 녀석을 한번 사봤다. 이유는 솔직히 말해서 iPod 5세대에서 touch 2세대로 바꾸면서 2003년부터 여태껏 써왔던 A8 대신에 써볼 녀석을 찾다가 Etymotic Research나 Shure, Ultimate Ears 등의 가격표를 보면서 고민하다가 10만원을 안넘는 듀얼 발란스드 아마츄어 드라이버(트위터,우퍼)를 채택한 이어폰을 애플브랜드로 판매한다는것에 끌려서 구매하게 됐다. 그 성능이야 비교해보지 않았으므로 모르겠지만 Apple 스토어의 리뷰란에는 Superfi 5나 다른 녀석들과 비교하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이지만 좀 오버라고 치고(그치만 그 오버가 내가 본 것만 두번째다), 그냥 스펙으로 봐도 사실 10만원안짝으로는 싱글드라이버를 구하는게 고작이니 시도해볼만 했다.
결론은 아주 만족한다. 조그마한 리모트도 만족스럽고 저음도 단단하고, 그러면서도 역시 다른 영역도 좋다. 아무래도 커널형으로 오픈형인 A8보다 훨씬 차음성이 높은 까닭에 성향이 다른 느낌이다.
흰색 이어폰은 아이팟의 심볼과도 같은데 뭐랄까 음질도 좋고 아이팟에 기능도 지원한다. 해볼만한 투자인것같다.
ER이나 Shure, UE와 비교하라면 못하겠지만 적어도 괜찮은 이어폰인것 같다.
2009.1.3 추가 : 미국이나 일본쪽을 보면 전반적으로 고음에 대한 평가는 고르게 좋지만, 저음에 대한 코멘트는 취향이나 전에 사용하던 리시버에 따라 호불호가 조금씩 다른 모양이다. 대체적으로 쿵쿵 울리는 수준은 아니지만 충분하다고 느끼는 듯하다(나도 동의한다). 중역은 BA 특성상 A8에 비해 치밀하지 못한것같다. 어찌됐던 중요한건 가격이다. 어딜 봐도 10만원 안쪽 치고는 충분히 좋다는 반응이다. 보통 리뷰에서는 현지에서 2~3배 이상 하는 제품들과 비교되고 있는게 대부분이었다.
팍샥 줄은 잡지의 볼륨을 바라보면서
그들은 찾아내고야 말았다. 내 기억속의 10년을.
내가 당시에 보던 잡지는 <하우PC>였다. 하우PC는 고급지인 아트지 전면 컬러 인쇄에 부록도 빠방하던 그런 잡지였다. 그런데 어느달치였을까 IMF가 터지고 나서 하우PC는 질이 조금 떨어지는 종이를 쓰더니 결국 볼륨이 줄기 시작했다. 책이 얇아질 때마다 사정을 설명하면서 당위성을 설명하던 모습이 지금도 절절하다. 결국 값이 조금 올라가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 아이러니컬하게 수두룩하게 잡지들이 망하던 시절에 몇몇 잡지와 함께 살아남은 하우PC는 2006년에, 경기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을 것만 같은 시기에 마지막호를 찍었다.
어찌됐던 지금 이번달 <에스콰이어>나 <GQ>를 보는 느낌이 꼭 그러하다. 컴퓨터 잡지만 하더라도 이미 우리나라에는 두개 정도밖엔 없고, 미국에서는 기십년 전통의 PC Magazine이 온라인으로 전향을 해버리고는 프린터를 꺼버렸다. 가야미디어와 두산 잡지BU는 분명 경쟁관계에 있겠지만서도, 이런 면에 있어서는 담합이라도 했던 것일까 신년호부터 짜고친 듯 볼륨을 다운하여 받게 되었다.
어쩔수 없으리라 본다 결과적으로 이 잡지야 아무리 좋게 말해봐야 전문직 고소득층과 그 워너비에 셋팅된 광고와 애드버터리얼, 피처 기사들로 도배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그런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최대 혹한기를 겪고 있고 그를 위한 매체 광고 수요도 얼어붙는 이 상황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감면 그 뿐이라고 본다.
뭐 감면에 대해서 표면적으로는 두 잡지 모두 별 말이 없다. 하다못해 광고가 줄어서 줄었다라던가, 아니면 옛날에 에스콰이어 민희식 편집이사가 언젠가 썼던 잊을수도 없는 명발언 “얇아서 쉽게 휴대가능한” 것도 아니고. 아무런 말이 없다니, 불친절하기 짝이 없구나.
어찌됐던. 위기가 오기는 왔나보구나. 라고 폭삭 줄은 잡지를 보면서 느낀다.
– 이제 다음 스텝은 몇몇 잡지들 나가 떨어지는 것이겠구나. 라고 느끼면서 말이다. (특히 요즘 경월 팔겠다는데 두산 잡지 BU는 요즘 평안하신지?)
남자 피부를 변화시키는 3 STEP – 크리니크(CLINIQUE) Skin Supplies for men
이미 남성용 화장품을 여럿 써왔다. 클라란스, 비오템, 랩시리즈 등등 정말 다양하게 많은 브랜드가 요즈음에는 남성 브랜드를 유지하고 있다. 솔직히 내가 처음 썼을때만 하더라도 그 종류는 그다지 많지 않아서 피부 타입에 맞춰서 세면/면도/보습/특별관리 별로 한두개 정도가 고작이었지만 이제는 남성화장품도 각자의 니즈에 맞게 나와서 주름개선이니 눈가 전용이니 하는 제품들도 많이 나오고 있고 자외선 차단이 되는 제품들도 많이 나와 있다.
어찌됐던간에 잡지에 나오는 모델들이나 피부관리에 극성 맞은 경우가 아니고서야 대부분의 남성의 스킨케어는 세안과 면도후 스킨과 로션 정도라고 생각한다. 랩시리즈들을 다쓰고(정말 오래도 썼다, 값 생각해보면 손해 안보는 장사인것 같다) 한동안 피부를 방치한 다음에 겨울에 거칠어진 뺨을 보면서 다시 손좀 써야겠다 싶었는데 이번에는 다른걸 써보자 해서, 이번에는 크리니크 제품이다.
크리니크는 3-Step(3-스텝)을 주창하는데 요지는 이렇다. 세안하고, 각질과 모공을 관리해주고, 보습으로 마무리라는 것이다. 그리고 피부타입에 맞춰서 제품들이 조절되어 있어서 맞는걸 구입하면 된다. 나는 뺨은 건조하고 T존은 번들거리며 유분이 많은 피부이다. 중성내지는 살짝 중지성피부라고 할 수 있는데, 해서 조언에 따라 제품을 구매해보았고 1주일을 사용해보았다. 설명서에는 2주만 투자하면 놀랄만큼 달라진다고 쓰여졌는데 실제로는 며칠만으로도 놀라우리만큼 달라진 피부를 느낄 수 있다. 우선 볼의 당김과 이마의 번들거림이 깔끔하게 사라졌다. 또 코와 볼 주위의 모공이 확실히 정돈되고 피부톤이 맑고 밝아졌다.
단계 또한 간단 그 자체다. 세안을 하고(여기서 뽀드득한 느낌을 원하면 비누타입을, 매끄러운 느낌을 원하면 젤 형식을 쓴다), 화장솜 하나를 꺼내서 스크러핑로션을 덜어 얼굴을 이중세안하는 것이다. 특히 도심에 나갔다가 들어와서 해보면 얼굴에 얼마나 많은 노폐물이 있는지 놀라것이다. 그리고 나서 로션을 발라주어 마무리~ 그걸로 끝이다. 세안 후에 면도를 할 사람은 면도를 하면 된다. 단 이때는 면도한 부위는 스크러핑 로션으로 문지르지 말것. 나는 전기면도를 하므로 패스.
어찌됐던 많은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젊어보이고 싶고 매력적으로 보이고 싶어하는게 요즘 아닌가? 단순 간단한 3 스텝으로 조금은 젊어보이면 좋겠구먼. ㅎ
무손실 압축, 정말 다르구나….
갑자기 왜였을까? 내가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곡을 다시 한번 인코딩했다. 이번에는 늘상하던 MP3나 AAC가 아니라 Apple Lossless로 해보기로 했다. 음반은 그냥 내가 좋아하는 YUI의 최근 앨범인 My Short Stories로…일단 느낀건 그녀 독특한 목소리가 탁트이게 느껴진다는것이다. 그녀의 소녀같은 부드러운 고음과 기타의 어쿠스틱함이 훨씬 풍성하게 나가온다. 중요한 음악은 Apple Lossless로 리핑해야겠다. 뭐 AAC로 압축한걸 들을때는 아무런 불편함을 느낄 수는 없지만 비교를 하면 극명하다. 사람의 생각하는 법을 연구하는 인지기술 가지고 장난친것이니 당연하겠다만서도…